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농축산물과 기업 상품의 회복 레시피로 산불피해지역에서 싹트는 상생

담당부서 : 행정안전부


□ 행정안전부는 5월 27일(화), 경상북도 영양군에 있는 ‘발효공방 1991*’에서 ‘행정안전부-교촌에프앤비㈜, 지역-기업 상생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1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전국에서 가장 오래된 양조장이 2018년 경영난으로 폐업하자, 영양군과 교촌에프앤비(주)의 노력으로 ‘발효공방 1991’로 재탄생, 막걸리, 장류 등 제조


○ 이번 협약식은 교촌치킨 브랜드로 널리 알려진 교촌에프앤비㈜와 동행해 경북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경상북도 5개 시군(의성군, 안동시,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등) 지역경제 회복을 지원하고, 지역-기업 상생 모델을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 인명피해 (사망 27명), 산림 및 주택소실 (9만 9,490ha/4,458채), 가축폐사 (21만 600마리) 등 경상북도 피해 추산 1,726억 원 규모의 농축산 손실과 3,862ha 농작물 피해 발생


○ 협약식에는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보, 강창동 교촌에프앤비㈜ 사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 이번 협업은 경북 산불 주불이 진화된 직후, 행정안전부에서 대구·경북이 고향인 권원강 교촌에프앤비㈜ 회장을 직접 찾아 피해지역 지원을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 제안을 받은 자리에서 권 회장은 “가능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뜻을 밝혔으며, 이에 따라 상생협업이 신속하게 추진됐다.

 

□ 이번 협약에 따라 교촌에프앤비㈜는 경상북도 5개 시군 농축산물을 대량 구매하고 이를 활용한 특화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 먼저, 발효공방 1991에서 이미 ‘은하수 막걸리’, ‘구들 고추장/된장’ 재료로 경북 농축산물을 활용하고 있지만 앞으로 구매량을 늘린다.


○ 또한, 교촌에프앤비㈜의 다른 메뉴에 들어가는 재료들 역시 경북 농축산물로 대체할 예정이며, 직원 식당 식재료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 (의성군) 딸기, 오이, 계란 / (안동시) 사과, 계란 / (청송군) 토마토, 딸기 /(영양군) 찹쌀, 고춧가루, 콩 / (영덕군) 계란, 벌꿀 등


□ 또한, 지역에서 열리는 국제대회에도 교촌에프앤비㈜를 통해 경북 5개 시군의 농축산물이 투입된다.


○ 5월 27일(화)부터 5월 31일(토)까지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열리는 ‘2025 구미아시아육상경기선수권대회’에서 교촌에프앤비㈜는 육상경기장 내 아시안푸드페스타 부스를 운영해 선수단과 대회 관계자 및 지역주민에게 ‘사랑의 과일 나눔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회의(APEC)’에서도 교촌에프앤비㈜는 경상북도 5개 시군 농축산물을 활용한 K-푸드존을 운영해 지역 농가를 지원하고, 국내외에 경북 농축산물의 우수성을 참여국에 알릴 계획이다.


○ 이와 더불어 경상북도 5개 시군의 농축산물 특화상품 개발도 이미 착수했으며, 올해 하반기를 목표로 특화상품 개발이 완료되면 전국 1,376개 매장(2024년 기준)에서 소비자에게 선보이게 된다.


□ 교촌에프앤비㈜는 1991년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출발해 전국적인 프랜차이즈로 발전한 향토기업으로, 지역에 대한 깊은 애정과 관심을 보여왔다.


○ ‘진심이 세상을 움직인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정직과 정성, 상생과 나눔의 가치를 다양한 방식으로 실천하고 있으며, 이번 협약식이 열리는 ‘발효공방 1991’ 역시 그 진심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 행정안전부는 농축산물 구매 지원 외에도 경북 5개 시군 방문객 감소와 지역관광 둔화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도 이어나갈 예정이다.


○ 공무원 대상 워케이션과 워크숍을 산불피해 지역에서 진행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며, 대한상공회의소와 협력해 경북 지역에 기업들이 워크숍을 올 수 있도록 독려하는 등 지역 소비 촉진 방안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 경북 5개 시군 워케이션 센터: 의성군논밭에 의성, 안동시하우스태화, 영덕군뚜벅이마을 등


○ 또한, 지난해 부여군과 롯데웰푸드㈜의 협업을 시작으로 이어진 지역-기업 간 상생 모델이 이번 산불 피해지역 지원으로 확대되었으며, 앞으로도 지역 특성을 반영한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상생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


□ 김민재 차관보는 “상생과 진심이 만나 산불피해지역의 조속한 일상으로 회복이 이루어지길 바란다”며, “지역과 기업의 상생협력을 확대해 지역이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지역소멸의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하겠다”라고 밝혔다.


□ 이어서, 김 차관보는 영양 체류형 전원마을과 영양고추유통공사도 함께 방문해 지방소멸대응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시간도 가졌다.


(행정안전부, 2025. 05. 27.)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89 「울산 수소친환경이동수단(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친환경 수소 이동수단(모빌리티) 상용화 걸림돌 모두제거 총괄관리자 2025-06-02 48
3188 녹색소비주간 개막… 탄소중립 달성 위해 지속가능한 소비 확산 시동 총괄관리자 2025-06-02 57
3187 환경부-금융위원회, 탄소중립 이끌 녹색금융 전문인력 양성 본격화 총괄관리자 2025-06-02 53
3186 위험성평가를 지원받은 사업장, 사고사망자 수 66.7% 감소 총괄관리자 2025-06-02 89
3185 국립환경과학원-에스케이하이닉스, 탄소중립 이행 연구협력 총괄관리자 2025-06-02 55
3184 산업계 녹색성장 돕는다… 권역별 찾아가는 설명회 개최 총괄관리자 2025-06-02 45
3183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과정 모집 총괄관리자 2025-05-20 131
3182 자연환경복원사업에 민간 참여 실적 인정… 생물다양성 보전의 새로운 전환점 총괄관리자 2025-05-20 145
3181 화학물질 안전과 동물복지 함께 지킨다… 동물대체시험시설 첫삽 총괄관리자 2025-05-20 143
3180 사회적기업과 인턴이 함께 성장하는 기회, 민간협업으로 확산됩니다 총괄관리자 2025-05-20 87
3179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위해 환경부-조달청 힘 모은다 총괄관리자 2025-05-16 127
3178 건설업 고위험 현장에 대한 재해 예방 집중점검 총괄관리자 2025-05-14 115
3177 기후위기 대응 총력전…환경부-첨단업계, 물 위기 극복에 손잡다 총괄관리자 2025-05-12 112
3176 『중대재해 사이렌』, 사고예방의 첫걸음 총괄관리자 2025-05-12 106
3175 "위험성평가, 우리 사업장은 이렇게 했어요!" 총괄관리자 2025-04-30 199
3174 ‘생물다양성협약 지속가능한 해양 이니셔티브’ 지원 양해각서 유효기간 5년 연장 총괄관리자 2025-04-30 145
3173 외국인 임금체불, 괴롭힘 등 예방을 위한 외국인고용 취약사업장 선제적 발굴·감독 총괄관리자 2025-04-28 175
3172 과기정통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고도화 추진 총괄관리자 2025-04-28 220
3171 부산·경남 지역에서 기후변화와 수산업의 미래를 논하다 총괄관리자 2025-04-28 123
3170 연이은 대형사고, 전국 건설현장 집중점검 실시 총괄관리자 2025-04-23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