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기후로 인한 폭설과 강풍 대비 개선대책 마련

담당부서 :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는 이상기후로 인한 폭설·강풍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함께 폭설강풍 대응체계 개선대책을 마련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해 11117년 만의 기록적인 폭설*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최근 기후변화를 고려해 향후 폭설·강풍 피해를 예방하고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 일최심적설량(’24.11.25.~28.) : 용인 47.5cm, 시흥 32.3cm, 안성 31.9cm

 

대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주요 취약시설 집중점검 및 국민신고 활성화

 

지난해 11월 강설로 피해가 컸던 적설 취약시설물을 대상으로 구조 안정성과 관리 실태를 점검(1월 중)한다.

 

안전신문고*를 활용해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24.11.15.~’25.3.15.) 동안 생활 주변 취약시설 안전신고도 활성화한다.

 

* 재난·안전 위험요소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해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누리집, )

 

2. 국민행동요령 홍보 및 피해 예방 기술지원


피해가 자주 발생하는 5대 위험요인(붕괴, 전도, 미끄러짐, 정체, 고립) 대비 행동요령을 집중 홍보한다.

 

- 특히, 노후주택이나 비닐하우스 거주자는 위험 기상 시 인근 보호 시설을 이용하게 하고, 붕괴가 우려될 경우 사전대피를 적극 안내할 예정이다.

·축산시설 피해 예방을 위해 농·축가에 재난정보 제공과 현장 지도를 강화한다.

 

- 대설 대비 행동요령과 시설관리 매뉴얼을 적극 안내하고, ·축산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중앙·지방 기술지원단을 운영해 현장 자문과 기술지원을 제공한다.

 

3. 시설 구조물 내설 및 내풍 기준 재검토

 

최근 폭설 빈도, 습설 양상을 고려해 건축구조기준 중 설하중 기준을 개선한다.

 

- 특히, 현행 건축구조기준 적용 대상에서 제외됐던 3층 미만 가설건축물의 구조 안전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비닐하우스와 같은 원예특작시설 내재해(내설·내풍) 설계기준도 최근 기상자료를 반영해 현실에 맞게 개선한다.

 

그 밖에 교통, 항만 등 주요 시설에 대해서도 내설·내풍 기준 적정성을 검토해 추가 개선과제를 발굴할 예정이다.

 

4. 비규격 시설물 관리 강화

 

적정 설계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시설물 관리를 강화한다.

 

- 노후 축사비닐하우스는 보강 시설*을 설치해 구조 안전성을 확보하고, 시장 아케이드와 같은 부속시설물은 기둥과 지붕덮개 설치를 규격화한다.

 

* H, 이동식 보조기둥(평상시 접어 두었다가 대설특보 시 취약부위 지지)

 

농작물 재해보험상품 보장 범위를 확대하고, 보험상품 홍보를 통해 농가의 재해보험 가입을 활성화한다.

 

- 복구비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비규격형 비닐하우스*도 시설 보강 시 풍수해 보험 가입이 가능함을 농가에 적극 안내할 예정이다.

 

* 내재해형 또는 표준형 비닐하우스 이외의 비닐하우스


5. 습설 예보 및 대응체계 개선

 

짧은 시간 강하게 내리는 눈에 대비·대응할 수 있도록 단기간 강설 강도를 반영한 대설 재난문자 시행을 위한 발송기준* 및 시스템을 마련한다.

 

* (예시) 시간당 5cm 이상 적설량 관측 시 재난문자 발송

 

아울러, 풍수해 대응 매뉴얼에 개선된 재난문자 발송 기준과 수상당량비*(SRR)를 고려한 조치사항을 반영할 계획이다.

 

* 강수량 대비 적설량의 비율로, 수상당량비가 낮을수록 무거운 눈(습설) 형태

 

6. 피해자 신속 보호 지원

 

신속한 시설 복구를 위해 농·축산 피해시설 철거비용으로 피해복구비의 10%를 추가 지급하고, 축사 신·개축 시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한다.

 

* 소규모 축사 개축 시 기존 설계도를 활용하거나, 신축 또는 재축 시 축사표준설계 활용하면 건축허가 없이 건축신고로 갈음(건축법)

 

피해를 입은 농어업인이 보다 편리하게 융자를 이용할 수 있도록 농·어업 재해대책자금 특례보증제도를 집중 홍보한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현실로 다가온 기후위기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이번에 마련한 정부 대책이 현장에서 제대로 이행될 수 있도록 꼼꼼히 살피겠다라고 말했다.



(2025.01.16 행정안전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11 한국고용정보원, ESG 경영 관련 GRI Standards 국제적 검증 완료 총괄관리자 2025-01-16 228
3110 환경인재개발원·인천교육청, 교원 환경교육역량 강화 위한 협약 체결 총괄관리자 2025-01-16 129
3109 미래 선박연료 수요의 든든한 뒷받침 「친환경 선박연료 인프라 펀드」 출범 총괄관리자 2025-01-16 114
3108 중소·중견기업, 이자부담은 줄이고 녹색투자는 늘린다 총괄관리자 2025-01-16 118
3107 차세대 폐자원에너지 종합정보관리시스템 선보인다 총괄관리자 2025-01-16 88
3106 “업종특성을 반영하여 사업장의 안전을 확보한다!” 「업종별 협·단체 네트워크 지원사업」 접수 개시 총괄관리자 2025-01-09 139
3105 2022년도 온실가스 배출량 7억 2,429만톤, 전년 대비 2.3% 감소 총괄관리자 2025-01-09 284
3104 이제 위험성평가를 온라인과 모바일로 더 쉽고 간편하게! 총괄관리자 2025-01-02 287
3103 스포츠윤리센터 역할 확대로 체육인 인권보호 강화 총괄관리자 2025-01-02 626
3102 향후 10년간 배출권거래제 청사진 확정, 온실가스 감축으로 기업 탄소경쟁력 견인 총괄관리자 2025-01-02 108
3101 현장 및 기술 여건을 반영한 자원순환분야 규제 개선 총괄관리자 2025-01-02 239
3100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기반 녹색투자규모 확대 총괄관리자 2024-12-26 169
3099 「녹색여신 관리지침」 제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89
3098 경기권 반도체 사업장, 물 재이용 사업 본격 추진… 하루 12만 톤 규모 공급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75
3097 생활화학제품 원료 안전성 정보, 나뭇잎 개수로 알기 쉽도록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44
3096 국립과천과학관 ‘RE100’ 선언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36
3095 환경교육으로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준비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22
3094 “기업 건강이 곧 근로자 건강” 2024년 26개 건강친화기업 인증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646
3093 ’24년 지속가능경영 유공 21개 기업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462
3092 어업인 살리고, 수산물 공급 안정화... 기후변화 대응 종합 계획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9 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