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외국인근로자 일터 및 숙소,폭염대비 중앙-지방 합동 긴급점검!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7.17.()부터 한 달간 고용허가제(E9) 외국인 근로자가 근무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농작업 현장 숙소 실태 긴급 점검 나선다. 이는 여름철 폭염에 대비하여, 야외작업이 많고 재해에 취약한 농촌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특히, 이번 점검은 고용노동부 지방관서와 지방자치단체중앙·지방 합동점검팀을 구성하여 실시한다. 이를 통해 농가의 온열질환 대비 상황 지역 차원의 보건의료체계보다 종합적으로 점검·지원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고용노동부는 점검에 앞서 외국인근로자(E9)를 사용하는 전체 농가를 대상으로 자가점검을 통해 자율 개선하도록 안내하고, 취약사업장 150개소에 대해서는 합동점검팀이 현장점검을 병행 실시한다. 자가점검 결과에 따라 필요시 점검 대상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합동점검팀은 17개 언어로 제작한 고용노동부 폭염안전 5대 기본수칙*등을 외국인 근로자와 사업주에게 제공하고 현장 적용 여부를 확인한다. 특히, 체감온도 33도 이상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의 휴식의무화 등 강화된 작업운영 지침을 적극 설명할 예정이다.

* 시원한 물, 냉방장치, 휴식(2시간마다 20), 보냉장구 지급, 119신고

작업현장 내 그늘막, 국소 냉방장치 등 구비 여부를 점검하고 필요한 지원도 병행한다. 부족한 설비에 대해서는 보완토록 지도하고, 필요시 현장에서 바로 고용노동부의 온열질환 예방물품 지원사업에 신청할 수 있도록 안내, 신속한 개선을 유도할 예정이다.

* 외국인 고용 농축산업, 건설업 등 폭염 고위험업종 대상으로 이동식에어컨, 제빙기, 그늘막 등 보냉설비(2천만원 한도, 70%), 쿨링조끼 등 개인보냉장구(무상) 지원

농가의 숙소 관리실태도 점검한다. 지난 7.12.() 전남 무안에서 발생한 외국인 근로자 숙소 화재사고 등 혹서기 가설건축물의 화재 위험이 높아 만큼, 노후 숙소가 많은 농업 분야에서도 냉방시설·설비 상태와 함께 전기·소방시설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이번 점검에는 고용노동부 지방관서의 다국어 상담원(27개소, 59) 통역원(42개소 137)동행한다. 폭염안전 수칙 등을 외국인 근로자에게 모국어로 직접 설명함으로써, 외국인 근로자의 대처 능력을 높여 스스로 안전지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점검과 별도로 외국인근로자 지원체계를 통해서도 온열질환 관리상황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외국인근로자 도입·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산업인력공단과 EPS서포터즈(전국 316, 통역지원)사업장 배치 후 3개월 이내에 실시되는 입국 초기 모니터링을 통해 사업장과 근로자의 안전수칙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보냉장구를 지원한다.

권창준 고용노동부 차관은 이번 긴급 점검은 농촌지역 여건을 누구보다 잘 아는 자치단체와 함께 지역밀착형으로 실시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라고 밝히며, “외국인 근로자들은 우리 사회의 소중한 구성원이자 이웃으로서, 일터는 물론 생활공간인 숙소에서도 존중받고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2025.07.17 고용노동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215 관계부처 합동, 중소기업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적극 지원 총괄관리자 2025-07-14 61
3214 탄소 배출량 산정을 위한 디지털 탄소 배출량 측정·검증·보고(MRV) 도입지원 총괄관리자 2025-07-14 71
3213 전지공장 화재사고 1년 후속 특별 현장점검, 호우·폭염 대응 점검도 병행 총괄관리자 2025-07-14 67
3212 산업부, 전력 유관기관의 고위험 작업자에 대한 철저한 안전관리 당부 총괄관리자 2025-06-17 171
3211 석유화학산업 고부가가치화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친환경 플라스틱 표준 민·관 공동개발 총괄관리자 2025-06-17 167
3210 폴리텍대학-안전보건공단, 예비산업인력 재해 예방에 앞장서 총괄관리자 2025-06-17 172
3209 탄소중립해법 CCS, 아태지역이 이끈다 총괄관리자 2025-06-17 201
3208 환경영향평가제도 유연성 높인다 총괄관리자 2025-06-17 149
3207 고용노동부, 6월 10일부터전국 석탄화력발전소 감독 본격 개시 총괄관리자 2025-06-17 152
3206 녹색산업 해외 발주처‧구매처 초청… 글로벌 그린 허브 코리아 2025 개최 총괄관리자 2025-06-17 132
3205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선도를 위해 민관 협의체 협력 방안 모색 총괄관리자 2025-06-17 112
3204 산업안전보건, 책에서 디지털기기로! 총괄관리자 2025-06-17 113
3203 직장 내 성희롱 경험 지속 감소, 성희롱 방지를 위한 피해자 보호와 예방교육 강화 추진 총괄관리자 2025-06-17 121
3202 2030년까지 지구의 30% 지역을 보호하고 훼손지역 30%를 복원하자 총괄관리자 2025-06-04 193
3201 전기·수소차 기술혁신을 위한 협력의 장 열려 총괄관리자 2025-06-02 143
3200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25년 사회적가치지표(SVI) 측정기업 모집 총괄관리자 2025-06-02 202
3199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산출 방법과 중소부품사 지원 정책 논의 총괄관리자 2025-06-02 169
3198 유엔기후변화 사무국, 글로벌녹색성장기구와 협력하여 '글로벌 자발적 탄소 시장(GVCM)' 구축 추진 총괄관리자 2025-06-02 150
3197 몽골 정부와 온실가스 국제감축 본격 추진 총괄관리자 2025-06-02 139
3196 의류 산업의 환경영향 최소화 모색… 민관협의체 출범 총괄관리자 2025-06-02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