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산업 고부가가치화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친환경 플라스틱 표준 민·관 공동개발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김대자)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은 6월12일(목) 「친환경 플라스틱 국제표준화 포럼」을 개최*하여, 국내외 표준전문가들과 ISO 국제표준 개발 계획을 논의하였다.

* 친환경 플라스틱 국제표준화 포럼(6.12(목) 13~18시 /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호텔 4층 그랜드볼룸홀 / 민·관 포럼 위원 40명 등 총 60여 명 참석)


이날 회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최근 세계적으로 수요가 증대되고 환경오염 우려가 있는 생분해성 빨대, 생분해성 비닐봉지, 생분해성 멀칭필름* 요구사항 등을 우선적으로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또한 시험에 오랜 기간이 소요되어 기업들의 애로가 있는 플라스틱의 생분해도 분석법에 대해 가속화** 방법을 적용하는 새로운 국제표준 제안 계획을 논의하였다.

* 멀칭필름: 농작물 보호 및 땅 온도 유지를 위해 땅의 표면을 덮는 플라스틱 비닐

** 기존 생분해도 시험방법은 6~24개월 이상의 전처리 기간이 필요하고, 높은 비용으로 기업의 인증 취득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보완한 가속화 시험방법 개발 필요


그간 석유화학산업은 석유계 원료(PP, PE, PVC 등)를 가공하여 플라스틱, 섬유제품 등을 생산해 왔으나, 최근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등 친환경 고부가 제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천연물 기반(PLA, TPS, PHA 등)과 석유계 기반(PBS, PES, PVA 등) 소재로 나뉘며, 두 가지 모두 특정 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완전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플라스틱

** 글로벌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은 연평균 24.6%로 고속 성장 예상(‘23년 1,011천 톤 → ’29년 3,778천 톤) 「출처: EUBP Market Data Report(2024)」

※ 바이오플라스틱 관련 국내 인증으로는 환경표지인증(EL727)이 있음


김대자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석유화학산업의 구조 재편과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우리기업이 원하는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KS표준을 마련하고, 우리기술을 반영한 국제표준 개발을 통해 국내시장 활성화와 수출 확대에 기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6.12. 산업통상자원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225 2025년 2분기 신규화학물질 51종 유해성·위험성 공표 총괄관리자 2025-07-14 58
3224 산업재해 예방에 현장 근로자 참여 강화 한다 총괄관리자 2025-07-14 51
3223 니토덴코 관련 이의신청사건, 조정절차 진행 결정 총괄관리자 2025-07-14 41
3222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이행현황, 국민과 함께 공유한다 총괄관리자 2025-07-14 59
3221 한국장애인고용공단-동아쏘시오그룹 '장애인 고용을 통한 ESG경영 실천' 약속 총괄관리자 2025-07-14 62
3220 배터리 순환이용 산업 지원 방안 모색한다… 전문가 토론회 개최 총괄관리자 2025-07-14 44
3219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한 물관리… 한국-중국 손잡다 총괄관리자 2025-07-14 55
3218 「2025 UNDP 인간개발보고서 국내 발간행사」 공동개최 총괄관리자 2025-07-14 23
3217 농식품부·농진청, 기후변화 대응 현장 맞춤형 재배기술 개발·보급 확산 방안 모색 총괄관리자 2025-07-14 58
3216 임금체불도 모자라 장애인 이용, 대지급금까지 부정수급한 사업주 구속 총괄관리자 2025-07-14 46
3215 관계부처 합동, 중소기업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적극 지원 총괄관리자 2025-07-14 54
3214 탄소 배출량 산정을 위한 디지털 탄소 배출량 측정·검증·보고(MRV) 도입지원 총괄관리자 2025-07-14 57
3213 전지공장 화재사고 1년 후속 특별 현장점검, 호우·폭염 대응 점검도 병행 총괄관리자 2025-07-14 56
3212 산업부, 전력 유관기관의 고위험 작업자에 대한 철저한 안전관리 당부 총괄관리자 2025-06-17 163
3211 석유화학산업 고부가가치화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친환경 플라스틱 표준 민·관 공동개발 총괄관리자 2025-06-17 157
3210 폴리텍대학-안전보건공단, 예비산업인력 재해 예방에 앞장서 총괄관리자 2025-06-17 163
3209 탄소중립해법 CCS, 아태지역이 이끈다 총괄관리자 2025-06-17 192
3208 환경영향평가제도 유연성 높인다 총괄관리자 2025-06-17 142
3207 고용노동부, 6월 10일부터전국 석탄화력발전소 감독 본격 개시 총괄관리자 2025-06-17 141
3206 녹색산업 해외 발주처‧구매처 초청… 글로벌 그린 허브 코리아 2025 개최 총괄관리자 2025-06-17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