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기후로 인한 폭설과 강풍 대비 개선대책 마련

담당부서 :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는 이상기후로 인한 폭설·강풍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함께 폭설강풍 대응체계 개선대책을 마련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해 11117년 만의 기록적인 폭설*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최근 기후변화를 고려해 향후 폭설·강풍 피해를 예방하고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 일최심적설량(’24.11.25.~28.) : 용인 47.5cm, 시흥 32.3cm, 안성 31.9cm

 

대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주요 취약시설 집중점검 및 국민신고 활성화

 

지난해 11월 강설로 피해가 컸던 적설 취약시설물을 대상으로 구조 안정성과 관리 실태를 점검(1월 중)한다.

 

안전신문고*를 활용해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24.11.15.~’25.3.15.) 동안 생활 주변 취약시설 안전신고도 활성화한다.

 

* 재난·안전 위험요소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해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누리집, )

 

2. 국민행동요령 홍보 및 피해 예방 기술지원


피해가 자주 발생하는 5대 위험요인(붕괴, 전도, 미끄러짐, 정체, 고립) 대비 행동요령을 집중 홍보한다.

 

- 특히, 노후주택이나 비닐하우스 거주자는 위험 기상 시 인근 보호 시설을 이용하게 하고, 붕괴가 우려될 경우 사전대피를 적극 안내할 예정이다.

·축산시설 피해 예방을 위해 농·축가에 재난정보 제공과 현장 지도를 강화한다.

 

- 대설 대비 행동요령과 시설관리 매뉴얼을 적극 안내하고, ·축산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중앙·지방 기술지원단을 운영해 현장 자문과 기술지원을 제공한다.

 

3. 시설 구조물 내설 및 내풍 기준 재검토

 

최근 폭설 빈도, 습설 양상을 고려해 건축구조기준 중 설하중 기준을 개선한다.

 

- 특히, 현행 건축구조기준 적용 대상에서 제외됐던 3층 미만 가설건축물의 구조 안전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비닐하우스와 같은 원예특작시설 내재해(내설·내풍) 설계기준도 최근 기상자료를 반영해 현실에 맞게 개선한다.

 

그 밖에 교통, 항만 등 주요 시설에 대해서도 내설·내풍 기준 적정성을 검토해 추가 개선과제를 발굴할 예정이다.

 

4. 비규격 시설물 관리 강화

 

적정 설계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시설물 관리를 강화한다.

 

- 노후 축사비닐하우스는 보강 시설*을 설치해 구조 안전성을 확보하고, 시장 아케이드와 같은 부속시설물은 기둥과 지붕덮개 설치를 규격화한다.

 

* H, 이동식 보조기둥(평상시 접어 두었다가 대설특보 시 취약부위 지지)

 

농작물 재해보험상품 보장 범위를 확대하고, 보험상품 홍보를 통해 농가의 재해보험 가입을 활성화한다.

 

- 복구비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비규격형 비닐하우스*도 시설 보강 시 풍수해 보험 가입이 가능함을 농가에 적극 안내할 예정이다.

 

* 내재해형 또는 표준형 비닐하우스 이외의 비닐하우스


5. 습설 예보 및 대응체계 개선

 

짧은 시간 강하게 내리는 눈에 대비·대응할 수 있도록 단기간 강설 강도를 반영한 대설 재난문자 시행을 위한 발송기준* 및 시스템을 마련한다.

 

* (예시) 시간당 5cm 이상 적설량 관측 시 재난문자 발송

 

아울러, 풍수해 대응 매뉴얼에 개선된 재난문자 발송 기준과 수상당량비*(SRR)를 고려한 조치사항을 반영할 계획이다.

 

* 강수량 대비 적설량의 비율로, 수상당량비가 낮을수록 무거운 눈(습설) 형태

 

6. 피해자 신속 보호 지원

 

신속한 시설 복구를 위해 농·축산 피해시설 철거비용으로 피해복구비의 10%를 추가 지급하고, 축사 신·개축 시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한다.

 

* 소규모 축사 개축 시 기존 설계도를 활용하거나, 신축 또는 재축 시 축사표준설계 활용하면 건축허가 없이 건축신고로 갈음(건축법)

 

피해를 입은 농어업인이 보다 편리하게 융자를 이용할 수 있도록 농·어업 재해대책자금 특례보증제도를 집중 홍보한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현실로 다가온 기후위기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이번에 마련한 정부 대책이 현장에서 제대로 이행될 수 있도록 꼼꼼히 살피겠다라고 말했다.



(2025.01.16 행정안전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029 커피전문점 종이팩, 따로 모아 귀중한 자원으로 활용 한국생산성본부 2024-10-22 227
3028 행안부-KB금융그룹, ‘착한가격업소 활성화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4-10-22 196
3027 복합적인 물문제 해결하고 안전한 물순환 관리체계 구축… 물순환촉진법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4-10-22 206
3026 성범죄자 취업제한 점검·확인결과 지자체 및 교육청 등 누리집에 공개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0-22 230
3025 중기부-교육부 협업을 통해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기업-대학 협력 기반 마련 비회원 2024-10-22 351
3024 국내 최초 저탄소 돼지/젖소 인증 농장 68호 탄생 한국생산성본부 2024-10-11 278
3023 공기청정기의 부유세균 저감성능 평가방법, 국가표준으로 제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10-11 250
3022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절대량 방식으로 개편 한국생산성본부 2024-10-11 202
3021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안전 증진과 탄소중립 실현 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4-10-11 252
3020 “국가자격 운영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고”를 위한 한국산업인력공단-부산교통공사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4-10-11 241
3019 국내 최초 재난안전산업 전문지 ‘안전누리’ 발간 한국생산성본부 2024-10-11 170
3018 무탄소에너지(CFE) 글로벌 작업반 공식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4-10-11 224
3017 친환경연료 추진 크루즈선 국내에 최초로 입항 한국생산성본부 2024-10-11 206
3016 충북 지역 중소기업의 일·생활 균형과 양성평등 지원을 위한 교육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10-11 204
3015 무공해차 환경인증평가 전문가 양성에 가상현실 활용 비회원 2024-10-11 185
3014 보건복지부-카카오, 어르신 디지털 교육을 위해 협력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208
3013 단위가격표시제 온라인쇼핑몰 확대 시행 예고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253
3012 플라스틱 저감 위해 국내 최초로질소 충전 먹는샘물 제품 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221
3011 매년 사라지는 남극 빙하의 70%는 서남극에서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223
3010 글로벌 친환경 인증, 섬유·패션 산업의 새로운 도전과 기회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