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기후로 인한 폭설과 강풍 대비 개선대책 마련

담당부서 :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는 이상기후로 인한 폭설·강풍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함께 폭설강풍 대응체계 개선대책을 마련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해 11117년 만의 기록적인 폭설*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최근 기후변화를 고려해 향후 폭설·강풍 피해를 예방하고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 일최심적설량(’24.11.25.~28.) : 용인 47.5cm, 시흥 32.3cm, 안성 31.9cm

 

대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주요 취약시설 집중점검 및 국민신고 활성화

 

지난해 11월 강설로 피해가 컸던 적설 취약시설물을 대상으로 구조 안정성과 관리 실태를 점검(1월 중)한다.

 

안전신문고*를 활용해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24.11.15.~’25.3.15.) 동안 생활 주변 취약시설 안전신고도 활성화한다.

 

* 재난·안전 위험요소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해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누리집, )

 

2. 국민행동요령 홍보 및 피해 예방 기술지원


피해가 자주 발생하는 5대 위험요인(붕괴, 전도, 미끄러짐, 정체, 고립) 대비 행동요령을 집중 홍보한다.

 

- 특히, 노후주택이나 비닐하우스 거주자는 위험 기상 시 인근 보호 시설을 이용하게 하고, 붕괴가 우려될 경우 사전대피를 적극 안내할 예정이다.

·축산시설 피해 예방을 위해 농·축가에 재난정보 제공과 현장 지도를 강화한다.

 

- 대설 대비 행동요령과 시설관리 매뉴얼을 적극 안내하고, ·축산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중앙·지방 기술지원단을 운영해 현장 자문과 기술지원을 제공한다.

 

3. 시설 구조물 내설 및 내풍 기준 재검토

 

최근 폭설 빈도, 습설 양상을 고려해 건축구조기준 중 설하중 기준을 개선한다.

 

- 특히, 현행 건축구조기준 적용 대상에서 제외됐던 3층 미만 가설건축물의 구조 안전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비닐하우스와 같은 원예특작시설 내재해(내설·내풍) 설계기준도 최근 기상자료를 반영해 현실에 맞게 개선한다.

 

그 밖에 교통, 항만 등 주요 시설에 대해서도 내설·내풍 기준 적정성을 검토해 추가 개선과제를 발굴할 예정이다.

 

4. 비규격 시설물 관리 강화

 

적정 설계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시설물 관리를 강화한다.

 

- 노후 축사비닐하우스는 보강 시설*을 설치해 구조 안전성을 확보하고, 시장 아케이드와 같은 부속시설물은 기둥과 지붕덮개 설치를 규격화한다.

 

* H, 이동식 보조기둥(평상시 접어 두었다가 대설특보 시 취약부위 지지)

 

농작물 재해보험상품 보장 범위를 확대하고, 보험상품 홍보를 통해 농가의 재해보험 가입을 활성화한다.

 

- 복구비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비규격형 비닐하우스*도 시설 보강 시 풍수해 보험 가입이 가능함을 농가에 적극 안내할 예정이다.

 

* 내재해형 또는 표준형 비닐하우스 이외의 비닐하우스


5. 습설 예보 및 대응체계 개선

 

짧은 시간 강하게 내리는 눈에 대비·대응할 수 있도록 단기간 강설 강도를 반영한 대설 재난문자 시행을 위한 발송기준* 및 시스템을 마련한다.

 

* (예시) 시간당 5cm 이상 적설량 관측 시 재난문자 발송

 

아울러, 풍수해 대응 매뉴얼에 개선된 재난문자 발송 기준과 수상당량비*(SRR)를 고려한 조치사항을 반영할 계획이다.

 

* 강수량 대비 적설량의 비율로, 수상당량비가 낮을수록 무거운 눈(습설) 형태

 

6. 피해자 신속 보호 지원

 

신속한 시설 복구를 위해 농·축산 피해시설 철거비용으로 피해복구비의 10%를 추가 지급하고, 축사 신·개축 시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한다.

 

* 소규모 축사 개축 시 기존 설계도를 활용하거나, 신축 또는 재축 시 축사표준설계 활용하면 건축허가 없이 건축신고로 갈음(건축법)

 

피해를 입은 농어업인이 보다 편리하게 융자를 이용할 수 있도록 농·어업 재해대책자금 특례보증제도를 집중 홍보한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현실로 다가온 기후위기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이번에 마련한 정부 대책이 현장에서 제대로 이행될 수 있도록 꼼꼼히 살피겠다라고 말했다.



(2025.01.16 행정안전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41 친환경직불금 7년 만에 개편 총괄관리자 2025-02-11 228
3140 위기가구 발굴부터 지원까지! 민관이 함께 만드는 맞춤형 복지 총괄관리자 2025-02-11 108
3139 담배 유해성분 의무 공개 내년부터 총괄관리자 2025-02-11 191
3138 안전한 농작업 환경 조성으로 사망 사고율 2029년까지 연평균 3% 저감 총괄관리자 2025-02-11 164
3137 「이산화탄소저장활용법」 시행 총괄관리자 2025-02-11 183
3136 탄소중립·에너지 안정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투자 확대 총괄관리자 2025-02-05 217
3135 겨울철 공사 현장 특별 안전점검 시작으로 문화·체육·관광 현장 안전 강화한다 총괄관리자 2025-02-05 196
3134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 선도 모델을 찾습니다 총괄관리자 2025-02-05 143
313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법 시행령 개정 총괄관리자 2025-02-05 154
3132 친환경 열원을 이용한 농업용 온습도 조절 냉난방기로 탄소배출 감축! 총괄관리자 2025-02-05 96
3131 2024년 공공앱 운영 성과평가 결과 공개 총괄관리자 2025-02-05 70
3130 기후변화에 대비한 배수시설 강화로 상습침수 농경지 대폭 줄인다 총괄관리자 2025-02-05 70
3129 탄소중립 꿈꾸는 대학생 녹색 인재로 키운다 총괄관리자 2025-02-05 93
3128 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재난안전관리체계 본격 가동 총괄관리자 2025-01-22 212
3127 한국고용정보원, ESG경영 실천을 위해 사회복지시설 찾아 기부활동 펼쳐 총괄관리자 2025-01-22 97
3126 기후·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잠재 재난, 선제적으로 찾아내고 예방한다 총괄관리자 2025-01-22 92
3125 탄소중립 유망기업, 산업부·환경부·중기부가 함께 지원한다 총괄관리자 2025-01-22 158
3124 벼 재배 농업인 대상 “저탄소농업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실시 총괄관리자 2025-01-22 143
3123 해양폐기물·기후위기 문제 해결을 위해 해양수산부·환경부 힘 모은다 총괄관리자 2025-01-22 160
3122 전기·전자제품 순환이용 활성화… 민간기업·공공기관 힘 모은다 총괄관리자 2025-01-22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