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평가 결과 발표

담당부서 : 행정안전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879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지난해 11월14일(월)부터 11월25일(금)까지 중앙부처, 공공기관, 지자체 등 300개 훈련기관 주관으로 실시한 「2022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재난관리책임기관이 매년 1회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소관분야 재난의 대응·수습체계를 점검하여 재난대응역량을 높이기 위한 훈련으로 2005년부터 실시


「2022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코로나19로 인해 축소?간소화하여 실시되었던 것을 2년 만에 정상적으로 재개하였으며, 그간 훈련 공백을 극복하기 위해 불시훈련, 난이도 높은 훈련메시지 및 부서임무카드 활용 등 실전 대응역량 강화를 중점으로 훈련 기간 내 총 1,516회 실시되었다.

 

훈련 평가는 국가재난대비훈련 재난안전분야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중앙평가단* 182명의 사전평가, 현장평가, 사후평가 및 중앙평가협의회의 심의를 거쳐 진행되었다.

* 시·군·구 및 지방 공공기관은 시·도가 자체평가단 구성·운영


평가 결과는 등급별로 ‘우수’ 101개, ‘보통’ 183개, ‘미흡’ 25개 기관*으로 결정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300개 훈련기관 및 시범훈련 9개 기관 포함 총 309개


‘우수’ 등급 기관은 공통적으로 소관 지침서(매뉴얼)를 훈련 시나리오에 적절하게 반영하는 등 훈련 기획·설계가 뛰어났고, 기관장을 비롯한 훈련 참여자가 임무·역할을 명확히 숙지하고 있었으며, 진행 과정에서 유관기관과의 협업도 잘 이루어졌다. 특히 고용노동부는 피해확산예측시스템(E-PSM) 등 첨단기술을 훈련에 도입, 제주도는 현장응급 의료 체계를 적절하게 가동, 사천시는 사천공항 이용객 증가로 항공기 사고 발생 요인 점검, 한국남부발전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한 실시간 홍보 등 적극적으로 실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미흡’ 등급 기관은 대체적으로 기관장의 관심도가 낮고, 재난분야 경험이 부족한 직원을 담당자로 지정하는 등 안전한국훈련에 대한 지원이 전반적으로 부족한 편이었다. 또한 이번 훈련 중점 사항이었던 불시훈련, 상황메시지, 재난안전통신망 등 활용도에서 미흡한 점수를 받았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우수기관과 개인은 정부포상 및 표창을 수여하여 격려할 예정이다. 아울러 미흡 기관에 대해서는 훈련계획 수립 시 보완하도록 하고, 특별교육과 민간전문가 자문(컨설팅) 등을 적극 지원하여 재난대비 수준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김찬오 재난대비훈련 중앙평가단장은 “이번 훈련은 코로나19로 중단된 훈련을 정상화하여 재난 대응을 위한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임무와 역할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부족한 점이나 개선할 점을 찾아 이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라며, “앞으로도 안전한국훈련을 포함한 국가재난대비훈련을 통해, 실제 재난 발생에 대비한 각 기관의 재난대응 역량 및 유관기관 협력체계를 충실히 점검·평가하고, 미흡한 부분을 신속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55 상생으로 동반성장에 앞장선 유공자를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86
354 부산에서 세계 기후?에너지산업의 미래를 논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7
353 기후위기, 과학기술로 해결책을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86
352 국제감축을 위한 체계적 지원 확대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6
351 한·일 에너지 협력 만 5년 만에 다시 한 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18
350 원전으로 청정수소 활용 앞당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2
349 기후에너지 별들의 경쟁, 국내 최대규모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4
348 제6회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19
347 녹색산업 해외발주처-국내기업 교류의 장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58
346 기후에너지 별들의 경쟁, 국내 최대규모 개최 - 한덕수 총리,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참석(5.25~…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19
345 탄녹위-해수부, 한반도 연안 기후위기 적응력 강화 위한 공동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90
344 부산항 등 48개 항만건설공사 현장의 근로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집중 점검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43
343 제2차 민관합동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정책협의회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37
342 한-미 간 해양기후 재난 예측, 블루카본 등 기술개발 협력을 모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97
341 근로자의 ‘워라밸’ 지원하는 기업·기관을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3
340 “안전일터” 우리 현장이 최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750
339 정부간 협력으로 이집트에 첫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장 준공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89
338 생물다양성 보존 약속, 우리 모두 실천해요… 생물다양성의 날 기념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92
337 환경부, 지역 환경보건 정책 지원을 위한 지자체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54
336 국립공원 해양탄소흡수원, 축구장 32배 넓이 추가로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