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온실가스 배출량 7억 2,429만톤, 전년 대비 2.3% 감소

담당부서 : 환경부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정은해, 이하 센터)국가 온실가스 통계 관리위원회(위원장 이병화 환경부 차관)’의 심의를 거쳐 2022년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년도(2021) 74,098만톤 대비 1,668만톤 감소(2.3%)72,429만톤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 국가 온실가스 통계 절차 및 내용


센터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매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해 공개하고 있으며, 작성지침 제공(전년도 12) → ②관장기관 통계 작성(3~11) → ③센터 검증 및 관장기관 수정·(4~11) → ④실무협의회·관리위원회(12) → ⑤통계 공표(12월말) 등의 절차에 따라 전전년도(Y-2)*의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확정하고 있다.

 

* 국가 온실가스 통계는 각 분야별 기초통계를 활용하여 생산되며, 매 연말 전전년도 통계를 확정·공표(기초통계 확정 및 배출량 산정 각각 12개월 등 총 24개월 소요)

 

모든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은 파리협정의 세부이행지침(2018)따라 새로운 국제기준인 2006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산정지침(2006 IPCC 지침)을 적용한 자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를 유엔에 제출해야 한다.

 

이번에 확정해 공개한 2022년도 국가 온실가스 통계 역시 1990년도부터 2022년도까지의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6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산정지침에 따라 적용하여 산정됐다.

 

이번 2022년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은 에너지·산업공정·농업·폐기물 등 전 분야에 걸쳐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냉장·냉방기기의 냉매가스로 사용되는 수소불화탄소(HFCs)* 사용량 증가로 산업공정 분야 중 오존층파괴물질(ODS)의 대체물질 사용부문이 전년(2021) 대비 약 280만톤 증가(9.5%)했고, 산불 피해(울진 대형 산불 등) 영향으로 산림지 등에서의 온실가스 흡수량이 전년(2021) 대비 120만톤 감소(3.0%)한 것으로 나타났다.

 

* 오존층파괴물질(ODS)인 염화불화탄소(CFCs), 수소염화불화탄소(HCFCs)의 대체물질로 개발된 합성물질로 냉매·발포제·소화약제 등의 용도로 사용 중이며, 이를 온실효과가 낮은 물질로 단계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기 발표(‘24.12.18)

 

또한, 센터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의 연도별 감축목표 이행현황 등을 점검하기 위해 기존의 ‘1996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산정지침(1996 IPCC 지침)’을 적용한 국가 배출량(1990~2022년도)도 병행 산정해 이번에 공개했다.

 

□ 에너지 통계 수정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변경

 

한편, 이번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과정에서 에너지 부문 배출량의 기초자료인 에너지 통계상의 석탄소비량 일부가 누락된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환 부문 외에도 산업 등 타 부문의 에너지 통계도 정비하여 2016년도부터 2022년도까지의 온실가스 통계에 반영(1996 IPCC 지침 및 2006 IPCC 지침 공통 반영)했다.


이에 따라 2016년도부터 2022년도까지의 배출량이 기존 발표(2024910) 대비 일부 증가되어 변경됐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집계·발표하는 에너지밸런스가 변경(‘24.12)

 

2016~2022, 민간석탄발전사의 석탄소비량 약 494천톤~8,892천톤 누락

 

[2006 IPCC 지침 기준] 기존 발표('24.9) 보다 약 0.8(’16)~19.6백만톤(‘21) 증가

[1996 IPCC 지침 기준] 기존 발표('24.9) 보다 약 1.2(’16)~18.4백만톤(’22) 증가

 

아울러, 지난해 910일에 발표했던 2023년도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1996 IPCC 지침 기준)도 전환 부문에서 약 2,475만톤 증가*한 것으로 변경됐다.

 

* [’24.9] 200.4백만톤 [변경] 225.1백만톤(24.75백만톤)

  

센터가 온실가스 통계 전반에 대해 검토한 결과, 전년 대비 감소 폭*일부 줄어드나, 온실가스 배출총량의 증감 추이**는 통계 변경 전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1996 IPCC 지침 및 2006 IPCC 지침 공통).

 

* '23년도 잠정 총배출량('96 IPCC 지침 기준):['24.9월 발표] 전년 대비 28.6백만톤 감소(4.4%, 652.8624.2백만톤)[변경] 23.3백만톤 감소(3.5%, 671.2647.9백만톤)

 

** 배출량 정점('18), 코로나19 이후 경기회복으로 '21년도 배출량 증가, '22~'23년도 연속 감소

 

□ 국가 온실가스 통계 변경에 따른 후속 조치


정부는 이번 2022년도 국가 온실가스 통계 확정에 따라, 지난 10월 말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보고서 2*에 대해서는 통계 변경 등 후속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 1차 격년투명성 보고서(BTR), 2023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점검 보고서

 

먼저, 파리협정에 따라 2년마다 국제사회에 제출하는 1차 격년투명성보고서(BTR)*는 기존에 심의받았던 보고서에 이번 2022년도 국가 온실가스 통계를 반영하는 등 최신 정보를 담아 유엔에 제출할 예정이며, ‘2023년도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점검의 경우에도 잠정 배출량 변경에 따라 재점검을 추진한 후 국회에 관련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 Biennial Transparency Report : 각 국의 온실가스 감축 현황, 성과, 온실가스 배출흡수량 통계 등 기후변화 전반에 관한 정보를 담은 보고서

 

□ 에너지 및 온실가스 통계 정확성 제고방안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앞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의 주요 기초자료인 에너지 통계의 정확성을 향상하는 등 국제사회에 제출하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의 품질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 통계 자료 수집 및 작성 절차 전반에 걸쳐 내외부 검증을 강화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국가 온실가스 관련 기초통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 표준화, 시스템 연계 등을 통해 통계 검증 업무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제고할 예정이며, ‘국가 탄소중립통합플랫폼구축을 추진하여 산업계·지자체 등에 높은 품질의 기후온실가스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 에너지통계, 신재생에너지보급통계, 석유류수급통계, 수출입통계, 한국전력통계 등

 

이러한 정부의 통계 품질 강화 방안은 2025년 상반기에 확정 예정인 3차 국가 온실가스 통계 총괄관리계획에 포함될 예정이다.

 

정은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신뢰성 높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며, “국가통계 간 교차검증 등을 통해 앞으로도 신뢰성 높은 통계 자료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2025.01.02 환경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61 친환경 선박 인증을 기자재까지 확대... 선박의 친환경 전환과 온실가스 감축에 박차 총괄관리자 2025-02-20 9,150
3160 산업단지 내 기업들이 함께 활용하는 저탄소 설비 교체를 지원합니다 총괄관리자 2025-02-20 313
3159 146건의 에너지 공기업 특허를 무상으로 나눈다 총괄관리자 2025-02-20 345
3158 국제사회 기후환경 선도국가 위상 강화 위해 국제협력관 신설 총괄관리자 2025-02-20 244
3157 한-체코 무탄소에너지 기술혁신에 맞손 총괄관리자 2025-02-20 262
3156 탄소중립 상담(컨설팅) 및 설비 패키지 지원 참여기업 모집 총괄관리자 2025-02-20 270
3155 기후변화대사, 뮌헨안보회의에서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안보 논의 총괄관리자 2025-02-20 207
3154 근로복지공단, 기업노사와 함께 "공정별 작업동영상 구축"으로 신속·공정한 산재판정 기틀 마련 총괄관리자 2025-02-20 264
3153 2025년 환경교육 전문가 양성 추진 총괄관리자 2025-02-20 86
3152 '25년도 공급망안정화 선도사업자 선정 총괄관리자 2025-02-20 96
3151 국제 탄소시장 본격 개막에 따른 대응 전략 모색 총괄관리자 2025-02-20 94
3150 민감계층 실내공기질 개선 사업 확대…환경부 및 15개 기업 힘모은다 총괄관리자 2025-02-20 102
3149 개도국 온실가스 감축 준비 돕는다… 환경부 소속·산하 기관 및 환경연구원 맞손 총괄관리자 2025-02-20 80
3148 환경분야 국가 및 국제표준 발전 위해 전문가 한자리에 총괄관리자 2025-02-20 113
3147 '25년 청정수소 발전 입찰시장 5월 공고 예정 총괄관리자 2025-02-20 122
3146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순환이용 높인다… 회수·재활용 시범사업 민관 협약 총괄관리자 2025-02-20 120
3145 산업재해 고위험사업장 집중 점검 총괄관리자 2025-02-20 63
3144 환경영향평가 절차 간소화로 신속한 재해복구사업 추진 가능 총괄관리자 2025-02-11 235
3143 청계천 생태가치 확산 및 보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총괄관리자 2025-02-11 215
3142 무탄소에너지(CFE) 국제기준 마련 본격 착수 총괄관리자 2025-02-11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