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기 대응에 앞장서는 축산! ‘25년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가 338호 선정

담당부서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88()2025년도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가로 총 338호를 신규 선정했다.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는 생산과정에서 저탄소 축산 기술을 적용하여 온실가스를 축종별 평균 배출량보다 10% 이상 줄인 농장을 인증하는 제도로, 축산농가의 자발적 탄소 감축 활동을 지원하고 소비자의 탄소중립 가치 소비에 부응하기 위하여 한우, 돼지, 젖소 농가를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번에 인증받은 농가는 한우 42, 돼지 187, 젖소 109호로, 작년 대비 약 1.8배 증가하였다. 제도 도입 첫해인 202371, 2024190호에 이어 3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누적 인증 농가는 총 599호에 달한다.

 

올해 신규 인증 농가는 저탄소 사양관리, 가축분뇨 처리 개선, 에너지 절감 등 다양한 탄소 감축 기술을 적용해 평균적으로 한우 13.19%, 돼지 29.86%, 젖소 23.07% 수준의 온실가스를 감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저탄소 축산물의 소비 기반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저탄소 인증 우유 및 돼지고기를 활용한 브랜드 제품이 출시되었으며, 충남 아산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저탄소 인증 돼지고기가 학교급식에 시범 공급되고 있다. 20253월부터 7월까지 아산, 천안 지역 내 어린이집, 유치원, 초중고 630개소에 총 46,886kg의 저탄소 인증 돼지고기가 사용되었다.

 

이에 맞춰, 농식품부는 유통업체 대상으로 인증표시가 부착된 자재를 지원하고, 인증 농가와 유통채널 간 연계를 강화하는 등 판로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하반기에는 지자체와 협력하여 저탄소 급식 데이와 소비자 체험 행사 추진, 온라인 홍보 콘텐츠 배포 등 저탄소 축산물에 대한 인식 제고와 공감대 형성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안용덕 축산정책관은 최근 폭염을 비롯한 기후위기가 일상화되고 있는 가운데, 축산 부문도 생산성 향상과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두 목표를 함께 달성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며, “앞으로도 축산농가의 자발적인 탄소 감축 노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인증제도를 고도화하고, 국민 누구나 저탄소 축산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2025.08.10 농림축산식품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285 APEC 자동차대화, 지능형·친환경 미래차 기술·정책 논의 이어간다 총괄관리자 2025-08-04 54
3284 563MW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사업 확정 총괄관리자 2025-08-04 58
3283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본격 착수 총괄관리자 2025-08-04 51
3282 혹서기 맨홀 질식사고 근절 특단대책 추진 총괄관리자 2025-08-04 23
3281 제16차 국제 온실가스 학술회의 개최 총괄관리자 2025-08-04 36
3280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강화로 지속가능한 성장 대비 총괄관리자 2025-08-04 27
3279 제5차 한-아세안 환경‧기후변화 대화 개최 총괄관리자 2025-08-04 27
3278 재활용 촉진 및 현장 불편 해소를 위한 자원순환 분야 규제 개선 총괄관리자 2025-08-04 33
3277 국내산 전기 시내버스 보급 가속화한다 총괄관리자 2025-08-04 15
3276 국제 표준 등을 반영하여 제품별 환경성적 산정방법 최신화 총괄관리자 2025-08-04 37
3275 택배포장 중량 줄이기 등 유통업계 포장재 감축 노력 공유한다 총괄관리자 2025-08-04 31
3274 유독물질 지정체계 차등화 등 화학물질 관리체계 개선 추진 총괄관리자 2025-08-04 32
3273 「고용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총괄관리자 2025-08-04 42
3272 새 정부 탄소중립산업 마스터플랜 수립 착수 총괄관리자 2025-08-04 40
3271 탄소중립산단 대표모델 구축사업 공모 개시 총괄관리자 2025-07-29 119
3270 환경부 장관, 재생에너지 활성화 위해 국내 최대 규모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방문 총괄관리자 2025-07-29 74
3269 노사발전재단, 「글로벌 ESG 경영과 노동인권 실천」 세미나 성황리 개최 총괄관리자 2025-07-25 92
3268 외국인 노동자 집단 괴롭힘 발생 사업장 대상 즉시 기획감독 착수 총괄관리자 2025-07-25 68
3267 근로복지공단, 폭염 대비 현장안전경영 "국민 안전이 최우선 가치" 총괄관리자 2025-07-25 74
3266 고용노동부, 촘촘한 노동권 보호를 위해 주얼리 업체 노동환경 개선에 나선다 총괄관리자 2025-07-25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