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평가 결과 발표

담당부서 : 행정안전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879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지난해 11월14일(월)부터 11월25일(금)까지 중앙부처, 공공기관, 지자체 등 300개 훈련기관 주관으로 실시한 「2022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재난관리책임기관이 매년 1회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소관분야 재난의 대응·수습체계를 점검하여 재난대응역량을 높이기 위한 훈련으로 2005년부터 실시


「2022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코로나19로 인해 축소?간소화하여 실시되었던 것을 2년 만에 정상적으로 재개하였으며, 그간 훈련 공백을 극복하기 위해 불시훈련, 난이도 높은 훈련메시지 및 부서임무카드 활용 등 실전 대응역량 강화를 중점으로 훈련 기간 내 총 1,516회 실시되었다.

 

훈련 평가는 국가재난대비훈련 재난안전분야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중앙평가단* 182명의 사전평가, 현장평가, 사후평가 및 중앙평가협의회의 심의를 거쳐 진행되었다.

* 시·군·구 및 지방 공공기관은 시·도가 자체평가단 구성·운영


평가 결과는 등급별로 ‘우수’ 101개, ‘보통’ 183개, ‘미흡’ 25개 기관*으로 결정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300개 훈련기관 및 시범훈련 9개 기관 포함 총 309개


‘우수’ 등급 기관은 공통적으로 소관 지침서(매뉴얼)를 훈련 시나리오에 적절하게 반영하는 등 훈련 기획·설계가 뛰어났고, 기관장을 비롯한 훈련 참여자가 임무·역할을 명확히 숙지하고 있었으며, 진행 과정에서 유관기관과의 협업도 잘 이루어졌다. 특히 고용노동부는 피해확산예측시스템(E-PSM) 등 첨단기술을 훈련에 도입, 제주도는 현장응급 의료 체계를 적절하게 가동, 사천시는 사천공항 이용객 증가로 항공기 사고 발생 요인 점검, 한국남부발전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한 실시간 홍보 등 적극적으로 실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미흡’ 등급 기관은 대체적으로 기관장의 관심도가 낮고, 재난분야 경험이 부족한 직원을 담당자로 지정하는 등 안전한국훈련에 대한 지원이 전반적으로 부족한 편이었다. 또한 이번 훈련 중점 사항이었던 불시훈련, 상황메시지, 재난안전통신망 등 활용도에서 미흡한 점수를 받았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우수기관과 개인은 정부포상 및 표창을 수여하여 격려할 예정이다. 아울러 미흡 기관에 대해서는 훈련계획 수립 시 보완하도록 하고, 특별교육과 민간전문가 자문(컨설팅) 등을 적극 지원하여 재난대비 수준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김찬오 재난대비훈련 중앙평가단장은 “이번 훈련은 코로나19로 중단된 훈련을 정상화하여 재난 대응을 위한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임무와 역할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부족한 점이나 개선할 점을 찾아 이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라며, “앞으로도 안전한국훈련을 포함한 국가재난대비훈련을 통해, 실제 재난 발생에 대비한 각 기관의 재난대응 역량 및 유관기관 협력체계를 충실히 점검·평가하고, 미흡한 부분을 신속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55 환경부-산업계 국제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힘모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98
54 중소기업 기술개발(R&D) ‘도전은 쉽게, 연구는 자유롭게, 부정은 단호하게’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04
53 한-독 실장급 에너지 협력위원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21
52 2022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코로나 이전(2019년)보다 1.7%포인트 증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82
51 해양수산부, 안전시설물 정비로 항만안전 성능개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90
50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환경부, 탄녹위 등 관계부처와 충분히 협의하여 최종안이 마련되었으며, 재생에너지 …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81
49 빨라지는 바다의 불청객 ‘패류독소’, 안전관리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693
48 수입 이륜차, 과도한 배출가스 인증생략 혜택 축소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49
47 「철강산업 탄소규제 국내대응 작업반」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07
46 2023년 설 명절 생활폐기물 관리대책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69
45 인구절벽 위기 극복을 위한 여성고용 활성화 과제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41
44 이종호 장관,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52
43 환경부 장관, 기업들과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90
42 산업부, 미 국무부와 핵심광물 등 에너지 협력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92
41 해수부, 친환경선박 보급지원사업 공모 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25
40 2023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 지정신청 접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51
39 “대학교·아파트 휴게시설 설치 의무 이행 점검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51
38 2023년 장애인일자리사업을 확대 시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46
37 이정식 장관, "불합리한 노동관행 개선 전문가 자문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41
36 소공인 및 소공인 근로자 권익보호 법적근거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