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순환이용 산업 지원 방안 모색한다… 전문가 토론회 개최

담당부서 : 환경부


환경부(장관 김완섭)와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623일 서울역 대회의실(서울 용산구 소재)에서 배터리 순환이용 전문가 토론회(포럼)’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배터리 재활용·제조업계, 완성차업계, 학계, 공공기관 등 관련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배터리 순환이용과 관련된 정책, 기술, 제도적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토론회에서는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 주요 내용 발표를 시작으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재활용 가치평가 연구, 재생원료 인증제도 국내외 동향 등 최근의 정책·연구 성과가 소개된다.

* 양극재의 주원료가 리튬(Li)과 인산철(FePO4)인 배터리로 가격이 저렴하나 재활용시 회수가능한 금속 가치가 낮음

우선 환경부 이차전지순환이용지원단은 올해 514일에 발표된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며, 세부과제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안(로드맵)을 제시할 예정이다.

* 순환이용 시장 조성, 재활용 가능자원 수급 안정화, 기술혁신 및 경쟁력 강화, 전주기 관리기반 구축 등으로 구성된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을 발표(경제관계장관회의 2025.5.14.)

 

국립환경과학원은 최근에 보급이 증가하고 있지만 재활용이 어려운 리튬인산철 배터리의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재활용 경제성 평가 연구 추진현황을 공유한다. 향후 환경부는 경제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리튬인산철 배터리에 대한 제도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다음으로 한국환경연구원은 재생원료의 품질 관리와 국제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배터리 재생원료 생산인증* 방법론 마련 연구방향을 발표한다.

* 폐배터리, 제조공정 스크랩 등에서 추출한 황산니켈, 황산코발트 등 금속을 재생원료로 인증

 

환경부는 배터리 재생원료 생산인증 방법론 마련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생산인증제도의 세부 시행 방안을 수립하고 내년 시범사업을 통해 2027년부터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참가자(패널) 토론에서는 국내 배터리 순환이용 생태계 경쟁력 강화 방안을 주제로 정부, 업계, 학계 전문가 간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배터리 순환이용 제품 수요 창출, 원료 확보 지원 등 순환이용 업계가 당면한 현안에 대한 다양한 정책대안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배터리 순환이용은 단순한 폐기물 관리가 아닌 미래 핵심 자원 확보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라며, “이번 토론회가 산업계, 학계와 정부간 협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2025.06.22, 환경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75 "위험성평가, 우리 사업장은 이렇게 했어요!" 총괄관리자 2025-04-30 235
3174 ‘생물다양성협약 지속가능한 해양 이니셔티브’ 지원 양해각서 유효기간 5년 연장 총괄관리자 2025-04-30 171
3173 외국인 임금체불, 괴롭힘 등 예방을 위한 외국인고용 취약사업장 선제적 발굴·감독 총괄관리자 2025-04-28 198
3172 과기정통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고도화 추진 총괄관리자 2025-04-28 257
3171 부산·경남 지역에서 기후변화와 수산업의 미래를 논하다 총괄관리자 2025-04-28 147
3170 연이은 대형사고, 전국 건설현장 집중점검 실시 총괄관리자 2025-04-23 189
3169 탄소규제 대응위한 민관 소통 한층 더 강화 총괄관리자 2025-04-23 164
3168 한국장애인고용공단-현대자동차(주) ‘장애인 고용을 통한 ESG경영 실천’ 업무협약 총괄관리자 2025-04-22 210
3167 국제해사기구(IMO), 국제해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기조치 규제 승인 총괄관리자 2025-04-22 158
3166 민관 힘모아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활성화 방안 모색 총괄관리자 2025-04-22 175
3165 광역부터 기초 지자체까지 탄소중립 본격 시동… 중앙·지방 정부 힘 모은다 총괄관리자 2025-04-22 221
3164 환경·사회·투명(ESG) 경영 고민, 무료 상담 총괄관리자 2025-04-22 129
3163 다부처 기후적응 전문가 모여 기후위기에 따른 건강보호 방안 모색 총괄관리자 2025-02-20 4,891
3162 지속 가능한 동물복지·방역 및 환경친화적 농축산업 성장모델 제시 총괄관리자 2025-02-20 524
3161 친환경 선박 인증을 기자재까지 확대... 선박의 친환경 전환과 온실가스 감축에 박차 총괄관리자 2025-02-20 9,240
3160 산업단지 내 기업들이 함께 활용하는 저탄소 설비 교체를 지원합니다 총괄관리자 2025-02-20 350
3159 146건의 에너지 공기업 특허를 무상으로 나눈다 총괄관리자 2025-02-20 370
3158 국제사회 기후환경 선도국가 위상 강화 위해 국제협력관 신설 총괄관리자 2025-02-20 266
3157 한-체코 무탄소에너지 기술혁신에 맞손 총괄관리자 2025-02-20 284
3156 탄소중립 상담(컨설팅) 및 설비 패키지 지원 참여기업 모집 총괄관리자 2025-02-20 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