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권 재생에너지 2.3GW 접속재개 본격 이행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전력망 부족에 따라 현재 ’31년 이전 신규 발전허가를 제한하고 있는 지역에서, 계통 접속이 재개될 계획이다.

 

현재 호남권, 강원/경북 동해안 등은 발전설비에 비해 전력망이 부족한 상황으로 발전사업자는 신규 발전허가를 받더라도 전력망 보강 시점 이후로 계통 접속이 가능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전력망 보강이 필요하지만, 전력망 건설엔 물리적인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단기간 내 해결엔 한계가 있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계통 접속을 재개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왔으며, 그 결과 지난 10() 대통령실 브리핑을 통해 연말까지 호남권에서 2.3GW의 물량에 대해 계통 접속을 실시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금일 이행대책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물량과 일정이다.

 

전력당국은 전력망이 보강되기 전이라도 조기에 계통 접속이 가능하도록 금년 상반기까지 호남권에서 허수사업자 회수물량 0.4GW와 배전단 유연접속(우선출력제어 조건부 접속) 가능 물량 1.9GW 등 총 2.3GW를 확보하였다. 이에 따라, 해당 물량들을 발전수요자에게 배분하여 재생에너지의 조기 계통 진입을 유도할 계획이다.

 

* 배전단 유연접속 : 변압기 여유가 확인된 변전소의 배전선로(22.9kV)에 연계되어, 송전망 혼잡시간에는 최우선 출력제어를 받는 대신, ’31년 이전이라도 신규 발전허가를 받을 수 있는 접속방식

 

세부 일정은 다음과 같다.

 

허수사업자 회수 물량(0.4GW)은 이번 추진 일정 안내를 시작으로 7월 말까지 기존 접속대기 중인 사업자에게 배분을 완료한다. 이어 8월에는 잔여용량을 한전, 허가기관 누리집 등을 통해 안내하고, 발전허가를 받았으나 아직 망 이용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사업자와 신규 발전사업 희망자에게 배분한다. 이어서 9월까지 전국의 허수사업자 회수물량을 추가로 확보한 후, 10월 부터는 전국을 대상으로 배분할 계획이다.

 

배전단 유연접속 물량도 7월 일정 안내 절차를 거쳐 8월 중 희망 사업자를 모집하고 호남권 배분 절차를 마무리한다. 이어 9월에는 전국의 배전단 유연접속 가능 물량을 확정짓고, 10월부터는 전국을 대상으로 배분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대책은 송전망 부족 상황에서도 계통 접속을 진행할 수 있는 조치로서, 각 제도 세부내용에 대한 사업희망자, 허가권자(중앙, 지자체) 등의 제도 이해도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전력당국은 7월 중 발전사업자, 지역주민,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제도 설명회를 개최하고, 제도 이해와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보다 구체적인 세부내용 및 일정 등은 15() 부터 한국전력공사 누리집(한전ON)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희망사업자 대상 안내 등도 필요할 경우 추가로 실시할 계획이다.


(2025.07.15 산업통상자원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403 노동부, 전국 기관장 회의 열고 임금체불 근절, 중대재해 감축을 위한 요청·지시사항 전달 New 관리자 2025-09-15 1
3402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통합적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을 논하다 New 관리자 2025-09-15 1
3401 고용노동부, 임금체불을 뿌리 뽑기 위한 전국 기관장 회의 개최 New 관리자 2025-09-15 1
3400 미래폐자원 재활용 산업 육성 지원체계 강화 New 관리자 2025-09-15 1
3399 화학물질로부터 더 안전한 사회 조성, 기업 자율참여로 녹색화학 완성 New 관리자 2025-09-15 2
3398 17개 시·도별 임금체불 현황 최초 공유 체불 근절 위해 중앙-지방정부 긴밀히 협력 New 관리자 2025-09-15 3
3397 사회적 가치를 조달하다, ‘가치장터’ 신규 개통 New 관리자 2025-09-15 2
3396 캐나다 서스캐처원주와 산업·에너지 협력 강화 논의 New 관리자 2025-09-15 2
3395 ”지속 가능한 일상을 위한 발걸음, 여름밤 숲속의 사회적가치 축제로 초대합니다!“ 관리자 2025-09-08 49
3394 고용노동부 장관, 안전한 일터를 위한 현장의견을 듣고 답하다 관리자 2025-09-08 56
3393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연계,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개최 관리자 2025-09-08 42
3392 탈플라스틱 순환경제로의 전환, 제17회 자원순환의 날 관리자 2025-09-08 56
3391 기후변화·대기오염, 악순환 끊을 해법 찾는다 관리자 2025-09-08 40
3390 여성가족부, 성별 임금 격차 조사 결과 발표 관리자 2025-09-08 38
3389 여성가족부, 성별 임금 격차 조사 결과 발표 관리자 2025-09-08 39
3388 여성가족부, 성별 임금 격차 조사 결과 발표 관리자 2025-09-08 21
3387 임금체불 근절을 통해 ‘일터’에서의외국인 노동자 권익 보호에 앞장 관리자 2025-09-08 39
3386 창업으로 여는 탄소중립 미래, 2025 환경창업대전 개최 관리자 2025-09-08 29
3385 중남미와 통상 네트워크 확대 및 공급망 협력 강화방안 논의 관리자 2025-09-08 8
3384 지속가능한 물관리의 미래를 연다… 장흥댐 상류에 워터 포지티브 선도사업 착공 관리자 2025-09-0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