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 산업의 환경영향 최소화 모색… 민관협의체 출범

담당부서 : 환경부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의류 산업의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의류 환경협의체’ 출범회의를 5월 29일 아우름비즈(서울 용산구 소재)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의류 환경협의체는 의류 대량 생산 및 소비로 온실가스 배출을 비롯해 소각처분에 의한 환경영향이 크다는 지적에 따라, 환경부와 의류 관련 업체·기관 20여곳*이 우리나라 의류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의류업체 5곳, 재활용업체 6곳, 기부업체 1곳, 유관 협·단체 5곳, 전문기관 4곳


전 세계적으로 빠른유행옷(패스트패션)에 따른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은 재고품 폐기금지, 친환경(에코)디자인 규정,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디지털 제품 여권(DPP)* 등의 규제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

* DPP (Digital Product Passport) : 수리가능성, 내구성 등 환경성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선택을 지원하고, 제조업체의 지속가능한 제품 생산을 유도하는 제도


동시에 역외 수입 제품에도 똑같은 환경기준 준수를 요구하고 있어, 국내 의류업체들도 환경영향을 줄이고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선택사항이 아닌 필수 요소로 경영에 반영해야 한다.


이날 출범회의에서는 주요국의 의류 관련 규제 동향과 국내외 의류 재활용기술 현황을 점검한 후 의류 환경협의체에서 논의할 과제를 설정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의류 환경협의체를 통해 업계와 협의하여 의류의 생산부터 유통, 재활용 및 폐기까지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제도를 추진할 계획이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지속가능한 의류산업으로의 전환은 우리 의류산업에 큰 기회가 될 수 있다”라며, “국내 의류산업이 전 세계를 이끄는 순환경제의 대표주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의류 환경협의체와 최대한 협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환경부, 2025.05.29.)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91 태풍위원회 방재분과 20주년, 기후변화 대응과 재난위험저감 방안 논의 총괄관리자 2025-06-02 42
3190 공공주차장 신·재생에너지설비 설치의무화 「신재생에너지법」 개정법률안 공포 총괄관리자 2025-06-02 65
3189 「울산 수소친환경이동수단(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친환경 수소 이동수단(모빌리티) 상용화 걸림돌 모두제거 총괄관리자 2025-06-02 55
3188 녹색소비주간 개막… 탄소중립 달성 위해 지속가능한 소비 확산 시동 총괄관리자 2025-06-02 58
3187 환경부-금융위원회, 탄소중립 이끌 녹색금융 전문인력 양성 본격화 총괄관리자 2025-06-02 55
3186 위험성평가를 지원받은 사업장, 사고사망자 수 66.7% 감소 총괄관리자 2025-06-02 96
3185 국립환경과학원-에스케이하이닉스, 탄소중립 이행 연구협력 총괄관리자 2025-06-02 60
3184 산업계 녹색성장 돕는다… 권역별 찾아가는 설명회 개최 총괄관리자 2025-06-02 45
3183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과정 모집 총괄관리자 2025-05-20 132
3182 자연환경복원사업에 민간 참여 실적 인정… 생물다양성 보전의 새로운 전환점 총괄관리자 2025-05-20 149
3181 화학물질 안전과 동물복지 함께 지킨다… 동물대체시험시설 첫삽 총괄관리자 2025-05-20 144
3180 사회적기업과 인턴이 함께 성장하는 기회, 민간협업으로 확산됩니다 총괄관리자 2025-05-20 87
3179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위해 환경부-조달청 힘 모은다 총괄관리자 2025-05-16 128
3178 건설업 고위험 현장에 대한 재해 예방 집중점검 총괄관리자 2025-05-14 115
3177 기후위기 대응 총력전…환경부-첨단업계, 물 위기 극복에 손잡다 총괄관리자 2025-05-12 113
3176 『중대재해 사이렌』, 사고예방의 첫걸음 총괄관리자 2025-05-12 106
3175 "위험성평가, 우리 사업장은 이렇게 했어요!" 총괄관리자 2025-04-30 200
3174 ‘생물다양성협약 지속가능한 해양 이니셔티브’ 지원 양해각서 유효기간 5년 연장 총괄관리자 2025-04-30 145
3173 외국인 임금체불, 괴롭힘 등 예방을 위한 외국인고용 취약사업장 선제적 발굴·감독 총괄관리자 2025-04-28 176
3172 과기정통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고도화 추진 총괄관리자 2025-04-28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