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산단 대표모델 구축사업 공모 개시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20251차 추가경정예산 사업으로 신규 추진하는 탄소중립산단 대표모델 구축사업의 수행기관 공모를 725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탄소중립산단 대표모델 구축사업은 기존 에너지 다소비 산단을 대상으로 분산형 신재생에너지 설비 확대 및 입주기업의 에너지 소비 고효율화 사업의 집중 지원을 통해 산단의 탄소배출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산업부는 이번 공모를 통해 전국의 에너지 다소비 산단* 1개소의 산단(수행기관 컨소시엄)을 선정하고 2029년까지 국비 500억 원을 포함하여 1,3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 전력사용용량 상위 30개 산단을 대상으로 공모가 진행되며, 상위 30개 산단의 전력 사용량은 전체 산단(1,330)68% 차지(‘23)

 

선정된 산단은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생태계 구축을 위해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 보급, ESS 발전소, 재자원화 생태계 구축, 탄소감축기업 컨설팅,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친환경 설비 보급 등을 지원하여 탄소중립 산단 전환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사업 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신재생 보급) 산단 내·인근의 공장 지붕, 주차장 등 유휴부지, ·공유지 등을 활용하여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보급·확산을 지원한다.

(ESS 발전소 구축) 산단 내·인근의 분산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재생에너지 전력을 입주기업에게 공급하기 위해 ESS 발전소(VPP), 지능형 전력망, 수요·공급 관리 및 거래 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산단 재자원화 생태계 구축) 지역 산단별 재자원화 산업 인프라 구축(공동활용 설비 등) 지원을 통해 지역 특화형 자원순환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한다.

 

* ) 폐배터리, 폐태양광패널 등 재자원화 및 수요-공급 거래 비즈니스 솔루션 등

 

(탄소감축 컨설팅) 산단 내 글로벌·한국형 RE100 적용 기업의 현황 조사와 함께 입주기업의 에너지 사용현황 분석을 통해 입주기업별 맞춤형 탄소감축 이행 로드맵 및 실행전략 수립을 지원한다.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탄소감축 기업 컨설팅을 바탕으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디지털제품여권(DPP) 등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이 시급한 사업장을 선정하여 탄소DB 측정센서, 통신 인프라 등의 구축을 지원한다.

 

(친환경 설비 보급) 산단 내 입주기업의 탄소중립 지원을 위해 온실가스 및 에너지 감축 효과가 우수한 설비의 교체 또는 서비스 보급을 지원*한다.

 

* (설비) 고효율, 저탄소, 에너지전환 설비·제품, (서비스) 친환경 설비·기술 검증 분석

 

탄소중립산단 대표모델 구축사업공모는 725()부터 94()까지 진행되며 지원 내용 및 신청 방법, 지원 조건 등 상세 내용은 산업부(www.motie.go.kr)’한국산업단지공단(www.kicox.or.kr)’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85()에는 사업 참여에 관심이 있는 기업, 기관들을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 2025.8.5() 14:0016:00, 포포인츠 바이쉐라톤 서울역 20층 회의실

 

산업부 오승철 산업기반실장은 “‘251차 추가경정예산으로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에너지 다소비 산단을 탄소중립 산단으로 전환하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며, “탄소중립 산업전환 등 정부 정책과 산업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사업을 지속 확대하여 산단의 탄소중립 전환과 입주기업의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역량 강화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2025. 07.28. 산업통상자원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75 '25년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 발표 관리자 2025-09-01 267
3374 외국인 노동자 대상 건설업 안전보건 강사 양성교육 확대 관리자 2025-09-01 68
3373 국내 기후기술 글로벌 진출을 통한 기후테크 육성 관리자 2025-09-01 81
3372 2026년 유엔기후변화협약 기후주간 개최도시 공모 관리자 2025-09-01 53
3371 항만건설현장 유해·위험요인 점검으로 중대산업재해 예방한다 관리자 2025-09-01 55
3370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강화를 위한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입법예고 관리자 2025-09-01 36
3369 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연 해소 추진,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로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관리자 2025-09-01 33
3368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기상과학원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 가동 관리자 2025-09-01 45
3367 기후기술 혁신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관리자 2025-09-01 33
3366 제8회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포럼 개최 관리자 2025-09-01 33
3365 페놀 폐수 불법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과징금 약 1,761억 원 부과 관리자 2025-09-01 21
3364 환경기술로 기후위기 대응… 우수성과 20선 선정 관리자 2025-09-01 21
3363 환경부 장관, “김포 거물대리, 친환경 도시재생의 본보기로 만들겠다” 관리자 2025-09-01 17
3362 RE100 캠페인 당국, 새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 대전환 적극 환영 관리자 2025-09-01 21
3361 ‘일터의 근로자가 집으로 안전하게’, 중앙-지방이 협력하여 지역 산업안전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 관리자 2025-09-01 19
3360 기후변화대사, 유엔 사무총장 기후행동특보 면담(8.27.) 관리자 2025-09-01 11
3359 IEA 사무총장,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노력 긍정 평가” 관리자 2025-09-01 10
3358 청정수소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협력 모색 관리자 2025-09-01 11
3357 김민석 국무총리,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막식 참석 관리자 2025-09-01 11
3356 편의점‧휴게소, 상표띠 없는(무라벨) 먹는샘물병 더욱 늘어난다 관리자 2025-09-0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