“기업 건강이 곧 근로자 건강” 2024년 26개 건강친화기업 인증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60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12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김헌주)은 12월 10일(화) 오전 10시 30분 한국프레스센터(서울시 중구 소재) 18층 서울클럽홀에서 ‘2024 건강친화기업 인증식’을 통해 건강친화기업 26개를 인증했다.

 

건강친화기업 인증제도는 국민건강증진법 제6조의2에 근거하여 직장 환경을 건강 친화적으로 조성하고, 직원 스스로 건강관리를 적극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건강친화 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기업을 인증하는 제도이다. 올해도 26개 기업이 인증을 받으며 제도 시행 첫해인 2022년부터 지금까지 총 67개 기업이 건강친화기업으로 인증받았다.

 

2024건강친화기업 인증심사에는 총 62개 기업이 신청해, 제도 시행 이후 가장 많은 기업의 신청이 있었다. 특히, 올해는 그간의 참여 기업과 인증심사단의 의견을 수렴하여, 기업 현장 방문 시 서류와 현장심사(직원만족도 조사 포함)를 함께 진행하는 방식으로 심사를 개편*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에게는 신청 서류 준비의 부담을 덜어주면서 심사 시에는 현장 확인을 강화 효율적인 심사 진행할 수 있었다.

 

올해 건강친화인증을 받은 기업들은 건강친화경영·문화·활동 부분에서 임직원 건강증진을 위해 다양하고 특색있는 노력을 하고 있었다.

 

그 결과 ‘2024 건강친화기업 인증식’에서는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인증서 인증현판이 수여됐다. 또한, 우수기업에게는 보건복지부장관 표창(10개사), 심사 부분별 우수 기업에는 한국건강증진개발원장상(4개사)이 수여됐다.

 

건강친화경영에서는 경영방침에 근로자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여 건강친화환경 조성에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경영진이 걸음기부 캠페인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직원들의 건강친화 활동 참여를 독려한 삼성에스디에스, 건강친화제도 추진을 위한 별도 예산매년 정기적으로 다양하게 편성주식회사 아이엠뱅크,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 성공 시 200만 원의 상금을 주는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한 주식회사 엘케이엔지니어링 등 기업의 노력이 돋보였다.

 

건강친화문화에서는 기업 내 건강취약계층의 건강관리를 위해 정기적인 협의체를 운영하며 직원의 요구와 인식을 반영엠이엠씨코리아㈜, 건강친화제도 운영을 위해 지역단위의 거버넌스를 구축한국보건산업진흥원, 취약계층 어르신과 산책을 동반한 말벗 활동을 한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등이 지역사회 전반의 건강증진을 위해 다양한 봉사와 활동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고 있었다.

 

건강친화활동에서는 7년 연속 암예방 프로그램을 운영한 한국기계연구원, 직원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임직원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에스테틱을 운영신신엠앤씨, 지속적인 금연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30%금연 성공률을 달성부산신항만㈜ 등이 임직원 건강 현황을 파악 후 그에 맞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특히, 경영진이 출퇴근 시 계단을 이용하는 등 건강생활을 몸소 실천하며 건강친화활동 참여를 독려삼성바이오에피스 주식회사, 기업 내 건강 취약계층의 건강관리를 위한 휴식공간 조성에 힘쓴 한국전력거래소, 직원 건강위험요인 분석을 바탕으로 선제적 예방 대응 체계를 마련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회사, 대민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 대상으로 자체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고 정신건강 관리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여 만족도를 높인 한국주택금융공사의 노력이 돋보였다.


건강친화기업으로 인증을 받은 기업은 기업 홍보에 인증표시를 활용있고, 법무부 출입국 우대카드 발급의 혜택을 받는다. 또한, 인증을 받은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은 한국무역보험공사를 통해 단기수출보험, 수출신용보증, 수입보험에 대해 한도 우대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2024.12.10 보건복지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64819&pageIndex=8&repCodeType=&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12-12&endDate=2024-12-12&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61 친환경 선박 인증을 기자재까지 확대... 선박의 친환경 전환과 온실가스 감축에 박차 총괄관리자 2025-02-20 9,153
3160 산업단지 내 기업들이 함께 활용하는 저탄소 설비 교체를 지원합니다 총괄관리자 2025-02-20 315
3159 146건의 에너지 공기업 특허를 무상으로 나눈다 총괄관리자 2025-02-20 347
3158 국제사회 기후환경 선도국가 위상 강화 위해 국제협력관 신설 총괄관리자 2025-02-20 245
3157 한-체코 무탄소에너지 기술혁신에 맞손 총괄관리자 2025-02-20 263
3156 탄소중립 상담(컨설팅) 및 설비 패키지 지원 참여기업 모집 총괄관리자 2025-02-20 273
3155 기후변화대사, 뮌헨안보회의에서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안보 논의 총괄관리자 2025-02-20 208
3154 근로복지공단, 기업노사와 함께 "공정별 작업동영상 구축"으로 신속·공정한 산재판정 기틀 마련 총괄관리자 2025-02-20 266
3153 2025년 환경교육 전문가 양성 추진 총괄관리자 2025-02-20 89
3152 '25년도 공급망안정화 선도사업자 선정 총괄관리자 2025-02-20 97
3151 국제 탄소시장 본격 개막에 따른 대응 전략 모색 총괄관리자 2025-02-20 95
3150 민감계층 실내공기질 개선 사업 확대…환경부 및 15개 기업 힘모은다 총괄관리자 2025-02-20 104
3149 개도국 온실가스 감축 준비 돕는다… 환경부 소속·산하 기관 및 환경연구원 맞손 총괄관리자 2025-02-20 82
3148 환경분야 국가 및 국제표준 발전 위해 전문가 한자리에 총괄관리자 2025-02-20 116
3147 '25년 청정수소 발전 입찰시장 5월 공고 예정 총괄관리자 2025-02-20 127
3146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순환이용 높인다… 회수·재활용 시범사업 민관 협약 총괄관리자 2025-02-20 122
3145 산업재해 고위험사업장 집중 점검 총괄관리자 2025-02-20 65
3144 환경영향평가 절차 간소화로 신속한 재해복구사업 추진 가능 총괄관리자 2025-02-11 237
3143 청계천 생태가치 확산 및 보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총괄관리자 2025-02-11 215
3142 무탄소에너지(CFE) 국제기준 마련 본격 착수 총괄관리자 2025-02-11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