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UNDP 인간개발보고서 국내 발간행사」 공동개최

담당부서 : 외교부


외교부는 유엔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인간개발보고서국 및 서울정책센터와 함께 6.19.() 오전 서울에서 2025 인간개발보고서 국내 발간행사를 개최했다.

 

지난 5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인간개발보고서가 발표된 데 이어 국내 발간행사 개최

 

UNDP1990년 이래 정기적으로 발간하고 있는 인간개발보고서는 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 기대수명, 교육 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산출한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를 제시해오고 있다. 이는 개발에 대한 관점을 경제성장 중심에서 인간중심의 사회개발로 전환시키는 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금번 보고서에서 발표된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인간개발지수는 0.937, 193개국 중 20위를 기록했다.

 

아이슬란드 0.972(1), 노르웨이스위스 0.970(공동 2), 호주 0.958(7), 뉴질랜드리히텐슈타인미국 0.938(공동 17), 일본 0.925(23), 프랑스 0.920(26)

 

금번 보고서는 2024년 글로벌 인간개발지수의 증가율이 보고서 발간 이래 사상 최저수준으로 크게 둔화하고 선진국과 개도국 간 격차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동 보고서는 우리의 선택 : 인공지능(AI) 시대의 인간과 가능성(A Matter of Choice : People and Possibilities in the Age of AI)”을 주제로 발표되었으며, 이를 통해 AI 기술이 포용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박종한 개발협력국장은 개회사를 통해 글로벌 개발 환경이 다양한 도전 과제에 직면한 가운데, AI 기술이 개발격차를 더욱 심화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교육에 대한 투자가 핵심임을 강조하였으며, 한국은 기술 교육 분야에서 적극적인 개발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을 소개하였다.

 

인간개발보고서 대표 저자인 페드로 콘세이상(Pedro Conceição) UNDP 인간개발보고서국장은 이번 보고서의 주요 결과를 발표하면서, AI가 인간 발전을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으나 그것이 어떤 미래를 가져올지는 결국 우리의 선택에 달려있다고 강조하였다.

 

이번 행사에는 주한 외교단, 국제기구, 공공기관, 학계 및 민간 등 다양한 분야의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AI 시대의 인간개발 방향성 등 2025 인간개발보고서 주요 내용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되었다.

 

우리 정부는 개발협력 분야 중점협력기구인 UNDP와의 협력 강화 노력의 일환으로 2019년부터 인간개발보고서 발간을 지원해 왔으며, 앞으로도 한-UNDP 전략적 협력관계를 강화해 나갈 것이다.


(2025.06.19, 외교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42 무탄소에너지(CFE) 국제기준 마련 본격 착수 총괄관리자 2025-02-11 205
3141 친환경직불금 7년 만에 개편 총괄관리자 2025-02-11 255
3140 위기가구 발굴부터 지원까지! 민관이 함께 만드는 맞춤형 복지 총괄관리자 2025-02-11 132
3139 담배 유해성분 의무 공개 내년부터 총괄관리자 2025-02-11 209
3138 안전한 농작업 환경 조성으로 사망 사고율 2029년까지 연평균 3% 저감 총괄관리자 2025-02-11 183
3137 「이산화탄소저장활용법」 시행 총괄관리자 2025-02-11 212
3136 탄소중립·에너지 안정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투자 확대 총괄관리자 2025-02-05 241
3135 겨울철 공사 현장 특별 안전점검 시작으로 문화·체육·관광 현장 안전 강화한다 총괄관리자 2025-02-05 217
3134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 선도 모델을 찾습니다 총괄관리자 2025-02-05 162
313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법 시행령 개정 총괄관리자 2025-02-05 207
3132 친환경 열원을 이용한 농업용 온습도 조절 냉난방기로 탄소배출 감축! 총괄관리자 2025-02-05 112
3131 2024년 공공앱 운영 성과평가 결과 공개 총괄관리자 2025-02-05 83
3130 기후변화에 대비한 배수시설 강화로 상습침수 농경지 대폭 줄인다 총괄관리자 2025-02-05 87
3129 탄소중립 꿈꾸는 대학생 녹색 인재로 키운다 총괄관리자 2025-02-05 120
3128 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재난안전관리체계 본격 가동 총괄관리자 2025-01-22 227
3127 한국고용정보원, ESG경영 실천을 위해 사회복지시설 찾아 기부활동 펼쳐 총괄관리자 2025-01-22 114
3126 기후·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잠재 재난, 선제적으로 찾아내고 예방한다 총괄관리자 2025-01-22 107
3125 탄소중립 유망기업, 산업부·환경부·중기부가 함께 지원한다 총괄관리자 2025-01-22 177
3124 벼 재배 농업인 대상 “저탄소농업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실시 총괄관리자 2025-01-22 179
3123 해양폐기물·기후위기 문제 해결을 위해 해양수산부·환경부 힘 모은다 총괄관리자 2025-01-22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