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가구 발굴부터 지원까지! 민관이 함께 만드는 맞춤형 복지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KMI한국의학연구소(이사장 이광배), 수원특례시(시장 이재준), 충남 아산시(시장 권한대행 조일교)와 함께 26() 울 중구 KMI한국의학연구소 재단 본부에서 복지 위기가구 지원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

 

협약 참석자 : 이스란 사회복지정책실장(복지부), 이광배 이사장(한국의학연구소), 김현수 제1부시장(수원시), 조일교 부시장(아산시)

 

이번 협약은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기관이 힘을 모아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복지 위기가구를 선제적으로 발굴·지원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6월부터 전국 운영 중인복지위기 알림 앱* 통해 위기가구를 신속하게 발굴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업의 홍보를 담당한다. KMI한국의학연구소는 사업 운영을 위한 예산 지원과 함께 건강검진을 제공.

 

* 경제적 어려움, 건강 문제, 사회적 고립 등 복지위기 상황을 겪고 있는 국민 누구나 민센터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쉽고 간편하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앱 서비스

 

원특례시고독사 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여 외출 유도 쿠폰 지급, 웃 일촌 맺기, 건강검진 지원 등 사회적 고립 해소 프로그램을 운영 예정이다. 아산시공적 지원 이후에도 추가 지원이 필요한 위기가구를 대상으로 의료비, 주거비, 교육비 등을 지원하는 맞춤형 복지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을 통해 복지 위기가구를 선제적으로 아내고, 복지위기 알림 앱을 통해 현장의 위기 신호를 빠르게 포착해 위기 상황의 해소를 지원하기 위한 대응체계를 운영해왔다. 또한,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좋은이웃들 등 지역사회의 민간 자원을 적극 활용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추진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이스란 사회복지정책실장이번 협약을 통해 공공과 간이 협력하여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지원이 가능해질 것으로 된다, “민관협력을 통한 위기가구 지원사업성공적인 모델 자리 잡아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KMI한국의학연구소 이광배 이사장이번 협약을 통해 취약계층에게 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전했.

 

수원특례시 김현수 제1부시장사회적 고립으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이웃과 함께하는 지역사회 조성 위해 힘쓰겠다라며 적극적인 협력을 다짐했다.

 

아산시 조일교 부시장복지위기 알림 앱을 통해 복지 위기가구를 속히 발굴하고, 공공과 민간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지속 가능한 복지 체계를 구축하겠다라고 강조했.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민관 협력을 더욱 강화하여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위기가구 지원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5.02.06 보건복지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05 2022년도 온실가스 배출량 7억 2,429만톤, 전년 대비 2.3% 감소 총괄관리자 2025-01-09 312
3104 이제 위험성평가를 온라인과 모바일로 더 쉽고 간편하게! 총괄관리자 2025-01-02 302
3103 스포츠윤리센터 역할 확대로 체육인 인권보호 강화 총괄관리자 2025-01-02 763
3102 향후 10년간 배출권거래제 청사진 확정, 온실가스 감축으로 기업 탄소경쟁력 견인 총괄관리자 2025-01-02 119
3101 현장 및 기술 여건을 반영한 자원순환분야 규제 개선 총괄관리자 2025-01-02 262
3100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기반 녹색투자규모 확대 총괄관리자 2024-12-26 182
3099 「녹색여신 관리지침」 제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205
3098 경기권 반도체 사업장, 물 재이용 사업 본격 추진… 하루 12만 톤 규모 공급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85
3097 생활화학제품 원료 안전성 정보, 나뭇잎 개수로 알기 쉽도록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55
3096 국립과천과학관 ‘RE100’ 선언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52
3095 환경교육으로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준비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31
3094 “기업 건강이 곧 근로자 건강” 2024년 26개 건강친화기업 인증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736
3093 ’24년 지속가능경영 유공 21개 기업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525
3092 어업인 살리고, 수산물 공급 안정화... 기후변화 대응 종합 계획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9 506
3091 생활화학제품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민관 이행협의체 새롭게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40
3090 한국-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국과 글로벌 자발적 탄소 메커니즘 공동개발 합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332
3089 외교부, 해외발 공급망 위기에 대비한 관계부처 합동 대응훈련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19
3088 전력구매계약(PPA), 망이용료 지원 및 펀드 투자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87
3087 우리 기후변화대응 기술의 해외진출 활성화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74
3086 농식품부, 농장동물의 복지 인식 개선을 위한 보편적 가이드라인 검토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