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지구의 30% 지역을 보호하고 훼손지역 30%를 복원하자

담당부서 : 환경부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보호지역 확대와 훼손지 복원을 위한 ‘30X30 얼라이언스(협의체)’ 출범식이 6월 4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제주 서귀포 소재)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30X30 얼라이언스(협의체)’에는 환경부 및 산하기관, 삼성전자, 포스코디엑스(DX), 현대로템, 산수그린텍, 스피어에이엑스(AX) 등 민관을 비롯해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등 국제기구와 학계 및 민간단체가 참여*한다.

 * (국제기구)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동아시아람사르지역센터,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민간단체) 월드비전, 네이처링, 세계자연기금(WWF), 자연환경국민신탁, 한국생태복원협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회 

   (학계) 부산대, (산하기관) 국립생물자원관, 국립공원공단, 국립생태원, 한국환경보전원


 

협의체는 2030년까지 지구 전체 면적의 30%를 보호하고 훼손지역 30%를 복원하자는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이행하고 국가생물다양성전략에서 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힘을 모을 예정이다.


지난 2022년 12월 캐나다에서 열린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유엔은 생물다양성 손실을 멈추기 위한 전 지구적 행동을 촉구하며 2030년까지 전 세계의 30%를 보호지역으로 보전하고 훼손지역의 30%를 복원하기로 약속하는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를 채택했다.


우리나라 정부도 2023년 12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을 수립하여 2030년까지 전 국토의 30%를 보호지역이나 자연공존지역(OECM)*으로 지정하여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보전체계를 구축하기로 계획한 바 있다.

  *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하면서 관리되는 지역


이에 따라 ‘30X30 얼라이언스(협의체)’는 자연공존지역의 확대에 중점을 두고 참여기관별 역할에 따라 적극적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먼저 환경부와 산하기관은 지역 맞춤형 자연공존지역 후보지를 발굴하여 기업과 기관 간의 협력사업을 연결해 주고, 기업은 습지나 숲 등을 조성하거나 훼손지를 복원하는 등 생물다양성 증진 활동에 참여한다. 학계 및 민간단체는 이러한 활동에 대한 자문 역할을 맡는다.


한편 이번 출범식에 이어 열리는 토론회에서는 시옴빙 시스카 마르티나(SIHOMBING Siska Martina)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선임 담당자가 자연공존지역에 대한 국제 동향을 소개한다. 이어서 허학영 국립공원공단 수석연구위원은 자연공존지역 안내서를, 손승우 한국환경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업과 생물다양성 공존 전략을, 이재호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은 자연자본보호와 공시를 중심으로 하는 '환경·사회·투명 경영(ESG)'에 대해 각각 발표한다.


이병화 환경부 차관은 “자연환경 훼손과 생물다양성 손실은 인간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며, “이번에 출범한 얼라이언스(협의체)가 자연환경 복원과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민관 협력의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기업과 단체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환경부, 2025.06.03.)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409 고용노동부, 17개 광역자치단체와 외국인노동자 근무환경 개선 위한 협력 강화 관리자 2025-09-15 6
3408 ‘지역 사회적 대화 활성화 방안 마련’ 국회 정책 토론회 개최 관리자 2025-09-15 5
3407 “화학제품 안전관리 강화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 개최 관리자 2025-09-15 6
3406 “화학제품 안전관리 강화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 개최 관리자 2025-09-15 6
3405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본격 추진 관리자 2025-09-15 7
3404 소각·매립되는 폐원단 조각, 자원으로 품다 관리자 2025-09-15 7
3403 노동부, 전국 기관장 회의 열고 임금체불 근절, 중대재해 감축을 위한 요청·지시사항 전달 관리자 2025-09-15 6
3402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통합적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을 논하다 관리자 2025-09-15 7
3401 고용노동부, 임금체불을 뿌리 뽑기 위한 전국 기관장 회의 개최 관리자 2025-09-15 5
3400 미래폐자원 재활용 산업 육성 지원체계 강화 관리자 2025-09-15 5
3399 화학물질로부터 더 안전한 사회 조성, 기업 자율참여로 녹색화학 완성 관리자 2025-09-15 6
3398 17개 시·도별 임금체불 현황 최초 공유 체불 근절 위해 중앙-지방정부 긴밀히 협력 관리자 2025-09-15 6
3397 사회적 가치를 조달하다, ‘가치장터’ 신규 개통 관리자 2025-09-15 5
3396 캐나다 서스캐처원주와 산업·에너지 협력 강화 논의 관리자 2025-09-15 7
3395 ”지속 가능한 일상을 위한 발걸음, 여름밤 숲속의 사회적가치 축제로 초대합니다!“ 관리자 2025-09-08 53
3394 고용노동부 장관, 안전한 일터를 위한 현장의견을 듣고 답하다 관리자 2025-09-08 64
3393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연계,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개최 관리자 2025-09-08 46
3392 탈플라스틱 순환경제로의 전환, 제17회 자원순환의 날 관리자 2025-09-08 65
3391 기후변화·대기오염, 악순환 끊을 해법 찾는다 관리자 2025-09-08 44
3390 여성가족부, 성별 임금 격차 조사 결과 발표 관리자 2025-09-08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