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농작업 환경 조성으로 사망 사고율 2029년까지 연평균 3% 저감

담당부서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농작업으로 인하여 농업인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2(20252029) 농업작업안전재해 예방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

 

기본계획은 농어업인의 안전보험 및 안전재해예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농작업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5년 단위 계획으로, 1차 기본계획(20202024) 수립·시행 이후 이번 제2차 기본계획(2025~2029)을 마련하였다.

 

* 기본계획 수립으로 사망 비율(만인율) 3.47(‘16’18 평균)에서 2.78(‘20’23 평균) 19.9% 감소

 

이번 기본계획은안전한 일터, 건강한 농업인, 함께 잘사는 대한민국이라는 비전하에 농작업으로 인한 사망 사고율을 2029년까지 연평균 3%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사망 만인율(농업인안전보험 가입자 기준) : (‘20’23평균) 2.78‱ → (‘29) 2.38

 

목표 달성을 위한 사전예방 노력·기술개발·안전문화 확산·인프라 강화 등 주요 분야에 대한 추진계획을 다음과 같이 마련하였다.

 

첫째, 농작업 재해 예방을 위해 작업장 위험성을 사전 진단·개선을 지원하는 농작업안전관리자를 육성(’29: 120)하고 현장에서 안전재해 예방활동을 수행하는 농업인안전리더 양성 교육을 강화하며(9) 이를 위해 안전재해 예방 교육콘텐츠도 확대(38)할 계획이다. 또한, 농기계 사고 저감을 위해서 농기계 사고시 119상황실과 연계하는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둘째, 농업분야 중대·고빈도 사고에 대한 원인과 위험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농작업 환경 유해 요인 저감 기술을 개발·보급해 나가고 섬유 등 고기능 첨단소재를 활용한 개인보호구와 스마트 기술이 접목된 안전 장비를 개발하여 고령·여성농업인 등의 안전도 강화해 나간다.

 

셋째, 농작업 안전 문화 확산과 폭염 등 기후위기로부터 농업인 안전을 강화해 나간다. 농작업 안전을 실천하는 우수사례(’25:10’29:50)를 발굴하고 농작업 안전 캠페인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폭염 재난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을 마련하고 여성농업인 특수건강검진을 금년부터 전국 51~70세 전체 여성농업인으로 확대하며, 접근성이 취약한 농촌에 농촌왕진버스 운영(찾아가는 의료서비스) 지원과 증가하는 이주민 근로자에 대한 농작업 안전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취약계층을 위한 디지털 기반의 농작업 안전보건 기술정보 콘텐츠와 실습·참여형 스마트 콘텐츠(동영상, XR(확장현실, Extended Reality)도 개발·보급한다.

 

넷째, 농식품부·농진청·지자체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농작업재해예방협의회를 통해 제도를 개선해 나가고, 농업인이 농작업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안전사고를 당할 경우 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정책보험 가입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

 

* 농업인안전보험 가입자/가입률 : (‘22)912천명/64.0% (’23)953/66.4 (’24)992/70.3

* 농기계종합보험 가입대수 : (‘22)141천대 (’23)153 (’24)173

 

한편, 지자체 농작업 안전재해 예방 강화를 위해 안전 조례 제정을 확대하고 빅데이터에 기반한 농작업 사고 고위험군을 도출 재해를 예측하는 농작업재해 예·경보 시스템도 개발하는 등 안전재해 예방 인프라를 강화할 예정이다.

 

* 조례 제정 지자체 현황(누계) : (‘24) 43(’25) 60 (‘27) 80 (’29) 100

 

농식품부 윤원습 농업정책관은 기본계획의 이행을 위하여 농촌진흥청,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강화해 나가는 한편, 연도별 시행계획의 수립·시행으로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하여 안전한 농작업 환경이 조성되도록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2025.02.06 농림축산식품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03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산업-노동 합동간담회 개최 총괄관리자 2025-08-11 38
3302 2024년 장애인차별금지법 이행 실태조사 결과 발표 총괄관리자 2025-08-11 59
330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국내외 학생들이 협력해 개발한 ‘앱’ 선보여 총괄관리자 2025-08-11 39
3300 환경부 장관, ㈜영풍 석포제련소 현장 방문, 철저한 환경안전관리 당부 총괄관리자 2025-08-07 89
3299 노동권 보호, 지방정부와 함께 더욱 두텁게! 총괄관리자 2025-08-07 91
3298 택배업종 온열질환 예방 및 불공정하도급거래 개선 등을 위한 관계부처 합동 불시 점검 총괄관리자 2025-08-07 86
3297 저탄소 농산물 인증농가 1만 1,690호로 확대, 신규 탄소감축 기술 도입 등 지속 확대 노력 총괄관리자 2025-08-07 105
3296 폐기물공정시험기준 개정으로 분석 신뢰도 향상 총괄관리자 2025-08-07 102
3295 산업부장관,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에너지공기업의 철저한 안전관리 당부 총괄관리자 2025-08-07 75
3294 김영훈 노동부 장관, 어제 발생한 포스코이앤씨 건설현장 사고에 강력한 유감 표명 총괄관리자 2025-08-07 100
3293 기후위기 대응 협력 강화를 위한 한국-태국 제3차 물관리 공동위원회 개최 총괄관리자 2025-08-07 75
3292 고구마의 달콤함을 품은 고창으로, 지역 상생의 맛있는 여정 총괄관리자 2025-08-04 92
3291 공신력 있는 녹색금융 실무 전문가 첫 배출, 탄소중립 금융 뒷받침 총괄관리자 2025-08-04 92
3290 가상현실(VR) 기술로 무공해차 환경인증 전문가를 양성한다 총괄관리자 2025-08-04 100
3289 배경훈 장관, 기록적 폭염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영등포우체국 현장점검 총괄관리자 2025-08-04 86
3288 산업부, 업계와 태양광산업 경쟁력강화방안 논의 총괄관리자 2025-08-04 93
3287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25년 사회적가치지표(SVI) 측정기업 모집 총괄관리자 2025-08-04 79
3286 노동부 장관, 외국인 노동자 집단 임금체불 사건 전담팀 구성 지시 총괄관리자 2025-08-04 83
3285 APEC 자동차대화, 지능형·친환경 미래차 기술·정책 논의 이어간다 총괄관리자 2025-08-04 77
3284 563MW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사업 확정 총괄관리자 2025-08-04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