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산출 방법과 중소부품사 지원 정책 논의

담당부서 : 환경부


환경부(장관 김완섭)와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5월 30일 자동차회관(서울시 서초구 소재)에서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에 대한 국외 정책 동향과 국내 중소부품사 지원 정책 등을 공유하는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LCA) 토론회(포럼)’를 개최한다.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란 자동차 제작의 원료 채취부터 제조, 운행,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유럽, 미국, 일본 등 주요 자동차 제작국에서 관심을 갖고 평가 방법 마련 등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23년 1월부터 2025년까지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2026년 6월 1일부터 자발적으로 배출량을 보고하도록 하는 법안을 2023년 4월에 확정했다. 유엔 산하 ‘국제 자동차 규제조화포럼(WP.29)’에서도 자동차 전과정평가 전문가작업반을 구성하고 2026년 상반기 채택을 목표로 평가 방법을 개발 중이다.


환경부도 이러한 국제적인 동향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국제 자동차 규제조화포럼(WP.29)’의 논의에 적극 참여하는 한편, 2023년부터 민관 전문가로 구성된 자동차 전과정평가 토론회(포럼)를 개최하고 있다.


특히 이번 토론회에서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중소 부품공급사 대상 지원사업을 안내하고 완성차 제조사 및 부품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 예정이다. 


이번 토론회의 주요 내용은 최근 국제 자동차 규제조화포럼(WP.29)에서의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방법 개발 현황과 중소부품사 지원사업의 추진 방향, 자동차 제작사 및 부품 제조사의 대응 현황 등을 논의하고 전문가 및 업계의 의견을 수렴한다. 먼저,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의 개회사와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5개의 주제발표가 펼쳐진다.


건국대학교의 박수한 교수는 ‘유엔 유럽경제위원회(ECE)의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방법 개발 동향 및 중소부품사 지원사업의 추진 방향’을 주제로 국제 표준 개발 진행 현황과 지원사업의 총괄 개요 및 앞으로의 추진 방향 등을 발표한다. 이어서 완성차 제조사인 현대자동차에서 ‘현대자동차의 탄소중립 방향’을 공유하고, 부품공급사인 만도에서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관련 부품사 준비 현황’에 대해서 소개한다. 


김익 스마트에코 대표는 ‘자동차 부품 탄소배출량 평가 지원 추진 계획’을,  김성용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자동차 전과정평가 기반 탄소배출량 평가에 대한 제3자 검증 연구 추진계획’을 각각 발표한다.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국제 규제 동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정부와 자동차 제작사 그리고 부품사가 지속적으로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라며, “완성차 제조사 및 자동차 부품사 등과 긴밀히 소통하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제도적, 기술적 기반을 빈틈없이 구축하고, 원활한 제도 시행을 준비하겠다”라고 밝혔다.


(환경부, 2025.05.30.)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212 산업부, 전력 유관기관의 고위험 작업자에 대한 철저한 안전관리 당부 총괄관리자 2025-06-17 153
3211 석유화학산업 고부가가치화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친환경 플라스틱 표준 민·관 공동개발 총괄관리자 2025-06-17 146
3210 폴리텍대학-안전보건공단, 예비산업인력 재해 예방에 앞장서 총괄관리자 2025-06-17 152
3209 탄소중립해법 CCS, 아태지역이 이끈다 총괄관리자 2025-06-17 173
3208 환경영향평가제도 유연성 높인다 총괄관리자 2025-06-17 132
3207 고용노동부, 6월 10일부터전국 석탄화력발전소 감독 본격 개시 총괄관리자 2025-06-17 131
3206 녹색산업 해외 발주처‧구매처 초청… 글로벌 그린 허브 코리아 2025 개최 총괄관리자 2025-06-17 116
3205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선도를 위해 민관 협의체 협력 방안 모색 총괄관리자 2025-06-17 95
3204 산업안전보건, 책에서 디지털기기로! 총괄관리자 2025-06-17 91
3203 직장 내 성희롱 경험 지속 감소, 성희롱 방지를 위한 피해자 보호와 예방교육 강화 추진 총괄관리자 2025-06-17 102
3202 2030년까지 지구의 30% 지역을 보호하고 훼손지역 30%를 복원하자 총괄관리자 2025-06-04 134
3201 전기·수소차 기술혁신을 위한 협력의 장 열려 총괄관리자 2025-06-02 112
3200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25년 사회적가치지표(SVI) 측정기업 모집 총괄관리자 2025-06-02 137
3199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산출 방법과 중소부품사 지원 정책 논의 총괄관리자 2025-06-02 127
3198 유엔기후변화 사무국, 글로벌녹색성장기구와 협력하여 '글로벌 자발적 탄소 시장(GVCM)' 구축 추진 총괄관리자 2025-06-02 115
3197 몽골 정부와 온실가스 국제감축 본격 추진 총괄관리자 2025-06-02 112
3196 의류 산업의 환경영향 최소화 모색… 민관협의체 출범 총괄관리자 2025-06-02 74
3195 끼임 사고 고위험 사업장 안전관리 집중점검 총괄관리자 2025-06-02 75
3194 플라스틱 순환의 길 찾는다… 각 분야 전문가 모여 정책 방향 모색 총괄관리자 2025-06-02 86
3193 한-몽골간 국제감축사업 세부 이행규칙 최초 채택 총괄관리자 2025-06-02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