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생태계 살리는 생분해 그물 신청하세요

담당부서 : 해양수산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38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해양생태계 살리는 생분해 그물 신청하세요!

- 올해부터 고품질 생분해 가자미 그물 첫 보급 시작 -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유령어업* 저감과 해양생태계 보호를 위해 추진 중인 ‘생분해 그물 보급사업’의 어업인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내년에 보급하는 친환경 생분해 그물은 대게·붉은대게·꽃게·참조기·가자미·감성돔용 자망과 붕장어·문어·꽃게·골뱅이용 통발이다.

 

  * 잘 썩지 않는 나일론 등의 섬유로 만들어진 그물이 유실되어 물고기가 걸리게 되고, 이를 먹으려던 다른 물고기가 다시 걸려 죽게 되는 현상

 

  생분해 그물은 나일론 그물과는 달리 바닷속에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로 자연 분해되기 때문에 유령어으로 인한 수산자원의 피해를 줄이고 해양생태계를 보호하는 데 효과가 있다.

 

  해양수산부는 2007년부터 생분해 그물을 보급하여 2022년 12월까지 총 5,684척의 어선에 보급해왔고내년에는 국비 59억 원을 투입하여 어선 661척을 지원할 예정이다.

 

  생분해 그물의 사용을 희망하는 어업인은 2023년 1월까지 해당 지자체 또는 지구별 수협에 사용 신청을 하면 된다지자체별 사업 선정 기준과 절차에 따라 생분해 그물 보급 대상자로 선정된 어업인은 생분해 그물과 나일론 그물 가격의 차액과 함께나일론 그물 가격의 40%를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어 실질적으로 나일론 그물 가격의 60% 가격에 생분해 그물을 구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경북지역 어업인들의 요청사항이었던 생분해 가자미 그물 개발을 위해 2020년부터 관련 연구를 시작하였고올해 강도와 유연성어획 성능을 높인 고품질 생분해 가자미 그물의 개발 및 현장 적용 가능성 평가를 완료하였다이 그물은 기존 나일론 그물과 강도와 어획 성능이 동등하게 나타났고 어업 현장 적용 가능성 시험에 참여했던 어업인들의 만족도도 높았다고품질 생분해 가자미 자망 그물은 2023년 어업 현장에 처음으로 보급될 예정이다.

 

  최현호 해양수산부 어업자원정책관은 “대게꽃게참조기가자미 등 어종 조업 특성에 맞춘 생분해 그물 및 통발을 보급함으로써 수산자원과 해양생태계 보호 효과를 높여 나가겠다.”라며, “또한, 생분해 그물의 필요성 및 우수성에 대한 홍보를 더욱 강화해 생분해 그물 보급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해양수산부, 2023.01.02)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45954&pageIndex=127&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1-01&endDate=2023-05-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41 해수부, 친환경선박 보급지원사업 공모 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06
40 2023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 지정신청 접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38
39 “대학교·아파트 휴게시설 설치 의무 이행 점검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18
38 2023년 장애인일자리사업을 확대 시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29
37 이정식 장관, "불합리한 노동관행 개선 전문가 자문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28
36 소공인 및 소공인 근로자 권익보호 법적근거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70
35 버려지던 굴·조개 껍데기 새로운 소득원 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03
34 삼성전자·포스코 인터내셔널·포스코·비지에프(BGF)리테일, 「이달의 상생볼」로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58
33 최상대 차관, 「공공기관 청년인턴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88
32 농업 분야 무상 공적개발원조(ODA) 추진 전략 수립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201
31 주민수용성 개선, 국내산업 육성을 통해 지속가능한 재생에너지 보급기반 조성 비회원 2023-05-19 943
30 2023년도 유해화학물질 시설개선 지원사업 공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662
29 시멘트 제조업, 환경오염시설허가 대상으로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05
28 노동 개혁, 이중구조 해소를 위한 흔들림 없는 전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50
27 친환경수산물 생산으로, 소득은 올리고! 부담은 내리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46
26 배출권거래제 참여업체 온실가스 감축 돕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23
25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74
24 태양광 폐패널 대량 발생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태양광 폐패널 관리 강화 방안」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76
23 2023년 바다숲 및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지역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60
22 녹색산업, 2023년 20조 원, 임기 동안 100조 원 수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