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기후변화 사무국, 글로벌녹색성장기구와 협력하여 '글로벌 자발적 탄소 시장(GVCM)' 구축 추진

담당부서 : 기획재정부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은 5월 29일 목요일 정부서울청사에서 ➊사이먼 스틸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총장(노라 함라지 부사무총장 대리 서명), ➋김상협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사무총장과 각각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GVCM***)’ 추진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에 서명하였다.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은 기존 자발적 탄소시장보다 신뢰도를 높여서 글로벌 거래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기존 문제점을 개선한 탄소시장 모델이다.

   *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 Global Voluntary Carbon Market Aligned with the Paris Agreement


기획재정부와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은 지난 2024년 11월 28일에 파리협정 제6조에 부합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협력의향서에 서명하였다. 이번 양해각서 서명은 협력의향서 서명의 후속조치로서, 각 기관별 협력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하였다.


 1. 기획재정부-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 양해각서 주요 사항

기획재정부와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은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 모델 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탄소 크레딧 발행 모델 개발, 탄소 크레딧 국제 거래 촉진 방안 마련, 개도국 역량 개발 방안 구축, 민간 투자 활용 방안 등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한편,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은 여러 국가가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국제 탄소 감축 사업은 양국 간 합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대 국가별로 기준을 개별적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서 행정적 비효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반면에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은 여러 국가가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마련되어, 일반적인 양국 간 합의 방식보다 효율적인 탄소시장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파리협정 6조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크레딧 방법론*과 측정‧보고‧검증(MRV**) 방식을 개발하는데 협력하기로 하였다. 이와 더불어 시범사업 파이프라인 개발, 개도국의 탄소시장 참여를 위한 역량 강화도 지원할 예정이다.

* 온실가스 감축량 또는 흡수량의 계산 또는 모니터링을 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기준, 가정, 계산방법 및 절차 등을 기술한 문서

**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및 감축활동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Monitor(측정), Reporting(보고), Verification(검증)을 의미


2. 기획재정부-글로벌녹색성장기구 양해각서 주요 사항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과 마련한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 기반을 활용하여, 기획재정부와 글로벌녹색성장기구는 양해각서를 통해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 세부 운영 방안 마련에 협력하기로 하였다. 글로벌녹색성장기구는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의 방법론과 측정‧보고‧검증 방식 관리, 감축 사업 등록 관리, 크레딧 발행, 참여자 역량 강화, 시범사업 실시, 사업의 무결성*과 신뢰성 감독 등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 진정한 감축을 실현하고, 이중계산을 방지하며, 투명하고 정량적으로 검증 가능한 방식으로 운영


또한,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에 더해, 녹색성장‧기후금융 분야 국제사회 선도 이니셔티브 개발, 글로벌녹색성장기구 회원국의 저탄소‧기후회복력 확보를 위한 한국 기술‧정책 활용 방안 마련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하였다.


기획재정부는 이번 두 양해각서 서명을 계기로 2028년까지 높은 신뢰도와 효율성을 가진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을 구축할 수 있도록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 글로벌녹색성장기구와 함께 협력할 예정이다. 또한,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을 통해 우리 기업의 탄소시장 진출 확대 방안도 모색할 예정이다.


(기획재정부, 2025.05.29.)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255 외교부, 우리의 신재생에너지와 전력인프라 산업 발전을 위한 민관합동 협력방안 모색 총괄관리자 2025-07-21 79
3254 고용노동부 차관, 폭우·폭염 재해 예방 및 노동자 안전과 생명 보호 최우선 당부 총괄관리자 2025-07-21 75
3253 복지부 제1차관, 자립준비청년 멘토링 ‘디딤돌 가족’ 3기 자문위원 참여 총괄관리자 2025-07-21 90
3252 농촌 외국인근로자 일터 및 숙소,폭염대비 중앙-지방 합동 긴급점검! 총괄관리자 2025-07-21 63
3251 따뜻한 밥상, 기업과 농촌이 함께 차립니다 총괄관리자 2025-07-21 65
3250 RE100 산단 조성에 범부처 역량 총결집 총괄관리자 2025-07-21 45
3249 ‘다양·공평·포용(DEI) 경영, 기업 성장의 동력으로’ 총괄관리자 2025-07-21 85
3248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휴식 의무화, 7월 17일 시행 총괄관리자 2025-07-21 147
3247 호남권 재생에너지 2.3GW 접속재개 본격 이행 총괄관리자 2025-07-21 89
3246 2025년 상반기 51차종 8만여 대 배출가스 결함시정(리콜) 총괄관리자 2025-07-21 40
3245 기후변화대사, 영국 기후특별대표 면담(7.14.) 총괄관리자 2025-07-21 58
3244 중소건설현장의 온열질환 예방에 민간전문기관도 적극 참여키로 총괄관리자 2025-07-21 53
3243 지역민과 현장에서 함께하는 위기가구 발굴·지원 문화 확산 총괄관리자 2025-07-21 69
3242 고수온 대응을 위한 양식수산물 조기출하 및 긴급방류 독려 총괄관리자 2025-07-21 46
3241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7개국 공무원 대상 온실가스 전문가 교육 개최 총괄관리자 2025-07-14 112
3240 폭염 시 2시간 마다 20분 휴식 보장한다 총괄관리자 2025-07-14 117
3239 관계부처 합동 「RE100 산업단지 추진 TF」 발족 총괄관리자 2025-07-14 110
3238 탄소무역장벽 대응 지원을 위한기업 현장 소통 강화 총괄관리자 2025-07-14 112
3237 임금체불에 특히 취약한 10대 건설기업 대상 노동·산재·외국인 「통합감독」 착수 총괄관리자 2025-07-14 103
3236 고용노동부, 혹서기 폭염 및 질식 재해 취약 고위험사업장 집중 점검 총괄관리자 2025-07-14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