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고도화 추진

담당부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기후·환경분야 연구개발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및 국제 협력 대표 사업(글로벌 협력 래그십 프로젝트)을 추진하기 위해 ‘25년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결과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1기후·환경 연구개발 분야에 862억 원을 투자하 2025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을 발표하였고, 그 중 올해 신규로 추진되는 6개 사업 27개 신규과제(25233.7억 원) 선정결과를 발표하였다.

 

수소, 탄소 포집활용(CCU) 탄소중립 국제공동연구 추진

 

먼저, 국가적으로 중요한 기술 확보를 위해 1차 국제 연구개발 대표 사업(글로벌 R&D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선정(’24.5.30., 2회 국제 연구개발<글로벌 R&D> 특별위원회) 수소, 탄소 포집활용(CCU*) 분야 국제공동 연구개발 사업을 착수한다.

 

* Carbon Capture & Utilization : 온실가스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친환경 연료, 화학물질, 건설소재 등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

 

수소분야는 미국·독일 등 해외 선도 연구그룹과 협력하여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수전해(AEM SOEC) 혁신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미국 에너지부 산하 아르곤 국립연구소(Argonne National Laboratory) 태평양 북서부 국립연구소(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12개 기관 협력하여 고체산화물 수전해전지의 내구성 향상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탄소 포집활용 분야는 미국·영국 등과 탄소 포집 기술의 상용성·비용 저감 등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특히, 한양대학교는 미국 에너지부 산하 브룩이븐 국립연구소(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협력하여 무탄소 에너지를 활용하여 지속가능항공유(e-SAF)를 생산하는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탄소 포집활용(CCU) 소 감축 평가·인증체계 구축과제는 국내 최초로 탄소 포집활용 기술에 대한 탄소감축 평가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한다. 탄소 포집활용(CCU) 탄소감축 평가 온라인 체제 기반이 구축되면, 탄소 포집활용(CCU) 제품 탄소발자국 산정,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통합법에 따른 탄소 포집활용 기술제품 증 제도운영 등에 있어 정량적인 탄소 감축 수치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기술 개발에 인공지능 활용 강화

 

세 번째로 인공지능 기반 미래기후기술개발 원천연구사업은 인공지능 시대 인공지능을 활용한 한반도 미래기후 예측·대응 원천 기술 개발을 통해 국가의 기후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고 미래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한다.

 

기존 물리법칙 등 역학 기반 기후예측 모델의 정확도와 순수 인공지능 기후 예측 모형의 빠른 처리속도를 결합한 인공지능-역학 전지구 기후모형 개발, 인공지능을 활용한 한반도 복합기후재해 예측 등을 통해 급변하는 한반도 기후의 중장기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탄소에너지 기술개발

 

네 번째로 무탄소에너지 기술개발사업은 차세대 초격차 태양전지, 무탄소 연료활용·초고성능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을 통해 무탄소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원천기술 및 국내외 현장 적용을 위한 기반기술(내구성, 안정성 등) 확보를 추진한다.

 

차세대 초격차 태양전지는 기존 단일접합(페로브/실리콘 탠덤) 태양전지의 한계극복다중접합 태양전지 개발 등으로 효율성제고(기존 27% 35% 이상)하고, 건물·차량 등 적용공간의 한계 극복하기 위한 원천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의 경우 고온(700이상)에서 운용되는 만큼 내구 부족 쟁점을 극복하고, 효율성을 제고(기존 63% 68% )하는 등,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확보하기 위한 연료전지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섯 번째로 차세대 탄소 포집활용(CCU) 기술고도화 사업은 무탄소에너지와 연계하여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전주기 기술 실증을 통해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제철 공정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액상연료(메탄올 등)를 생산하는 촉매, 공정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발전소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제공받고, 수전해 수소를 활용하여 고상원료(합성원유 등)를 생산하는 촉매, 공정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청정수소기술자립사업(그린수소기술자립프로젝트사업)24년 수소기술 자립화를 위한 수전해 기술개발을 위해 신규로 추진된 사업으로, 올해 선정된 연구과제는 ‘24년에 선정된 알칼라인 수전해, 양성자교환막(PEM) 수전해 국가수소중점연구실과 연계하여 청정수소(그린수소) 기술의 자립화를 위한 동반상승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

 

이번에 선정되는 과제는 최대 6년간 지원예정이며, 개별 주관연구기관에 선정결과 통보 후 이의신청기간을 거쳐 협약될 예정이다.


(2025. 04.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275 택배포장 중량 줄이기 등 유통업계 포장재 감축 노력 공유한다 총괄관리자 2025-08-04 63
3274 유독물질 지정체계 차등화 등 화학물질 관리체계 개선 추진 총괄관리자 2025-08-04 70
3273 「고용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총괄관리자 2025-08-04 66
3272 새 정부 탄소중립산업 마스터플랜 수립 착수 총괄관리자 2025-08-04 58
3271 탄소중립산단 대표모델 구축사업 공모 개시 총괄관리자 2025-07-29 161
3270 환경부 장관, 재생에너지 활성화 위해 국내 최대 규모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방문 총괄관리자 2025-07-29 87
3269 노사발전재단, 「글로벌 ESG 경영과 노동인권 실천」 세미나 성황리 개최 총괄관리자 2025-07-25 101
3268 외국인 노동자 집단 괴롭힘 발생 사업장 대상 즉시 기획감독 착수 총괄관리자 2025-07-25 79
3267 근로복지공단, 폭염 대비 현장안전경영 "국민 안전이 최우선 가치" 총괄관리자 2025-07-25 86
3266 고용노동부, 촘촘한 노동권 보호를 위해 주얼리 업체 노동환경 개선에 나선다 총괄관리자 2025-07-25 73
3265 8월 부산에서 모이는 40여개국 에너지장관들, 의전차로 수소차 탄다. 총괄관리자 2025-07-23 85
3264 건설노동자 산재예방과 고용개선을 위해 협력 총괄관리자 2025-07-23 66
3263 지능형(스마트)안전기술로 중소제조현장의 중대재해를 예방한다 총괄관리자 2025-07-23 116
3262 수력에너지로 생산한 그린수소 본격 공급 총괄관리자 2025-07-23 65
3261 국제사회 기후적응 목표 달성을 위한 협력과 연대의 장 마련 총괄관리자 2025-07-23 75
3260 재생에너지전기공급사업 제도개선으로 기업의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뒷받침 총괄관리자 2025-07-23 116
3259 한국 첫 국제탄소감축사업 승인, 캄보디아와 온실가스 감축협력 본격화 총괄관리자 2025-07-23 133
3258 안전보건공단, "안전 사각지대 해소"로 제14회 아시아 로하스(ESG) 산업대전 대상 수상 총괄관리자 2025-07-23 40
3257 중대재해 발생 택배업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엄정 수사 총괄관리자 2025-07-21 83
3256 폐자원 3개 품목 재활용 쉬워진다… 폐식용유 등 순환자원 지정 품목 확대 총괄관리자 2025-07-21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