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첫 번째 일자리전담반 회의 개최 청년・어르신 등 취약계층 고용상황 밀착 점검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이형일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5.9.10.(수) 08:00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TF) 회의를 주재하여 「'25.8월 고용동향」, 「직접일자리 사업 추진상황」 등을 점검했다.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수는 전년동월대비 16.6만명 증가하여 8개월 연속 두자리수 증가를 이어갔으며, 고용률도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한 69.9%를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이 취업자수 증가를 견인한 반면, 제조ㆍ건설업은 감소세가 지속되었다. 연령별로는 청년층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고용률이 상승(50대는 보합세)했다.
이 차관은 인공지능(AI) 대전환과 초혁신경제를 통해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창출하는 「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선순환」이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열쇠임을 강조하면서 민관역량을 결집하여 30대 선도프로젝트를 조속히 추진하는 한편, 취약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고용서비스도 강화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정부는 청년에 대한 고용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교육부의 국가장학금 신청자 정보와 고용노동부의 고용정보 DB를 연계('25.3월)했고, 정보 제공 동의를 바탕으로 150만명의 대학생의 취업 여부를 확인하여 졸업 후 4개월 내 취업을 하지 못한 청년을 대상으로 직업훈련ㆍ일경험 등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을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도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등과 연계하여 내실있는 고용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밀착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직접일자리 사업은 연초부터 신속 채용을 추진한 결과, 8월 기준 128.1만명으로 연간 채용목표(123.9만명)를 초과 달성했다. 이 차관은 10월 초 추석 연휴를 앞두고 있는 만큼, 어르신 등 취약계층 소득ㆍ일자리 안정을 위해 기존 채용인원의 유지와 집행잔액 등을 활용한 추가 채용 등 집행관리에 집중해 줄 것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노동조합법 개정에 따른 불확실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과거 판례, 노동위원회 결정, 전문가 의견 등을 바탕으로 사용자성 확대와 노동쟁의 대상 등에 대한 상세 매뉴얼을 신속히 마련ㆍ배포해 줄 것을 당부했다.
(2025.09.10 고용노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