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자원 3개 품목 재활용 쉬워진다… 폐식용유 등 순환자원 지정 품목 확대

담당부서 : 환경부


환경부는 폐자원의 순환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폐식용유, 피찌꺼기, 왕겨 및 쌀겨 등 3개 품목을 순환자원으로 추가 지정하는 순환자원 지정 등에 관한 고시개정안을 721일부터 20일간 행정예고한다고 밝혔다.

 

순환자원이란 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법에 따라 폐기물 중 사람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하지 않고, 경제성이 있어 유상 거래가 가능하고, 방치될 려가 없는 물질 또는 물건이다. 순환자원으로 지정·고시되면 정해진 순환원 용도, 방법 및 기준을 준수하는 경우 별도의 신청없이 폐기물 규제를 면제받을 수 있으며, 현재는 폐지 등 7개 품목이 지정·운영되고 있다.

* (품목) 폐지, 고철, 폐금속캔, 알루미늄, 구리, 전기차 폐배터리, 폐유리

 

환경부는 올해(2025) 4월부터 60일간 배출단계부터 수집·운반, 재활용까지 전 과정에 걸쳐 관련 단체, 기업, 전문가 등으로 협의체를 성하고,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등을 통해 폐식용유 등 이번 3개 품목을 순환자원으로 지정하는 고시안을 마련했다.

 

폐식용유는 지속가능항공유(SAF, Sustainable Aviation Fuels) 석유대체연료의 원료물질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순환자원으로 지정되면 보다 쉽게 재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커피찌꺼기는 국내 커피 소비의 증가에 따라 찌꺼기 발생량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순환자원으로 지정되면 향후 퇴비, 건축자재, 생활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품목이다.

 

왕겨 및 쌀겨는 쌀(미곡)을 도정할 때 나오는 부산물로 현재 축사 깔개나 사료·퇴비 등으로 재활용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 안전성과 순환이용성이 매우 높다. 순환자원으로 추가되는 이번 3개 품목은 순환이용의 용도, 방법 및 기준을 준수하는 경우 사업장폐기물배출자 신고, 수집·운반업 허가, 기물의 보관기간, 폐기물처리업 허가 등 폐기물관리법 관련 규제가 면제된다.

 

순환이용의 용도 및 기준 등 고시 개정안의 자세한 내용은 국민참입법센터(opinion.lawmaking.go.kr)와 환경부 누리집(www.m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환경부는 새롭게 추가되는 순환자원의 올바른 활용과 이해를 돕기 위해 환자원 인정 및 지정·고시 제도 해설서를 이달 안으로 전국 지자체에 배포하고, 순환자원 지정 신규 품목을 취급하는 단체·기업을 대상으로 권역별 찾아가는 설명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 순환자원 인정 및 지정·고시제도 설명, 품목별 정보등록 절차 안내 등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순환자원 활용 수요가 많은 이번 3목의 순환이용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면서, “앞으로도 핵심 환자원의 국내 공급망 확보와 순환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산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7.20 환경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252 농촌 외국인근로자 일터 및 숙소,폭염대비 중앙-지방 합동 긴급점검! Hot 총괄관리자 2025-07-21 29
3251 따뜻한 밥상, 기업과 농촌이 함께 차립니다 Hot 총괄관리자 2025-07-21 43
3250 RE100 산단 조성에 범부처 역량 총결집 Hot 총괄관리자 2025-07-21 21
3249 ‘다양·공평·포용(DEI) 경영, 기업 성장의 동력으로’ Hot 총괄관리자 2025-07-21 50
3248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휴식 의무화, 7월 17일 시행 Hot 총괄관리자 2025-07-21 93
3247 호남권 재생에너지 2.3GW 접속재개 본격 이행 Hot 총괄관리자 2025-07-21 32
3246 2025년 상반기 51차종 8만여 대 배출가스 결함시정(리콜) Hot 총괄관리자 2025-07-21 20
3245 기후변화대사, 영국 기후특별대표 면담(7.14.) Hot 총괄관리자 2025-07-21 36
3244 중소건설현장의 온열질환 예방에 민간전문기관도 적극 참여키로 Hot 총괄관리자 2025-07-21 28
3243 지역민과 현장에서 함께하는 위기가구 발굴·지원 문화 확산 Hot 총괄관리자 2025-07-21 34
3242 고수온 대응을 위한 양식수산물 조기출하 및 긴급방류 독려 Hot 총괄관리자 2025-07-21 25
3241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7개국 공무원 대상 온실가스 전문가 교육 개최 Hot 총괄관리자 2025-07-14 87
3240 폭염 시 2시간 마다 20분 휴식 보장한다 Hot 총괄관리자 2025-07-14 95
3239 관계부처 합동 「RE100 산업단지 추진 TF」 발족 Hot 총괄관리자 2025-07-14 74
3238 탄소무역장벽 대응 지원을 위한기업 현장 소통 강화 Hot 총괄관리자 2025-07-14 82
3237 임금체불에 특히 취약한 10대 건설기업 대상 노동·산재·외국인 「통합감독」 착수 Hot 총괄관리자 2025-07-14 84
3236 고용노동부, 혹서기 폭염 및 질식 재해 취약 고위험사업장 집중 점검 Hot 총괄관리자 2025-07-14 72
3235 천 맨홀 질식사고 강도높은 수사, 질식재해 고위험사업장 집중 점검 본격 착수 Hot 총괄관리자 2025-07-14 53
3234 폭염에 취약한 근로 현장의 안전, 정부가 꼼꼼히 챙긴다 Hot 총괄관리자 2025-07-14 62
3233 기후변화에 강한 항만, 아세안과 함께 만든다 Hot 총괄관리자 2025-07-1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