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농축산물과 기업 상품의 회복 레시피로 산불피해지역에서 싹트는 상생

담당부서 : 행정안전부


□ 행정안전부는 5월 27일(화), 경상북도 영양군에 있는 ‘발효공방 1991*’에서 ‘행정안전부-교촌에프앤비㈜, 지역-기업 상생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1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전국에서 가장 오래된 양조장이 2018년 경영난으로 폐업하자, 영양군과 교촌에프앤비(주)의 노력으로 ‘발효공방 1991’로 재탄생, 막걸리, 장류 등 제조


○ 이번 협약식은 교촌치킨 브랜드로 널리 알려진 교촌에프앤비㈜와 동행해 경북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경상북도 5개 시군(의성군, 안동시,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등) 지역경제 회복을 지원하고, 지역-기업 상생 모델을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 인명피해 (사망 27명), 산림 및 주택소실 (9만 9,490ha/4,458채), 가축폐사 (21만 600마리) 등 경상북도 피해 추산 1,726억 원 규모의 농축산 손실과 3,862ha 농작물 피해 발생


○ 협약식에는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보, 강창동 교촌에프앤비㈜ 사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 이번 협업은 경북 산불 주불이 진화된 직후, 행정안전부에서 대구·경북이 고향인 권원강 교촌에프앤비㈜ 회장을 직접 찾아 피해지역 지원을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 제안을 받은 자리에서 권 회장은 “가능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뜻을 밝혔으며, 이에 따라 상생협업이 신속하게 추진됐다.

 

□ 이번 협약에 따라 교촌에프앤비㈜는 경상북도 5개 시군 농축산물을 대량 구매하고 이를 활용한 특화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 먼저, 발효공방 1991에서 이미 ‘은하수 막걸리’, ‘구들 고추장/된장’ 재료로 경북 농축산물을 활용하고 있지만 앞으로 구매량을 늘린다.


○ 또한, 교촌에프앤비㈜의 다른 메뉴에 들어가는 재료들 역시 경북 농축산물로 대체할 예정이며, 직원 식당 식재료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 (의성군) 딸기, 오이, 계란 / (안동시) 사과, 계란 / (청송군) 토마토, 딸기 /(영양군) 찹쌀, 고춧가루, 콩 / (영덕군) 계란, 벌꿀 등


□ 또한, 지역에서 열리는 국제대회에도 교촌에프앤비㈜를 통해 경북 5개 시군의 농축산물이 투입된다.


○ 5월 27일(화)부터 5월 31일(토)까지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열리는 ‘2025 구미아시아육상경기선수권대회’에서 교촌에프앤비㈜는 육상경기장 내 아시안푸드페스타 부스를 운영해 선수단과 대회 관계자 및 지역주민에게 ‘사랑의 과일 나눔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회의(APEC)’에서도 교촌에프앤비㈜는 경상북도 5개 시군 농축산물을 활용한 K-푸드존을 운영해 지역 농가를 지원하고, 국내외에 경북 농축산물의 우수성을 참여국에 알릴 계획이다.


○ 이와 더불어 경상북도 5개 시군의 농축산물 특화상품 개발도 이미 착수했으며, 올해 하반기를 목표로 특화상품 개발이 완료되면 전국 1,376개 매장(2024년 기준)에서 소비자에게 선보이게 된다.


□ 교촌에프앤비㈜는 1991년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출발해 전국적인 프랜차이즈로 발전한 향토기업으로, 지역에 대한 깊은 애정과 관심을 보여왔다.


○ ‘진심이 세상을 움직인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정직과 정성, 상생과 나눔의 가치를 다양한 방식으로 실천하고 있으며, 이번 협약식이 열리는 ‘발효공방 1991’ 역시 그 진심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 행정안전부는 농축산물 구매 지원 외에도 경북 5개 시군 방문객 감소와 지역관광 둔화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도 이어나갈 예정이다.


○ 공무원 대상 워케이션과 워크숍을 산불피해 지역에서 진행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며, 대한상공회의소와 협력해 경북 지역에 기업들이 워크숍을 올 수 있도록 독려하는 등 지역 소비 촉진 방안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 경북 5개 시군 워케이션 센터: 의성군논밭에 의성, 안동시하우스태화, 영덕군뚜벅이마을 등


○ 또한, 지난해 부여군과 롯데웰푸드㈜의 협업을 시작으로 이어진 지역-기업 간 상생 모델이 이번 산불 피해지역 지원으로 확대되었으며, 앞으로도 지역 특성을 반영한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상생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


□ 김민재 차관보는 “상생과 진심이 만나 산불피해지역의 조속한 일상으로 회복이 이루어지길 바란다”며, “지역과 기업의 상생협력을 확대해 지역이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지역소멸의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하겠다”라고 밝혔다.


□ 이어서, 김 차관보는 영양 체류형 전원마을과 영양고추유통공사도 함께 방문해 지방소멸대응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시간도 가졌다.


(행정안전부, 2025. 05. 27.)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29 탄소중립 꿈꾸는 대학생 녹색 인재로 키운다 총괄관리자 2025-02-05 119
3128 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재난안전관리체계 본격 가동 총괄관리자 2025-01-22 227
3127 한국고용정보원, ESG경영 실천을 위해 사회복지시설 찾아 기부활동 펼쳐 총괄관리자 2025-01-22 114
3126 기후·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잠재 재난, 선제적으로 찾아내고 예방한다 총괄관리자 2025-01-22 107
3125 탄소중립 유망기업, 산업부·환경부·중기부가 함께 지원한다 총괄관리자 2025-01-22 177
3124 벼 재배 농업인 대상 “저탄소농업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실시 총괄관리자 2025-01-22 179
3123 해양폐기물·기후위기 문제 해결을 위해 해양수산부·환경부 힘 모은다 총괄관리자 2025-01-22 212
3122 전기·전자제품 순환이용 활성화… 민간기업·공공기관 힘 모은다 총괄관리자 2025-01-22 157
3121 한-일 양국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협력 강화키로 총괄관리자 2025-01-22 130
3120 한-아세안 메탄 감축 협력 사업 출범 총괄관리자 2025-01-22 108
3119 『2024년 여성경제활동백서』 발간 총괄관리자 2025-01-22 138
3118 이상기후로 인한 폭설과 강풍 대비 개선대책 마련 총괄관리자 2025-01-22 187
3117 에너지시설 안전관리로 민생안정에 만전 총괄관리자 2025-01-22 95
3116 농식품부, 기후변화 대응 위해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 4개소 선정 총괄관리자 2025-01-22 118
3115 농어촌 이에스지(ESG) 실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기업·기관 52개사 선정 총괄관리자 2025-01-16 196
3114 무탄소에너지의 큰 축, 재생에너지 확산 위한 산·관·학·연 협력 강화 총괄관리자 2025-01-16 114
3113 중소선사의 자율적인 ESG경영을 지원한다 총괄관리자 2025-01-16 131
3112 농식품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농산물 수급안정 대책을 추진 중 총괄관리자 2025-01-16 193
3111 한국고용정보원, ESG 경영 관련 GRI Standards 국제적 검증 완료 총괄관리자 2025-01-16 269
3110 환경인재개발원·인천교육청, 교원 환경교육역량 강화 위한 협약 체결 총괄관리자 2025-01-16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