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녹색환경지원센터 출범, 지역 환경현안 해결역량 강화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859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중앙녹색환경지원센터 출범지역 환경현안 해결역량 강화

지역센터(18협력 강화 및 지역 환경개선 공동 사업·연구 확대 -


□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에 따라 중앙녹색환경지원센터(이하 중앙센터)를 지정*하고 올해부터 2026년 10월 28일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21.4.13. 개정21.10.14 시행)‘에 중앙센터 근거 마련지역녹색환경지원센터와 동일하게 기간 설정(21.10.29.~26.10.28.)

 

 ○ 중앙센터는 전국에 위치한 18개 지역녹색환경지원센터(이하 지역센터)의 지휘본부(컨트롤타워역할을 맡으며지난해 말(22.10~12공모와 심사를 거쳐 녹색환경지원센터연합회*가 주관기관으로 지정됐다.

    * 연합회 회장(중앙센터장): 서규태 창원대 교수

 

 ○ 환경부는 중앙센터의 출범을 기념하기 위해 1월 19일 중앙센터 사무실이 위치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서울시 은평구 소재)에서 금한승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과 주요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현판식을 연다.

    * 국회(임이자 환경노동위원회 간사 영상축사), 한국환경공단,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환경연구원, 환경보전협회, 대한환경공학회 등

 

□ 환경부는 그간 지역 특성에 따른 환경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1998년부터 전국에 18개 지역센터를 지정해 운영했으나 센터 간의 우수성과 확산 및 권역별 협력사업 발굴 등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 이제 중앙센터를 필두로 센터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가 구축되어 그간의 우수성과를 확산함과 동시에 환경 현안 해결을 위한 권역별 또는 전국 단위의 핵심 공동사업도 추진될 예정이다.

 

 ○ 또한중앙센터가 지역센터에서 개별적으로 진행하던 공동업무(연구사업 공모대외 홍보 등)를 통합해 관장함에 따라 행정비용도 절감되고 보다 효율적인 업무처리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지역센터는 1998년부터 지역 내 대학과 연구소기업체민간단체행정기관(유역지방환경청지자체등의 환경역량을 결집하여 지역 환경 개선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다.

 

 ○ 지난해에는 미세먼지악취산업폐수 및 폐기물 처리 등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5,739개를 대상으로 맞춤형 기술지원*을 실시했다.

 

    * 4·5종 대기배출 사업장 대상 방지시설 설치 및 기술지원 사업

 

 ○ 아울러 환경개선·보전을 위한 연구 및 환경기술개발(90), 산업체 종사자·대학생·지역 주민 대상 환경교육 과정 운영(126여개 과정) 등으로 지역사회의 환경 문제 대응 역량을 높이고 있다.

 

 ○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실시하는 평가에서 2020년부터 3년간 매년 ’우수‘ 등급을 받은 바 있다.

 

□ 금한승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중앙센터 출범으로 지역센터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졌다”라면서“앞으로 신규 공동사업 발굴과 성과 중심 운영으로 녹색환경지원센터가 지역 환경현안 해결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중앙녹색환경지원센터 지정 개요.

      2. 2022년도 지역녹색환경지원센터 주요 성과.

      3. 녹색환경지원센터 개요 및 지정 현황.  끝.




(환경부, 2023.01.18)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48402&pageIndex=10&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1-01&endDate=2023-01-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55 환경부-산업계 국제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힘모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91
54 중소기업 기술개발(R&D) ‘도전은 쉽게, 연구는 자유롭게, 부정은 단호하게’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96
53 한-독 실장급 에너지 협력위원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14
52 2022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코로나 이전(2019년)보다 1.7%포인트 증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38
51 해양수산부, 안전시설물 정비로 항만안전 성능개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80
50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환경부, 탄녹위 등 관계부처와 충분히 협의하여 최종안이 마련되었으며, 재생에너지 …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73
49 빨라지는 바다의 불청객 ‘패류독소’, 안전관리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683
48 수입 이륜차, 과도한 배출가스 인증생략 혜택 축소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19
47 「철강산업 탄소규제 국내대응 작업반」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98
46 2023년 설 명절 생활폐기물 관리대책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52
45 인구절벽 위기 극복을 위한 여성고용 활성화 과제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32
44 이종호 장관,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47
43 환경부 장관, 기업들과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84
42 산업부, 미 국무부와 핵심광물 등 에너지 협력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86
41 해수부, 친환경선박 보급지원사업 공모 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17
40 2023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 지정신청 접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46
39 “대학교·아파트 휴게시설 설치 의무 이행 점검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29
38 2023년 장애인일자리사업을 확대 시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39
37 이정식 장관, "불합리한 노동관행 개선 전문가 자문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36
36 소공인 및 소공인 근로자 권익보호 법적근거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