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 통한 중소기업 판로활성화 추진

담당부서 : 중소벤처기업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48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공공기관의 구매력으로 중소기업제품을 구매해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판로 지원 추진

* ’22년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 목표액(856개 기관)121.1조원으로 추정

?

구 분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대상기관수()

788

836

837

837

849

856

중기제품구매실적(조원)

92.2

94.0

105.0

116.3

119.7

121.1(추정)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는 공공기관에서 기술개발제품, 여성기업제품, 장애인기업제품, 창업기업제품 등 중소기업제품 구매를 독려하고자 전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순회설명회를 시작한다.

?

구 분

구매비율

근거법령

중소기업제품

? 총 구매액(물품, 용역, 공사)의 50% 이상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기술개발제품

? 중소기업 물품구매액의 15% 이상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여성기업제품

? 물품 및 용역은 각 구매총액의 5% 이상

? 공사는 공사구매총액의 3% 이상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

장애인기업제품

? 총 구매액의 1% 이상

장애인기업

활동촉진법

창업기업제품

? 총 구매액의 8% 이상

중소기업

창업지원법


공공기관의 장은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판로지원법”) 5(구매계획 및 구매실적의 작성)에 근거해 중소기업제품 당해연도 구매목표비율이 포함된 구매계획과 전년도 중소기업 제품 구매실적을 해당연도 1월말까지 통보(입력)*해야 한다.

* 공공구매 종합정보망(www.smpp.go.kr)을 활용해 중소기업제품 구매계획('23) 및 공공구매 실적('22)을 입력

?

중소기업제품 구매계획 및 실적을 통보해야 하는 대상은 2011년 282개 기관에서 2012년 ?공공기관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모든 공공기관을 포함해 495개 기관 등으로 확대됐고, 2014년에는 기초자치단체가 추가돼 740개 기관으로 늘어났으며, 2022년에는 관리 대상 구매기관이 856개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제품 구매목표 및 구매실적 관련 공공구매제도 전반에 대한 이해자료, 다양한 구매목표 비율제도를 온라인 설명회 및 찾아가는 지역 설명회를 병행해 개최한다.

* 지역별 설명회 : ‘23.1.6()~1.13(), 비대면 설명회 : ’23.1.12() 09:30

** 지역별 설명회 세부일정

일 시

대 상

장 소

예상인원

주관기관

발표

1.6(), 14:00

부산

소재기관

부산시청 1층 대강당

200

부산청

중기부

소관부서

1.9(), 14:00

대전?세종?충남

소재기관

정부세종컨벤션센터

국제회의실

200

대전세종청

충남청

1.10(), 14:00

서울

소재기관

중소기업중앙회 케이비즈(KBIZ)

250

서울청

1.10(), 14:00

경기

소재기관

경기중기청 대강당(2)

300

경기청

1.10(), 14:00

강원

소재기관

강원중기청 대회의실(별관 1)

100

강원청

1.10(), 14:00

울산

소재기관

울산중기청 대회의실(5)

130

울산청

1.10(), 14:00

충북

소재기관

충북중기청 대강당(2)

100

충북청

1.11(), 14:00

광주?전남

소재기관

광주광역시청 대회의실

300

광주전남청

1.12.(), 14:00

대구?경북

소재기관

엑스코 서관 325

300

대구경북청

1.13(), 14:00

인천

소재기관

인천중기청 대강당

200

인천청

1.13(), 14:00

경남

소재기관

경남중기청 대강당

70

경남청

1.13(), 14:00

전북

소재기관

전북중기청 대강당(4)

100

전북청

※ 12개 지역에서 공공기관 2,500여명 구매담당자 대상 교육을 진행

?

이영 장관은 “이번 찾아가는 설명회는 공공기관 구매담당자를 대상으로 중소기업제품 구매목표 비율제도를 포함한 공공구매제도 전반에 대한 교육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세계(글로벌) 경제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을 위해 공공기관에서 의무를 넘어 중소기업을 사랑하는 진심으로 중소기업제품 구매에 솔선수범해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중소벤처기업부, 2023.01.0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46206&pageIndex=120&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15,A00012,A00013,A00032&startDate=2023-01-01&endDate=2023-05-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83 기업의 탄소중립 전환 지원을 위해 자산손실 개념 정립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21 562
382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시행 20주년 기념 전문가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21 561
381 상수도관 등 녹색산업 수출기업 경쟁력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21 547
380 ‘블루카본 추진전략’ 발표… 블루카본으로 해양의 기후재해 대응능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93
379 공정한 식재료 공급과 농업분야 사회가치경영(ESG)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65
378 정부청사 커피전문점 "일회용컵 안씁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3
377 공공부문 저공해차 구매·임차, 2022년 구매실적 및 2023년 구매계획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82
376 환경을 위해 녹색제품 쓰세요… 2023년 녹색소비주간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0
375 온실가스 관측 초소형 위성 개발 위해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5
374 여름철(6~8월) 해양사고 예방대책 수립·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5
373 아세안과 에너지 전환의 시대를 준비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0
372 노사발전재단, 라오스 노동사회복지부 초청 노동법·제도 개선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91
371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 위해 화학규제 혁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16
370 국민 목소리에 응답한 고용노동 규제혁신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88
369 국민과 미래세대를 위해 미룰 수도, 미뤄서도 안되는 노동개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92
368 고용노동부, 기업의 근로시간면제제도 운영현황 등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0
367 안전을 보는 눈, 위험성평가 현장을 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1
366 기업 환경정보, 환경정보공개시스템에서 미리 확인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5
365 환경위성 관측 이산화질소 평균 농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26
364 해양 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글로벌 리더들이 부산에 모였다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계기 리더스서밋 개최(5…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