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산업 고부가가치화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친환경 플라스틱 표준 민·관 공동개발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김대자)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은 6월12일(목) 「친환경 플라스틱 국제표준화 포럼」을 개최*하여, 국내외 표준전문가들과 ISO 국제표준 개발 계획을 논의하였다.

* 친환경 플라스틱 국제표준화 포럼(6.12(목) 13~18시 /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호텔 4층 그랜드볼룸홀 / 민·관 포럼 위원 40명 등 총 60여 명 참석)


이날 회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최근 세계적으로 수요가 증대되고 환경오염 우려가 있는 생분해성 빨대, 생분해성 비닐봉지, 생분해성 멀칭필름* 요구사항 등을 우선적으로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또한 시험에 오랜 기간이 소요되어 기업들의 애로가 있는 플라스틱의 생분해도 분석법에 대해 가속화** 방법을 적용하는 새로운 국제표준 제안 계획을 논의하였다.

* 멀칭필름: 농작물 보호 및 땅 온도 유지를 위해 땅의 표면을 덮는 플라스틱 비닐

** 기존 생분해도 시험방법은 6~24개월 이상의 전처리 기간이 필요하고, 높은 비용으로 기업의 인증 취득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보완한 가속화 시험방법 개발 필요


그간 석유화학산업은 석유계 원료(PP, PE, PVC 등)를 가공하여 플라스틱, 섬유제품 등을 생산해 왔으나, 최근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등 친환경 고부가 제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천연물 기반(PLA, TPS, PHA 등)과 석유계 기반(PBS, PES, PVA 등) 소재로 나뉘며, 두 가지 모두 특정 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완전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플라스틱

** 글로벌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은 연평균 24.6%로 고속 성장 예상(‘23년 1,011천 톤 → ’29년 3,778천 톤) 「출처: EUBP Market Data Report(2024)」

※ 바이오플라스틱 관련 국내 인증으로는 환경표지인증(EL727)이 있음


김대자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석유화학산업의 구조 재편과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우리기업이 원하는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KS표준을 마련하고, 우리기술을 반영한 국제표준 개발을 통해 국내시장 활성화와 수출 확대에 기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6.12. 산업통상자원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409 고용노동부, 17개 광역자치단체와 외국인노동자 근무환경 개선 위한 협력 강화 관리자 2025-09-15 6
3408 ‘지역 사회적 대화 활성화 방안 마련’ 국회 정책 토론회 개최 관리자 2025-09-15 5
3407 “화학제품 안전관리 강화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 개최 관리자 2025-09-15 6
3406 “화학제품 안전관리 강화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 개최 관리자 2025-09-15 5
3405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본격 추진 관리자 2025-09-15 6
3404 소각·매립되는 폐원단 조각, 자원으로 품다 관리자 2025-09-15 5
3403 노동부, 전국 기관장 회의 열고 임금체불 근절, 중대재해 감축을 위한 요청·지시사항 전달 관리자 2025-09-15 5
3402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통합적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을 논하다 관리자 2025-09-15 6
3401 고용노동부, 임금체불을 뿌리 뽑기 위한 전국 기관장 회의 개최 관리자 2025-09-15 5
3400 미래폐자원 재활용 산업 육성 지원체계 강화 관리자 2025-09-15 5
3399 화학물질로부터 더 안전한 사회 조성, 기업 자율참여로 녹색화학 완성 관리자 2025-09-15 6
3398 17개 시·도별 임금체불 현황 최초 공유 체불 근절 위해 중앙-지방정부 긴밀히 협력 관리자 2025-09-15 6
3397 사회적 가치를 조달하다, ‘가치장터’ 신규 개통 관리자 2025-09-15 5
3396 캐나다 서스캐처원주와 산업·에너지 협력 강화 논의 관리자 2025-09-15 7
3395 ”지속 가능한 일상을 위한 발걸음, 여름밤 숲속의 사회적가치 축제로 초대합니다!“ 관리자 2025-09-08 52
3394 고용노동부 장관, 안전한 일터를 위한 현장의견을 듣고 답하다 관리자 2025-09-08 63
3393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연계,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개최 관리자 2025-09-08 46
3392 탈플라스틱 순환경제로의 전환, 제17회 자원순환의 날 관리자 2025-09-08 60
3391 기후변화·대기오염, 악순환 끊을 해법 찾는다 관리자 2025-09-08 44
3390 여성가족부, 성별 임금 격차 조사 결과 발표 관리자 2025-09-08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