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결과 발표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14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2022년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결과 발표



□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는 2022년『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을 발표했다.

 

2022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전체 현황


<총괄> 2022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644명(611건)이 발생

 □ (업종별) 

   ㅇ 건설업 341명(328건), 제조업 171명(163건), 기타업종
132명(120건) 발생하였고,

   ㅇ 업종별 사고사망자 발생 비중은 건설업 53%, 제조업 27%, 기타업종 20%를 차지했다.

 □ (규모별)

   ㅇ 50인(억) 미만에서는 건설업 226명(224건), 제조업 82명(82건),
기타업종은 80명(75건) 발생하였고, 건설업 58%, 제조업 21%, 기타업종 21%를 차지했다.

   ㅇ 50인(억) 이상에서는 건설업 115명(104건), 제조업 89명(81건),
기타업종은 52명(45건) 발생하였고, 건설업 45%, 제조업 35%, 기타업종 20%를 차지했다.


【업종·규모별 사망사고 발생 현황】

(단위: 건, 명)

구분

전업종

건설업

제조업

기타업종

50인(억) 미만

50인(억) 이상

50억 미만

50억 이상

50인 미만

50인 이상

50인 미만

50인 이상

사망사고 건수(건)

611

381

230

328

224

104

163

82

81

120

75

45

사망자수(명)

644

388

256

341

226

115

171

82

89

132

80

52

 □ (재해유형별) ?떨어짐 268명(262건), ?끼임 90명(90건), ?부딪힘 63명(63건) 순으로 상위 3대 유형의 사고사망자 비중 전체 65.4%를 차지했다.

 

< 주요 재해유형별 사망사고 발생 현황 >

(단위: 건, 명, %)

구분

?떨어짐

?끼임

?부딪힘

?물체에 맞음*

?깔림·뒤집힘

기타**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사망사고 건수(건)

611

262

42.9

90

14.7

63

10.3

48

7.9

44

7.2

104

17.0

사망자수(명)

644

268

41.6

90

14.0

63

9.8

49

7.6

44

6.8

130

20.2

 * 물체에 맞음(예시): 천장크레인 인양 낙하물에 맞음, 기계·기구에서 날아온 파편에 맞음 등

 ** 「기타」 세부 유형(예시) : 무너짐, 화재, 폭발·파열, 빠짐·익사, 감전, 질식, 유해물질 중독 등


 □ (광역지자체별) 경기 192명(183건), 충남 59명(55건), 경남 57명(56건), 경북 42명(42건), 서울 38명(38건), 전남 36명(33건), 인천 35명(35건) 순으로 발생했다.

< 전국 17개 광역자치시도별 사망사고 발생 현황 >

(단위: 건, 명)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세종

울산

강원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제주

기타

사망사고 건수(건)

611

38

29

20

35

7

8

2

17

33

183

27

55

42

56

18

33

7

1

사망자수(명)

644

38

30

21

35

12

14

2

18

34

192

28

59

42

57

18

36

7

1

 * 재해 발생 장소 기준으로 작성


2022년 사고사망자 업종별 세부 현황


1 건설업: (2022년) 341명(328건)이 발생

 ㅇ (공사금액별) ?50억원 미만? 현장에서 226명(66.3%)?50억원 이상? 현장에서 115명(33.7%) 발생했다.

< 건설업 공사금액별 사망사고 발생 현황 >

(단위: 건, 명, %)

구분

계 

1억원 미만

1~20억원

20~50억원

50~120억원

120~800억원

800억원 이상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사망사고 건수(건)

328

80

24.4

101

30.8

43

13.1

28

8.5

40

12.2

36

11.0

사망자수(명)

341

81

23.8

102

29.9

43

12.6

28

8.2

44

12.9

43

12.6

 

 

 ㅇ (재해유형별) 건설업 사고사망자 341명 중 ?떨어짐 204명(59.8%)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무너짐 25명(7.3%), ?끼임 24명(7.0%), ?부딪힘 23명(6.7%), ?물체에 맞음 23명(6.7%)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 상위 5대 재해유형별 건설업 사망사고 발생 현황 >

(단위: 건, 명, %)

구분

?떨어짐

?무너짐

?끼임

?부딪힘

?물체에 맞음

기타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사망사고 건수(건)

328

199

60.7

18

5.5

24

7.3

23

7.0

22

6.7

42

12.8

사망자수(명)

341

204

59.8

25

7.3

24

7.0

23

6.7

23

6.7

42

12.3

 ㅇ (기인물별) 주요 기인물별로는 ?건축 ? 구조물 및 표면 208명(61.0%)으로 절반 이상 발생하였고, ?운반 및 인양 설비? 기계 57명(16.7%), ?건설 설비? 기계 39명(11.4%)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 주요 기인물별 건설업 사망사고 발생 현황 >

(단위: 건, 명, %)

구분

?건축·구조물 및 표면

?운반 및 인양 설비·기계

?건설 설비·기계

?부품, 부속물 및 재료

?제조 및 가공 설비·기계

?기타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사망사고 건수(건)

328

200

61.0

53

16.2

38

11.6

20

6.1

7

2.1

10

3.0

사망자수(명)

341

208

61.0

57

16.7

39

11.4

20

5.9

7

2.1

10

2.9

 ? 완료되었거나 시공 중인 건축물 또는 구조물(교량, 터널 등)과 공사를 위하여 설치된 가설 구조물 등

 ? 양중기, 차량계하역운반기계 등 주행장치를 구비한 하역용 운반 기계류

 ? 차량계 건설기계, 굴착 및 적재관련 기계, 터널공사 및 광산 관련 기계 등 건설작업에 주로 사용되는 설비

 ? 설비, 기계기구 등의 부속물과 건축물, 구조물 등의 부속물 또는 재료 등

 ?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기구 및 특정한 공정에 사용된 장치 등의 설비

 ? 화학물질·제품, 육상·수상·항공 등 운송수단, 휴대용공구 등 그 외 기타 기인물

 

 

2 제조업: (2022년) 171명(163건)이 발생

 ㅇ (규모별) ?50인 미만? 기업에서 82명(48.0%), ?50인 이상? 기업에서 89명(52.0%) 발생했다.


< 제조업 기업 규모별 사망사고 발생 현황 >

(단위: 건, 명, %)

구분

5인 미만

5~49인

50~99인

100~299인

300~999인

1,000인 이상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사망사고 건수(건)

163

15

9.2

67

41.1

16

9.8

25

15.3

16

9.8

24

14.7

사망자수(명)

171

15

8.8

67

39.2

17

9.9

25

14.6

19

11.1

28

16.4

 

 ㅇ (재해유형별) 제조업 사고사망자 171명 중 ?끼임이 49명(28.7%)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 ?떨어짐 29명(17.0%), ?화재·폭발·파열 22명(12.9%), ?물체에 맞음 20명(11.7%), ?깔림·뒤집힘 19명(11.1%)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 상위 5대 재해유형별 제조업 사망사고 발생 현황 >

(단위: 건, 명, %)

 

구분

?끼임

?떨어짐

?화재·폭발·파열

?물체에 맞음

?깔림·뒤집힘

기타*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사망사고 건수(건)

163

49

30.1

28

17.2

17

10.4

20

12.3

19

11.7

30

18.4

사망자수(명)

171

49

28.7

29

17.0

22

12.9

20

11.7

19

11.1

32

18.7

* [2명 이상 사망사고] ?1.29. 양주 채석장 무너짐 사고(3명)

 

 

 ㅇ (기인물별) ?제조 및 가공설비·기계 52명(30.4%), ?운반 및 인양설비·기계 44명(25.7%), ?부품, 부속물 및 재료 29명(17.0%), ?건축·구조물 및 표면 15명(8.8%),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13명(7.6%)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 주요 기인물별 제조업 사망사고 발생 현황 >

(단위: 건, 명, %)

구분

?제조 및 가공 설비·기계

?운반 및 인양 설비·기계

?부품, 부속물 및 재료

?건축·구조물 및 표면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기타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사망사고 건수(건)

163

48

29.4

44

27.0

26

16.0

15

9.2

12

7.4

18

11.0

사망자수(명)

171

52

30.4

44

25.7

29

17.0

15

8.8

13

7.6

18

10.5

 ?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기구 및 특정한 공정에 사용된 장치 등의 설비

 ? 양중기, 차량계하역운반기계 등 주행장치를 구비한 하역용 운반 기계류

 ? 설비, 기계기구 등의 부속물과 건축물, 구조물 등의 부속물 또는 재료 등

 ? 완료되었거나 시공 중인 건축물 또는 구조물(교량, 터널 등)과 공사를 위하여 설치된 가설 구조물 등

 ? 액체, 가스, 흄, 증기 및 고체 등 다양한 상태의 화학물질과 화학제품

 ? 건설 설비·기계, 육상·수상·항공 등 운송수단, 휴대용공구 등 그 외 기타 기인물


3 기타업종: (2022년) 132명(120건)이 발생

 ㅇ (규모별) ?50인 미만? 기업에서 80명(60.6%),?50인 이상? 기업에서 52명(39.4%) 발생했다.


 < 기타업종 기업 규모별 사망사고 발생 현황 >

(단위: 건, 명, %)

구분

5인 미만

5~49인

50~99인

100~299인

300~999인

1,000인 이상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사망사고 건수(건)

120

31

25.8

44

36.7

7

5.8

5

4.2

13

10.8

20

16.7

사망자수(명)

132

32

24.2

48

36.4

8

6.1

5

3.8

13

9.8

26

19.7

 

 ㅇ (재해유형별) 기타업종 사고사망자 132명 중 ?떨어짐이 35명(26.5%)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 ?부딪힘 23명(17.4%), ?화재·폭발·파열 19명(14.4%), ?끼임 17명(12.9%), ?빠짐·익사 9명(6.8%)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 상위 5대 재해유형별 기타업종 사망사고 발생 현황 >

(단위: 건, 명, %)

 

구분

?떨어짐

?부딪힘

?화재·폭발·파열*

?끼임

?빠짐·익사

기타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사망사고 건수(건)

120

35

29.2

23

19.2

10

8.3

17

14.2

9

7.5

26

21.7

사망자수(명)

132

35

26.5

23

17.4

19

14.4

17

12.9

9

6.8

29

22.0

 * 9.26. 대전 소재 아울렛 화재사고(사망 7명) 포함

 

 ㅇ (기인물별) ?건축·구조물 및 표면 27명(20.5%), ?기타 기인물 26명(19.7%), ?운반 및 인양설비·기계 24명(18.2%),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13명(9.8%), ?부품, 부속물 및 재료 12명(9.1%)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 주요 기인물별 기타업종 사망사고 발생 현황 >

(단위: 건, 명, %)

구분

?건축·구조물 및 표면

?기타 기인물

?운반 및 인양 설비·기계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부품, 부속물 및 재료

?기타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사망사고 건수(건)

120

26

21.7

20

16.7

24

20.0

10

8.3

11

9.2

29

24.2

사망자수(명)

132

27

20.5

26

19.7

24

18.2

13

9.8

12

9.1

30

22.7

 ? 완료되었거나 시공 중인 건축물 또는 구조물(교량, 터널 등)과 공사를 위하여 설치된 가설 구조물 등

 ? 기타 설비·기계, 휴대용 및 인력용기계기구, 용기, 용품, 동·식물, 자연현상 등

 ? 양중기, 차량계하역운반기계 등 주행장치를 구비한 하역용 운반 기계류

 ? 액체?가스?흄?증기 및 고체 등 다양한 상태의 화학물질과 화학제품

 ? 설비?기계기구 등의 부속물과 건축물?구조물 등의 부속물 또는 재료 등

 ? 제조 및 가공 설비·기계, 건설 설비·기계, 그 외 운송수단 등 그 외 기타 기인물

 

□ 류경희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ㅇ “지난해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644명의 조사대상 사망사고가 발생했고, 특히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인 50인(억) 이상 규모에서  256명의 사망사고가 발생했다”라고 말했다.

 ㅇ 아울러, “작년 11월 30일 정부는「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통해 ‘처벌과 규제’ 중심에서 ‘자기규율 예방 및 엄중 처벌’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기로 발표한바,

   - 사실상 로드맵 시행 원년인 금년에는 위험성평가를 중심으로 노사가 함께 스스로 위험요인을 점검·개선하는 자기규율 예방체계가 현장에 정착될 수 있도록, 산업안전 감독체계, 산업안전 컨설팅·교육, 산업안전보건법령·기준 등을 속도감 있게 개편·정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용노동부, 2023.01.1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48704&pageIndex=8&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1-01&endDate=2023-01-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55 상생으로 동반성장에 앞장선 유공자를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89
354 부산에서 세계 기후?에너지산업의 미래를 논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50
353 기후위기, 과학기술로 해결책을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89
352 국제감축을 위한 체계적 지원 확대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9
351 한·일 에너지 협력 만 5년 만에 다시 한 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21
350 원전으로 청정수소 활용 앞당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6
349 기후에너지 별들의 경쟁, 국내 최대규모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7
348 제6회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22
347 녹색산업 해외발주처-국내기업 교류의 장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61
346 기후에너지 별들의 경쟁, 국내 최대규모 개최 - 한덕수 총리,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참석(5.25~…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22
345 탄녹위-해수부, 한반도 연안 기후위기 적응력 강화 위한 공동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93
344 부산항 등 48개 항만건설공사 현장의 근로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집중 점검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46
343 제2차 민관합동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정책협의회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40
342 한-미 간 해양기후 재난 예측, 블루카본 등 기술개발 협력을 모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700
341 근로자의 ‘워라밸’ 지원하는 기업·기관을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6
340 “안전일터” 우리 현장이 최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753
339 정부간 협력으로 이집트에 첫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장 준공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92
338 생물다양성 보존 약속, 우리 모두 실천해요… 생물다양성의 날 기념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95
337 환경부, 지역 환경보건 정책 지원을 위한 지자체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57
336 국립공원 해양탄소흡수원, 축구장 32배 넓이 추가로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