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PRI, EU 택소노미 도전과제와 권장사항 담은 “테스트 보고서’ 공개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81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05

유엔책임투자원칙(UN PRI)은 유럽연합(EU) 그린 택소노미(Green Taxonomy, 녹색분류체계)를 이행 따른 도전과제와 극복을 위한 권장사항을 담은 ‘택소노미 테스트 보고서(Testing the taxonomy report)’를 지난 28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는 UN PRI 실무자 그룹(TPG)이 2020년 9월 공개한 ‘PRI의 택소노미 테스팅’의 후속 보고 서이다. TPG는 EU 택소노미를 탐구하고 실제 적용을 공유하기위해 2019년 UN PRI 내부에서 발족된 그룹으로, 블랙록, 모건스탠리 등 40여개 굴지의 투자사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 9월 보고서에서는 TPG 소속 기업의 35개 이상의 EU 택소노미 적용 사례 연구와 그에 따른 우려사항 권장사항이 담겨 있다. 이 같은 내용과 후속 조사(금융사 인터뷰 등) 결과를 토대로 금융계 전반이 직면할 있는 과제를 식별해 해결방안과 지침을 이번 발간 보고서에 담은 것이다.


2020년 6월 유럽연합이 채택한 그린 택소노미는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녹색) 경제 활동으로 인정되 목록을 담은 분류 체계이다. 즉, 어떠한 활동이 친환경적인지를 분류해주는 체계다. 이러한 소노미는 EU의 2050 넷제로(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필요한 수단 하나이다. 넷제로 달성을 위해서는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사업과 활동에 민간 투자를 많이 유도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어떤 금융 투자 활동 사업이 친환경적인지 분류해주는 체계가 밑바탕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택소 노미는 EU의 기후, 환경 목표에 맞는 민간 투자 목적의 경제 활동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에 대한 기준과 조건을 담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이 같은 녹색 분류체계인 택소노미가 금융섹터에서 기본적으로 투자상품의 경성과를 측정하고 파악하는데 사용되지만, 추가적으로 △수혜자(beneficiaries) 지속가능성 선호도 평가 △지속가능한 투자 기회 식별 △현재 잠재적 보유지분에 대한 (지속가능성 측면) 실사 △녹색 금융 상품 설계 △스튜어드십 활동 안내 △투자 포트폴리오 지속가능성 성과 측정 등에 사용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택소노미와 영향권에 있는 지속가능금융공시제도(SFDR)가 완성되어 가는 과정 중에 있기 문에, 현재로서는 금융섹터가 이를 적용함에 있어 우려사항이 존재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특히 데이터 활용 측면과 기준, 운영 측면에서 택소노미를 적용하는 따르는 우려사항이 있다고 보았으며, 그에 따른 해결 권고 사항을 아래와 같이 식별해 제시했다.


1. 데이터 기준




2. 기준(Criteria)



(UN PRI, 2022.4.28)

https://www.unpri.org/eu-policy/implementing-the-eu-taxonomy-an-update-to-the-pris-testing-the-taxonomy-report/9807.article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83 기업의 탄소중립 전환 지원을 위해 자산손실 개념 정립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21 562
382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시행 20주년 기념 전문가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21 561
381 상수도관 등 녹색산업 수출기업 경쟁력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21 547
380 ‘블루카본 추진전략’ 발표… 블루카본으로 해양의 기후재해 대응능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93
379 공정한 식재료 공급과 농업분야 사회가치경영(ESG)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65
378 정부청사 커피전문점 "일회용컵 안씁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3
377 공공부문 저공해차 구매·임차, 2022년 구매실적 및 2023년 구매계획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82
376 환경을 위해 녹색제품 쓰세요… 2023년 녹색소비주간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0
375 온실가스 관측 초소형 위성 개발 위해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5
374 여름철(6~8월) 해양사고 예방대책 수립·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5
373 아세안과 에너지 전환의 시대를 준비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0
372 노사발전재단, 라오스 노동사회복지부 초청 노동법·제도 개선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92
371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 위해 화학규제 혁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16
370 국민 목소리에 응답한 고용노동 규제혁신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88
369 국민과 미래세대를 위해 미룰 수도, 미뤄서도 안되는 노동개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92
368 고용노동부, 기업의 근로시간면제제도 운영현황 등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1
367 안전을 보는 눈, 위험성평가 현장을 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1
366 기업 환경정보, 환경정보공개시스템에서 미리 확인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5
365 환경위성 관측 이산화질소 평균 농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26
364 해양 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글로벌 리더들이 부산에 모였다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계기 리더스서밋 개최(5…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