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 사이렌』, 사고예방의 첫걸음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는 지난 한 해 동안 중대재해 사이렌을 통해 배포한 자료를 모두 모아 2024 중대재해 사이렌책자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중대재해 사이렌은 고용노동부가 20232월부터 오픈채팅방 형태로 운영하고 있는 중대재해 정보공유 플랫폼이다. 중대재해 사고 내용과 안전대책이 담긴 중대재해 발생 알림 자료, 계절·시기별 위험요인에 대한 예방자료 등이 중대재해 사이렌을 통해 전국 산업현장 등에 신속히 전파되고 있다.

중대재해 사이렌은 개설 첫해인 ‘23년에는 47천명이 가입했고, 올해 4월에는 77천명을 돌파하는 등 가입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산업현장서는 사이렌 자료를 위험성평가,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ool Box Meeting), 임직원 안전 교육 등 다양한 재해예방 활동에 활용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하는 책자에는 지난해 전파한 중대재해 사고사례와 계절·기별 산업현장의 위험요인 예방자료 500여 건이 담겨있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중대재해 사이렌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활용 사례도 수록했다.

특히, 올해 책자에는 중대재해 사고사례를 건설·제조·기타업에 대해 공정 또는 세부 업종별로 분류하여 사업장에서 동종·유사 업종의 사고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개편했다.

김종윤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과거 사고사례를 통해 위험 요인을 미리 알고 대비한다면 사고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현장에서 중대재해 사이렌을 적극 활용하길 바라며, 정부도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적극 제공하겠다.”라고 밝혔다.

2024 중대재해 사이렌책자는 전국 고용노동부 지방 관서를 통해 현장에 배포할 예정이며, 고용노동부 누리집 정책 자료실에도 공개한다. 


(2025.05.07. 고용노동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23 해양폐기물·기후위기 문제 해결을 위해 해양수산부·환경부 힘 모은다 총괄관리자 2025-01-22 212
3122 전기·전자제품 순환이용 활성화… 민간기업·공공기관 힘 모은다 총괄관리자 2025-01-22 157
3121 한-일 양국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협력 강화키로 총괄관리자 2025-01-22 129
3120 한-아세안 메탄 감축 협력 사업 출범 총괄관리자 2025-01-22 108
3119 『2024년 여성경제활동백서』 발간 총괄관리자 2025-01-22 138
3118 이상기후로 인한 폭설과 강풍 대비 개선대책 마련 총괄관리자 2025-01-22 187
3117 에너지시설 안전관리로 민생안정에 만전 총괄관리자 2025-01-22 95
3116 농식품부, 기후변화 대응 위해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 4개소 선정 총괄관리자 2025-01-22 118
3115 농어촌 이에스지(ESG) 실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기업·기관 52개사 선정 총괄관리자 2025-01-16 195
3114 무탄소에너지의 큰 축, 재생에너지 확산 위한 산·관·학·연 협력 강화 총괄관리자 2025-01-16 114
3113 중소선사의 자율적인 ESG경영을 지원한다 총괄관리자 2025-01-16 131
3112 농식품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농산물 수급안정 대책을 추진 중 총괄관리자 2025-01-16 191
3111 한국고용정보원, ESG 경영 관련 GRI Standards 국제적 검증 완료 총괄관리자 2025-01-16 267
3110 환경인재개발원·인천교육청, 교원 환경교육역량 강화 위한 협약 체결 총괄관리자 2025-01-16 162
3109 미래 선박연료 수요의 든든한 뒷받침 「친환경 선박연료 인프라 펀드」 출범 총괄관리자 2025-01-16 138
3108 중소·중견기업, 이자부담은 줄이고 녹색투자는 늘린다 총괄관리자 2025-01-16 136
3107 차세대 폐자원에너지 종합정보관리시스템 선보인다 총괄관리자 2025-01-16 104
3106 “업종특성을 반영하여 사업장의 안전을 확보한다!” 「업종별 협·단체 네트워크 지원사업」 접수 개시 총괄관리자 2025-01-09 156
3105 2022년도 온실가스 배출량 7억 2,429만톤, 전년 대비 2.3% 감소 총괄관리자 2025-01-09 328
3104 이제 위험성평가를 온라인과 모바일로 더 쉽고 간편하게! 총괄관리자 2025-01-02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