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정보원, ESG 경영 관련 GRI Standards 국제적 검증 완료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원장 이창수)은 지속가능경영 국제 공시 기준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2021 가이드라인에 따라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작성하고 국제전문기관의 검증을 완료했다.

 

ESG(환경, 사회적 책임, 투명경영) 각 분야에 대한 다양한 활동을 시행한 후 국제 기준에 맞게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작성했다.

 

환경 분야에는 탄소중립친환경 등 관련 신직업 발굴, 클라우드 환경 기반의 저탄소 정보기술(IT) 인프라 구축, 친환경 문화 실천 및 확산 노력을 했다.

 

사회적 책임 분야에는 고용 전문성을 활용한 고용서비스 제공 및 고용안전망 강화, 임직원 전문성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 안전보건 거버넌스 강화, 이해관계자 인권 존중 확산, 협력사 지속가능성,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활동을 했다.

 

투명경영 분야에는 ESG 경영위원회 기능 강화, 이사회 운영 활성화, 이사회 전문성 제고, 공정거래를 위한 활동을 실시했다.

 

특히 저탄소 인프라 구축을 위한 2024년 완공한 신청사(별관) 녹색 건축물 인증 취득, 사이버 보안 강화 활동, 이사회 경영 참여 실적이 눈에 띈다.

 

이창수 원장은 고용노동시장에서 미래 경쟁력 확보하기 위하여 지속해서 내실 있는 ESG 경영활동을 발굴하고 실천해 공공기관으로서의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고용정보원 2023-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한국고용정보원 홈페이지 내 ESG 경영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1.13 고용노동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085 다부처 기후적응 전문가 모여 적응정보 통합플랫폼 구축 협력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77
3084 한국-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주최 기후변화 대응 투자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40
3083 기후변화 대응 방안 논의를 통해 연내 원예농산물 수급 안정 방안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45
3082 유럽연합(EU) 공급망실사지침, 중소·중견기업이 알아야 할 핵심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17
3081 기후변화 국제협력의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38
3080 탄소발자국 검증서, 국내외 공인검증기관 간 상호인정 기반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58
3079 자연자본 공시 교육으로 기업의 자연환경 및 사회 기여 기틀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29
3078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순환경제 선도한다… 국내외 아우른 민관 협력체계 구축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312
3077 유엔 플라스틱 협약 성안을 위한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INC-5)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16
3076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기술 청사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08
3075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공시 의무화,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229
3074 국립생물자원관-한국환경보전원, 생물다양성 증진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68
3073 한국 탄소발자국 검증제도, 유럽 통용 교두보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88
3072 이제는 기업 비즈니스도 친환경차로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80
3071 환경부, 경제협력개발기구와 협력하여 미세플라스틱 국제 공동연구 선도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73
307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어업 현장의 목소리 경청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49
3069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확산, 정부와 전문건설사가 힘을 합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69
3068 안전한 인터넷 프로토콜 카메라(IP카메라) 이용환경을 조성하여 사생활 침해 등 국민 불안 해소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39
3067 윤석열 정부 환경 분야 성과 및 추진계획 정부 2년 반, 환경정책 성과 및 추진방향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356
3066 스토킹+교제폭력+디지털성범죄 복합피해지원 서비스, 전국 11개 시·도로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