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농산물 수급안정 대책을 추진 중

담당부서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다음과 같이 농산물 수급안정 대책을 추진 중입니다.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급 안정 대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 및 이상 기상 발생의 영향이 두드러짐에 따라 농업 생산 및 공급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사계절이 뚜렷했던 우리나라는 특히 여름이 길어지고 더위가 심해져 재배적지 변화, 생육 저하, 병해충 발생 등 원예농산물의 생산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정부는 이상기후로 농산물 수급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할 계획입니다. ·관이 함께 참여하는 수급 관리 거버넌스를 통해 생육을 점검하고 약제 공급, 기술 지도 등을 지원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위기가 발생할 경우 발 빠른 대처를 위해 노지채소 위주의 상시 비축 시스템을 구축하고 계약재배 물량을 확대하는 등 위기 대응 역량을 높일 계획입니다.

 

또한 기후변화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농업 밸류체인의 전 과정을 재정비할 계획입니다. 드론, 농업위성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예측·관측을 고도화하여 사전 수급조절에 활용하는 한편, 여름배추, 사과 등 주요 품목의 재배적지 신규 확보, 기후 적응을 위한 품종·재배기술 개발, 재해 예방시설 확충 등 생산시스템을 새롭게 개편해 나갈 계획입니다.

 

기후변화에 대한 농민 지원 없이 물가만 낮춘다는 일부 언론 보도는 사실이 아니며, 기후변화 대응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농식품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냉해우박 등 이상기상, 병해충 발생, 재배적지 변화 등 과수 생산 및 수급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증대되는 상황에 대비하여 작년 42기후변화에 대응한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2024~2030)을 수립·발표하였습니다. 우리 과수산업이 중장기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력과 국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스마트과수원 특화단지 조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재해예방·절감 기술 등 생산 안정 R&D 강화, 이상기후를 견디는 내재해성 품종개발, 신규 재배적지 전략적 육성 등 주요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 중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안정적인 과일 생산을 위해 생육시기별 위험요소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장마폭염태풍 등 기상 재해에 대응하고 탄저병 등 병해충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과수 생육관리협의체를 통해 피해 우려지역 중심 철저한 모니터링, 재해예방시설 사전 점검, 농가 기술지도 강화, 방제약제 살포 적기 알림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사과 생산량은 전년 대비 16.6% 증가한 46만톤으로 나타났습니다.

 

앞으로도 정부는 기후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는 신품종 보급, 생산성 높은 스마트 과수원 조성, 재해예방시설 설치 확대 등을 통해 안정적으로 과일을 생산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배추·무 정부가용물량 시장 공급 확대, 할당관세 적용 병행 및 설 성수품 할인행사 등을 통해 소비자 부담을 완화할 예정입니다.


배추와 무는 김장 종료 후 가정소비가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산지유통인 및 김치업체 등의 저장수요 증가와 겨울배추·무 작황 부진 등으로 도·소매 가격이 전·평년 대비 높은 상황입니다.

 

농식품부는 설 성수기 및 겨울철 배추, 무 공급부족에 대비하여 정부비축, 출하조절시설 등 정부 가용물량 총 11천톤을 일 200톤 이상 방출하고, 농협 계약재배 물량도 확대 공급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기획재정부와 협의를 통해 배추 할당관세 적용(27%0%, ~4월말)을 조기 추진하고, 기존에 시행하고 있는 무 할당관세도 추가로 연장(30%0%, ~4월말)할 계획입니다.

 

또한 현재 가격 추가 상승을 기대하고 산지유통인, 김치업체 등에서 저장 물량을 늘리고 시장공급 물량을 줄이는 경향이 있어 산지유통인·김치업체에 대한 출하장려금 지원 등을 통해 적극적인 출하를 유도할 계획입니다.

 

* 배추 도매가격(/포기): (’25.1월 상순) 5,149 (1.14) 4,900, 배추 소매가격(/포기): (’25.1월 상순) 5,105 (1.14) 4,928

 

** 무 도매가격(/): (‘25.1월 상순) 2,890 (1.14) 2,786, 무 소매가격(/): (‘25.1월 상순) 3,279 (1.14) 3,177

 

아울러, 농식품부는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대형 및 중소형마트, 전통시장에서 대대적인 할인행사도 진행할 예정으로, 마트에서는 설 성수품 등 28개 품목에 대해 최대 40% 할인 판매하는 행사를 오는 29일까지 지속하고, 전통시장에서는 200억원 규모로 발행한 모바일상품권(제로페이 농할상품권) 3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며, 이와 별도로 23일부터는 전국 160개 전통시장에서 농축산물 구매액의 30%를 현장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는 행사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2025.01.14 농림축산식품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01 현장 및 기술 여건을 반영한 자원순환분야 규제 개선 총괄관리자 2025-01-02 229
3100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기반 녹색투자규모 확대 총괄관리자 2024-12-26 166
3099 「녹색여신 관리지침」 제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85
3098 경기권 반도체 사업장, 물 재이용 사업 본격 추진… 하루 12만 톤 규모 공급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74
3097 생활화학제품 원료 안전성 정보, 나뭇잎 개수로 알기 쉽도록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43
3096 국립과천과학관 ‘RE100’ 선언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24
3095 환경교육으로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준비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19
3094 “기업 건강이 곧 근로자 건강” 2024년 26개 건강친화기업 인증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606
3093 ’24년 지속가능경영 유공 21개 기업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443
3092 어업인 살리고, 수산물 공급 안정화... 기후변화 대응 종합 계획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9 468
3091 생활화학제품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민관 이행협의체 새롭게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30
3090 한국-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국과 글로벌 자발적 탄소 메커니즘 공동개발 합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297
3089 외교부, 해외발 공급망 위기에 대비한 관계부처 합동 대응훈련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07
3088 전력구매계약(PPA), 망이용료 지원 및 펀드 투자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60
3087 우리 기후변화대응 기술의 해외진출 활성화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61
3086 농식품부, 농장동물의 복지 인식 개선을 위한 보편적 가이드라인 검토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23
3085 다부처 기후적응 전문가 모여 적응정보 통합플랫폼 구축 협력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53
3084 한국-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주최 기후변화 대응 투자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26
3083 기후변화 대응 방안 논의를 통해 연내 원예농산물 수급 안정 방안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32
3082 유럽연합(EU) 공급망실사지침, 중소·중견기업이 알아야 할 핵심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