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양성평등 홍보물 제작 안내서 ’ 배포… 성차별적 요소 점검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95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문체부‘양성평등 홍보물 제작 안내서’ 배포… 성차별적 요소 점검

성역할 고정관념등장인물 대표성 등 점검쉽게 알 수 있도록 우수사례도 제시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는 사업 담당자들이 양성 평등한 홍보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차별적 요소를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홍보물을 제작할 때 사전에 점검할 수 있도록 돕는 안내서를 제작해 배포한다.

 

  다양한 정책 분야를 포괄하고 있는 문체부는 불특정 다수의 국민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관광·체육 행사, 공연, 축제 등을 진행하면서 많은 홍보물을 제작하고 있다. 이에 담당자들이 홍보물 제작 시 미처 인식하지 못한 채 지나치기 쉬운 성차별적인 요소를 자율적으로 점검, 개선하고 더욱 세심하게 검토할 수 있도록 ‘문체부 양성평등 홍보물 제작 안내서’를 마련했다. 안내서는 문체부가 2022년에 한국여성정책연구원과 용역사업으로 추진한 ‘문체부 양성평등 홍보물 제작 가이드라인 개발’ 결과와 여성가족부 성별영향평가 지침의 정부 홍보사업에 대한 성별영향평가 점검항목을 기반으로 제작했다.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차별적 요소 사전 점검항목, 우수사례, 홍보물 유형별/제작 단계별 점검 사항 등 제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번 안내서에서는 ▲ 양성평등 홍보물 제작을 위한 점검항목(① 성역할 고정관념 및 편견, ② 등장인물 대표성 불균형, ③ 성차별적 표현 등 6개 항목), ▲ 우수사례, ▲ 홍보물 유형별 중점 점검 사항, ▲ 홍보물 제작 단계별 중점 점검 사항, ▲ 자가점검표 등을 제시했다.

 

  ① ‘성역할 고정관념 및 편견’ 항목에서는 성별에 따라 역할과 지위, 직업, 취미, 옷차림 등에서 성별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내용이나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에 대한 편견이 반영되지 않도록 유의 사항을 안내했다.

  * (예) ▲ 여성: 보조자, 하위자, 돌봄·가사 담당자, 서비스직/쇼핑·여행 등을 취미로 표현/ 소극적이고 의존적인 모습 등, ▲ 남성: 의사결정자, 관리자, 생계부양자, 전문직/스포츠·게임 등을 취미로 표현/강인하고 주도적인 모습 등

 

  ② ‘등장인물 대표성 불균형’ 항목에서는 특정 성별과 연령, 장애인 등이 배제되지 않고 등장인물의 다양성이 충분히 반영되었는지 점검하도록 안내했다.

  * (예)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물에 남성·여성 중 한쪽이나 청년·비장애인만 등장하지 않도록 유의

 

  ③ ‘성차별적인 표현’ 항목에서는 언어 표현과 이미지 표현으로 구분해 점검하도록 안내했다. 성차별적 언어 표현은 우리 사회에 널리 퍼져 있는 성역할 고정관념과 가부장적 문화 등으로 인해 무심코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더욱 유의하도록 하고 양성 평등한 대체 언어*를 예시로 제시했다. 이미지의 경우에도 위치나 크기, 표현 등에 있어 성차별적 이미지**가 표현되지 않도록 안내했다.

  * 양성 평등한 대체 언어 (예) 여직원→직원, 처녀작→첫 작품, 미망인→유가족, 스포츠맨십→스포츠정신 등

  ** 성차별적 이미지 (예) ▲ 여성: 외모, 쇼핑에만 관심 있고 허영심 많은 이미지, 여성은 뒷면에 작은 이미지로 배치 등 유의, ▲ 남성: 육아와 가사에 서툴고 과음/흡연을 하는 이미지, 남성은 앞면에 큰 이미지로 배치 등 유의

 

  특히 이번 안내서는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했다. ▲ 여행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홍보물에서 여행 가는 가족의 모습을 남성은 아기를 안고, 여성이 짐가방을 끌고 가는 것으로 표현해 성역할 고정관념이 없는 사례, ▲ 예술인과 체육인 복지제도 안내 홍보물에서는 남성을 예술인, 여성을 체육인으로 표현해 성별 고정관념에서 탈피한 사례, ▲ 문체부를 소개하는 블로그 첫 화면에 다양한 인물 유형의 이미지를 사용하고 장애인을 중앙에 배치해 등장인물 대표성 균형을 살린 사례들을 우수사례로 소개했다.

 

 

<우수사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여행 가족 사례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6pixel, 세로 452pixel

- 여행 가는 가족 사례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예술인체육인 사례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5pixel, 세로 237pixel 프로그램 이름 : Adobe ImageReady

- 예술인, 체육인 사례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문체부 블로그 사례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77pixel, 세로 406pixel

- 문체부 블로그 사례 -

 

  아울러 보도자료, 인포그래픽(정보그림), 동영상 등 홍보물 유형별 점검 사항과 홍보물 기획부터 제작 의뢰, 시안/초안 검토, 제작/배포까지 단계별 점검 사항을 안내했다. 자가점검표와 자주 묻는 질의응답 자료도 수록했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국민의 양성평등 의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정책 홍보물을 제작할 때 양성평등 관점을 적용해 홍보물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 문체부는 부처 특수성을 반영한 이번 안내서를 본부와 소속·산하 공공기관·공직유관단체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하겠다.”라며, “안내서가 문화·체육·관광 분야 양성평등 문화 확산에 기여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안내서 표지

      2. 양성평등 홍보물 제작 위한 점검항목

      3. 자가점검표




(문화체육관광부, 2023.01.18)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48324&pageIndex=10&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1-01&endDate=2023-01-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5 유럽연합(EU) 집행위,「핵심원자재법」및「탄소중립산업법」초안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38
214 환경영향평가 제도 합리화하여 현장효율성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31
213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환경기초시설부터 탄소중립 실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665
212 수소특화단지 지정을 향한 첫발을 내딛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661
211 기후변화로 인한 농촌 물부족, 농촌용수개발로 극복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47
210 탄소가치 평가하여 신재생에너지 사업자에 2,970억 원 보증공급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674
209 유엔 물 총회 계기로 녹색전환 이니셔티브 참여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13
208 공짜야근, 임금체불, 근로시간 산정 회피 등 단호히 대처할 것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655
207 수소 버스와 화물차 보급을 위해 민관이 힘을 합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699
206 여성기업 295만개로 역대 최대, 수익성·생산성 등 경영지표 개선 비회원 2023-05-23 737
205 ’2050 탄소중립 달성과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윤석열 정부 탄소중립?녹색성장 청사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830
204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 승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75
203 유연한 근무시간 운영이 연차휴가 사용에 도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77
202 카카오 등 74개 기업, ESG 차원에서 청년 5천명에 일경험·훈련·멘토링 제공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858
201 환경공단-스타벅스, 커피찌꺼기 재자원화 촉진에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57
200 이정식 장관, 근로시간 개편 관련 근로시간 기록·관리 우수사업장의 청년 근로자, 인사담당자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19
199 정부세종청사, 다회용컵 순환시스템 도입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23
198 탄소중립 시대, 가축분뇨의 다양한 활용을 통해 해결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92
197 정부세종청사, 다회용 컵 순환시스템 도입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67
196 국표원, 글로벌 기술규제 선제 대응에 적극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