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협약 지속가능한 해양 이니셔티브’ 지원 양해각서 유효기간 5년 연장

담당부서 :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과 체결한 생물다양성협약 ‘지속가능한 해양 이니셔티브’** 지원에 관한 양해각서의 유효기간을 2030년까지 연장하기 위한 서명식을 4월 28일(월) 부산 BEXCO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 CBD(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생물다양성협약)

   ** SOI(Sustainable Ocean Initiative, 지속가능한 해양 이니셔티브)


생물다양성협약은 196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UN의 대표적인 환경분야 협약 중 하나다. 지난 2010년 제10차 당사국총회에서 해양 및 연안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지속가능한 해양 이니셔티브(SOI)’를 채택하였다.


지속가능한 해양 이니셔티브(SOI)는 국제포럼 개최, 해양 당국자 초청 또는 방문 연수 및 지역 역량 강화 워크숍 추진 등을 통해 해양생물 다양성 보전과 해양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 개발도상국과 군소 도서국의 해양 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채택된 사업이다.


우리나라는 2014년 강원도 평창에서 열린 제12차 당사국총회에서 2012년 여수선언*의 정신에 따라 SOI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공표하고 2015년부터 지원해 오고 있다.

    * 여수선언 : 여수세계박람회 폐막일에 발표, 해양과 연안 환경이 당면한 문제의 심각성,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 중요성, 국제협력의 시급성을 강조


해양수산부와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이 SOI 사업 지원을 위해 체결한 양해각서의 약정기한이 금년 말 도래함에 따라, 이번 서명식은 2030년까지 지원을 연장하기 위해 열렸다.


이번 양해각서 연장에 따라 우리나라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SOI 사업의 재정을 지원해 선진 해양국가로서 책임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서명식 행사에서 아스트리드 쇼마커(Astrid Schomaker) 생물다양성협약 사무총장은 우리나라의 CBD SOI 사업 협력 및 지원에 대하여 감사를 표하였으며, 향후 협력관계 확대를 요청하였다. 


이에 대해,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의 개도국 역량 프로그램 운영 및 지역해양기구와 지역수산기구의 협력 강화를 위한 노력에 감사를 표하였다. 


아울러, 강 장관은 우리나라가 국가관할권 이원지역의 해양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에 대한 협정(BBNJ* 협정)’을 비준하는 등 해양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이번 양해각서 갱신을 통해 향후 협력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 04. 29. 해양수산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082 유럽연합(EU) 공급망실사지침, 중소·중견기업이 알아야 할 핵심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25
3081 기후변화 국제협력의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44
3080 탄소발자국 검증서, 국내외 공인검증기관 간 상호인정 기반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71
3079 자연자본 공시 교육으로 기업의 자연환경 및 사회 기여 기틀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35
3078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순환경제 선도한다… 국내외 아우른 민관 협력체계 구축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328
3077 유엔 플라스틱 협약 성안을 위한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INC-5)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26
3076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기술 청사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15
3075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공시 의무화,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238
3074 국립생물자원관-한국환경보전원, 생물다양성 증진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76
3073 한국 탄소발자국 검증제도, 유럽 통용 교두보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97
3072 이제는 기업 비즈니스도 친환경차로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88
3071 환경부, 경제협력개발기구와 협력하여 미세플라스틱 국제 공동연구 선도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86
307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어업 현장의 목소리 경청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56
3069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확산, 정부와 전문건설사가 힘을 합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76
3068 안전한 인터넷 프로토콜 카메라(IP카메라) 이용환경을 조성하여 사생활 침해 등 국민 불안 해소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49
3067 윤석열 정부 환경 분야 성과 및 추진계획 정부 2년 반, 환경정책 성과 및 추진방향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374
3066 스토킹+교제폭력+디지털성범죄 복합피해지원 서비스, 전국 11개 시·도로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206
3065 폐기물 처리업 사업장 안전실태 현장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40
3064 가상현실 안전교육·훈련으로 민간 화학사고 예방·대응 역량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67
3063 재난안전 연구개발로 디지털 복제(디지털트윈) 기반지하공동구 재난관리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구현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