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절벽 위기 극복을 위한 여성고용 활성화 과제 논의

담당부서 : 여성가족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92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여성가족부(장관 김현숙)는 12일(목) 오후 3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일자리 전문가, 새일센터 관계자들과 ‘여성 경제활동 참여 확대 방안 모색 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간담회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생산인구 감소로 여성인력 활용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시점에서 최근 여성 고용 회복세* 공고히 할 방안을 찾고, 나아가 지속 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

* ‘22.5월 처음으로 월 기준 여성 고용률(15~64세) 60% 초과

간담회에서는 ‘기혼여성의 취업 및 고용 현황 분석’과 ‘미래 여성인력 양성 및 활용을 위한 정책과제’에 대한 전문가 발제를 바탕으로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과 양질의 일자리 진입 촉진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첫 번째 발제를 맡은 이정아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경제활동인구조사 분석을 통해 여성의 경력단절 현상(M-curve)이 장기적으로 변화·완화하는 경향*을 설명한다.

* ?남성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격차 감소, ?경제활동참가율의 고점과 저점 간 차이 축소, ?경제활동참가 저점 연령 구간의 상향 이동

이는 기혼여성 비중 감소 등 여성인구 구성 변화뿐 아니라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제도 도입·운영 등 과거보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에 우호적인 경제사회적 환경, 사회적 인식 변화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9월 원자료

?

두 번째 발제에서는 김종숙·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정보통신기술(ICT), 반도체 및 중소제조업에서의 여성일자리 전망과 해당 일자리 진입 촉진 및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한다.

전 산업에 걸쳐 디지털 전환 가속화, 신산업 중심의 신규 인력수요 발생 등 일자리 수요?공급 불균형(미스매치)에 대응하여 신산업분야 진출을 위한 직업훈련 참여의 성주류화 및 종사자의 이·전직과 숙련도 향상 지원을 위한 재직자 훈련이 중요하고,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여성 유입 촉진 및 경력단절 완화를 위해, 일·가정 양립이 가능하도록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민·관 협력과 산업인력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지자체와의 협력 등이 필요함을 제안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여성가족부는 여성의 경제활동 재진입, 경력이탈 방지 등을 위해 직업훈련 대상 확대(재직여성 포함) 및 생애주기별 경력설계 프로그램 개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과 가족친화 직장문화 확산을 위해 가족친화 인증기업* 및 최고기업** 지정을 확대하는 한편, 성별균형 및 경력단절예방 우수기업의 근로환경 개선 우수사례를 확산하고 기업의 자발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해나갈 예정이다.

* (’22) 5,415개→ (‘23 목표) 5,800개

** 최고기업 지정: 대기업 15년(연속 인증 4회), 중소기업 12년(연속 인증 3회) 인증 유지

한편, 육아휴직자 등 대상으로 모성보호제도 노무상담, 가족상담?교육 연계, 일?가정 양립 정보 제공, 경력설계?유지?개발을 위한 상담, 직무역량교육 등 직장 복귀준비와 경력이음을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인구절벽 현실화로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이 심각한 위협을 겪는 상황에서, 여성은 청년·고령자와 함께 노동력 감소 시대에 대응하는 중요한 한 축이다.”라며, “여성가족부는 여성이 양질의 일자리에 진입할 수 있도록 생명공학(바이오), 정보기술(IT) 등 미래유망직종 직업훈련과정을 확대하고, 기업의 일·가정 양립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민·관 협력을 강화하는 등 함께 돌보고 함께 일하는 사회를 만들어 가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여성가족부, 2023.01.1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47338&pageIndex=11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15,A00012,A00013,A00032&startDate=2023-01-01&endDate=2023-05-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97 전력계통 안정성 강화로 재생에너지 지속 확대 기반 조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93
96 산업부, 2023년 에너지 기술개발에 1.2조원 투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90
95 재생에너지 주민참여제도 개편으로 주민 수용성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110
94 따뜻한 동행, 모두가 행복한 양성평등 사회를 만들어가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59
93 수소발전 입찰시장은 차질없이 준비 중이며, 2030년 수소발전량은 실현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였음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67
92 정부는 RE100 기업들의 이행에 차질이 없도록 정책을 추진해나갈 계획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77
91 소비자 제품 안전, 이렇게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64
90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사이버위협 대응 긴급상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668
89 중소벤처기업부, 수급사업자에게 부당 이익 수취한 ㈜지에스리테일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요청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32
88 중소벤처기업부, 지역경제 등불 밝힌 우수사례 책자 발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36
87 건설근로자 보호 위한 화장실 설치기준 강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41
86 위험성평가 특화점검 등의 본격 실시를 위한 “2023년도 산업안전보건감독 종합계획”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159
85 탄소중립 이행과 녹색산업 육성, 국가 도약의 기회로 활용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22
84 정부는 탈석탄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이 ‘백스텝’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695
83 2차관, 융·복합 수소충전소 현장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11
82 생산·소비·재활용 전 과정에 순환경제 전환 박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58
81 2022년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평가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65
80 고용노동부, 기술변화 등을 반영하여 산업현장에 부합하도록 산업안전보건 기준의 현행화 착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97
79 미래산업 국제 기업 8억 불 투자협력 성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86
78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날애커뮤니케이션, 학교법인 동의학원, ㈜재호식품과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