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코로나 이전(2019년)보다 1.7%포인트 증가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81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2022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코로나 이전(2019년)보다 1.7%포인트 증가

 

- 문체부, 2022년 장애인 생활체육조사 결과 발표

 -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10년 만에 2.5배 이상 증가


?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대한장애인체육회와 함께 전국 등록 장애인 1만 명(만 10세~69세)을 대상으로 시행한 ‘2022년 장애인 생활체육조사’(’21년 9월~’22년 8월 기준)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2022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보균 장관은 이번 조사 결과와 관련해 “문체부는 ‘장애인 프렌들리’ 부처로서 장애인이 일상에서 체육활동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더욱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2년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26.6%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주 2회 이상(1회당 30분 이상) 집 밖에서 운동하는 장애인 생활체육 완전 실행자* 비율로,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과 2021년도에는 감소했으나 2022년도에는 26.6%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24.9% 대비 1.7%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10년 전인 2012년(10.6%)에 비해 약 2.5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완전 실행자 비율을 보면 남성(27.4%)이 여성(25.1%)보다 2.3%포인트 높으며, 연령대별로는 60대(28.1%)가 가장 높고 10대(18.1%)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 최근 1년간, 재활치료 이외 목적, 1주일 2회 이상, 1회당 30분 이상, 집 밖에서 운동하는 사람

 

 

 주로 이용하는 운동 장소는 ‘근처 야외 등산로나 공원’

 

  장애인이 주로 이용하는 운동 장소는 ‘근처 야외 등산로/공원’이 45.7%로 가장 많았다. 체육시설 이용률은 16.7%로 나타났으며, 체육시설 이용률이 여전히 낮은 주요 이유는 ‘혼자 운동하기 어려워서’(28.6%), ‘시간이 부족해서’(14.2%), ‘체육시설과 거리가 멀어서’(12.9%) 순으로 파악됐다. 체육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구체적으로 이용한 시설에 대해 물은 결과 ‘민간 체육시설’이 4.7%로 가장 많고 ‘공공 체육시설-통합 시설’(4.6%), ‘장애인 복지시설’(3.1%) 순으로 조사됐다.

 

  장애인이 생활권 주변 체육시설을 이용하는 이유는 ‘거리가 가까워서’가 4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시설 이용료가 무료 또는 저렴해서’ (21.2%), ‘전문적인 체육시설이 있어서’(1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활권 주변 체육시설을 이용하는 이유>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이유.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38pixel, 세로 334pixel

 

 운동 경험자 중 33.6%가 운동 시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비용 지원 선택

 

  운동 경험자들에게 운동 시 가장 필요한 사항은 ‘비용 지원’이 33.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장애인 생활체육 프로그램’(17.2%), ‘체육시설의 장애인 편의시설’(15.2%), ‘장애인용 운동용품 및 장비’(14.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운동 시 가장 필요한 사항>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555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36pixel, 세로 324pixel

 

 운동 경험자들의 운동 참여 주요 동기는 ‘자발적 필요’가 가장 많아

 

  운동 경험자들의 운동 참여 동기는 ‘자발적으로 필요하다고 느껴서’라는 응답이 61.4%로 가장 많았으며, ‘가족, 친구 및 지인 권유’(27.4%),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9.3%), ‘인터넷’(1.0%) 순으로 조사됐다.

 

 

<운동 참여 동기>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444.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5pixel, 세로 327pixel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장애인의 생활체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생활밀착형 체육시설인 ‘반다비 체육센터’를 확충하고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수혜자와 지원 기간, 지원금을 확대하는 등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정책을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 2023년 장애인 생활체육 지원 주요내용

 - (접근성 제고) ▲ 생활밀착형 체육시설(반다비 체육센터) 건립 지원(신규건립지 14개소 목표), ▲ 체육시설 접근성 낙후지역 대상 ‘장애인 스포츠버스’ 운영(62개소), ▲ 학교체육시설의 장애인 이용 개방 지원(13개소)

 -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지원 확대) ▲ 월 지원금 인상(‘22년 8만 5천 원→’23년 9만 5천 원), ▲ 지원 기간 연장(‘22년 10개월→’23년 12개월), ▲ 수혜자 확대(’22년 1만 명→’23년 1만 4천 명)

 -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지원) 전국 17개 시도 장애인체육회에 재가·중증·고령층 장애인 등 맞춤형 생활체육 지도를 위한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지원(1,000명)

 - (체력측정 및 맞춤형 운동 지원) 장애인체력인증센터 신규 개소(2개소)

 - (장애인체육 가상현실 체험관 조성) 장애인체육을 날씨, 공간 등과 관계없이 체험할 수 있는 공간 조성(3개소)

 

  ‘2022년 장애인 생활체육조사 결과’ 보고서는 문체부 누리집(www.mcst.go.kr/주요정책/분야별정책/체육), 문화셈터(stat.mcst.go.rk), 국가통계포털(www.kosis.kr)에서 1월 말부터 내려받을 수 있다.

 

붙임  2022년 장애인 생활체육조사 주요 결과




(문화체육관광부, 2023.01.1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47906&pageIndex=1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1-01&endDate=2023-01-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 주민수용성 개선, 국내산업 육성을 통해 지속가능한 재생에너지 보급기반 조성 비회원 2023-05-19 952
30 2023년도 유해화학물질 시설개선 지원사업 공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666
29 시멘트 제조업, 환경오염시설허가 대상으로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06
28 노동 개혁, 이중구조 해소를 위한 흔들림 없는 전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52
27 친환경수산물 생산으로, 소득은 올리고! 부담은 내리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51
26 배출권거래제 참여업체 온실가스 감축 돕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24
25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77
24 태양광 폐패널 대량 발생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태양광 폐패널 관리 강화 방안」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84
23 2023년 바다숲 및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지역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63
22 녹색산업, 2023년 20조 원, 임기 동안 100조 원 수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371
21 해양생태계 살리는 생분해 그물 신청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391
20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 통한 중소기업 판로활성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469
19 일회용컵 보증금제, 쓰레기 줄이는 한 걸음 내딛다 한국생산성본부 2022-12-05 1,467
18 배출권 시장 활성화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2-12-05 1,629
17 베트남 최초 한국형 산업단지 첫 삽 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2-12-05 1,457
16 11/23건설업 온실가스 감축으로 탄소중립에 ‘더 가까이’ 한국생산성본부 2022-12-05 1,582
15 EU, 포장 · 폐수처리 지침에 이어 CCUS 전략 비전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2-12-05 1,351
14 EU, 원자재법 제정 추진… 제 2의 美 인플레 감축법 되나 한국생산성본부 2022-12-05 1,561
13 탄소중립의 길잡이, 기후변화영향평가 제도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2-12-05 1,320
12 ‘안전하고 건강한 노동환경’ 국제 노동기본권으로 채택 한국생산성본부 2022-12-05 1,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