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바다숲 및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지역 선정

담당부서 : 해양수산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98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2023년 바다숲 및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지역 선정

- 총 504억원 투입, 바다숲 15개소, 산란·서식장 4개소 확대 -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해수온 상승 등 기후변화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23년에 바다숲 15개소수산자원 산란·서식장 4개소를 추가 조성한다고 밝혔다.

 

  바다숲 조성은 바다사막화로 인해 훼손된 연안해역의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2009년부터 시행 중이며, 주로 바다식물(대황, 감태, 모자반, 잘피 등) 이식 사업으로 진행된다.

 

  금번에 선정된 바다숲 조성지는 백화 및 갯녹음 현상이 심각한 제주 및 동해안 수역으로 지역별 조성면적은 아래 표와 같다.

 

< 2023년 바다숲 선정 조성지역 >

신규사업지

면적()

신규사업지

면적()

신규사업지

면적()

고성군 아야진리

1.516

포항시 창진1

1.558

서귀포시 대포동

1.616

서귀포시 법환동

1.616

제주시 도두동2

1.611

제주시 도두동1

1.611

제주시 내도동

1.611

서귀포시 온평리

1.612

포항시 신창1

1.564

속초시 동명동

1.518

기장군 동백리

1.576

남해군 원천리

1.586

울진군 거일2

1.548

서귀포시 보목동

1.616

제주시 도두동3

1.611

 

  금년에 15개소, 23.8㎢의 바다숲이 조성되면 총 243개소, 315.6㎢의 바다숲이 조성되게 된다.

 

< 바다숲 조성사업 추진현황(누적) >

(09) 1.2㎢ → (10) 3.71㎢ → (15) 91.45㎢ → (20) 242.58㎢ → (22) 291.8

 

 

  해양수산부는 최근 바다숲이 탄소흡수원(블루카본)으로 재조명되고 있어, 2030년까지 540㎢ 바다숲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특히바다숲 조성단계에서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2009년부터 인공어초 등의 인공구조물 시설을 줄이고, 자연암반을 활용한 해조류 이식 등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조성하고 있다.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은 지역별 특화품종의 수산자원 증대를 위해 수산자원의 생활사이클에 따른 맞춤형 환경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2015년부터 시행 중이다.

 

  금번에 선정된 산란·서식장 조성지는 4개소로, 5년간 총 148억원이 투입된다.

 

< 2023년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선정 조성지역 >

신규사업지

대상품종

신규사업지

대상품종

남해군

갑오징어

신안군

조피볼락

강릉시

쥐노래미

서산시

낙지

 

<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사업 추진현황(누적) >

(15) 6개소 → (18) 10개소 → (20) 14개소 → (22) 29개소

 

  해양수산부는 산란·서식장 조성사업에 대한 어업인의 높은 호응을 반영하여 2024년도 사업예산을 대폭 증가할 계획이다.

 

  아울러바다숲 및 산란·서식장 조성의 차질없는 추진과 수산자원의 조성부터 관리까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해양수산부와 지자체어업인으로 “수산자원 조성 상생협의체(가칭)”를 구성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임태호 해양수산부 수산자원정책과장은 “지속 가능한 수산업을 위해서는 수산자원이 잘 살 수 있는 환경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면서 “우리 어촌이 더 풍요로울 수 있도록 산란·서식장 조성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해양수산부, 2023.01.05)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46504&pageIndex=2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1-01&endDate=2023-01-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83 기업의 탄소중립 전환 지원을 위해 자산손실 개념 정립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21 562
382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시행 20주년 기념 전문가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21 561
381 상수도관 등 녹색산업 수출기업 경쟁력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21 547
380 ‘블루카본 추진전략’ 발표… 블루카본으로 해양의 기후재해 대응능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93
379 공정한 식재료 공급과 농업분야 사회가치경영(ESG)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65
378 정부청사 커피전문점 "일회용컵 안씁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3
377 공공부문 저공해차 구매·임차, 2022년 구매실적 및 2023년 구매계획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82
376 환경을 위해 녹색제품 쓰세요… 2023년 녹색소비주간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0
375 온실가스 관측 초소형 위성 개발 위해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5
374 여름철(6~8월) 해양사고 예방대책 수립·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5
373 아세안과 에너지 전환의 시대를 준비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0
372 노사발전재단, 라오스 노동사회복지부 초청 노동법·제도 개선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91
371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 위해 화학규제 혁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16
370 국민 목소리에 응답한 고용노동 규제혁신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88
369 국민과 미래세대를 위해 미룰 수도, 미뤄서도 안되는 노동개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92
368 고용노동부, 기업의 근로시간면제제도 운영현황 등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0
367 안전을 보는 눈, 위험성평가 현장을 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1
366 기업 환경정보, 환경정보공개시스템에서 미리 확인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5
365 환경위성 관측 이산화질소 평균 농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26
364 해양 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글로벌 리더들이 부산에 모였다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계기 리더스서밋 개최(5…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