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이 함께 핵심광물 비상수급 안정화 방안을 논하다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74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1.31.(화) 오후 4시, 서울 롯데호텔에서 ?금속비축 종합계획 이행 간담회?를 개최하고, 간담회에 참석한 핵심광물 수요기업과 광해광업공단 간 금속비축 상호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협약식을 가졌다.


< 금속비축 종합계획 이행 간담회 개요 >

 

 


◇ (일시/장소) ‘23.1.31.(화) 16:00,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 2층
◇ (참석) 산업부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대표,
코스모화학 대표, SK스페셜티 부사장, 현대자동차 상무,
포스코 상무, 현대제철 상무, 광해광업공단 사장 등
◇ 주요내용 : 핵심광물 비축 민간지원 제도 소개, 민-관 금속비축 협약식 체결

?

간담회에서는 ?금속비축 종합계획(‘22.12월)?을 통해 발표된 희소금속 순환 대여제도 등 민간 지원 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국내 주력산업인 철강, 이차전지, 전기차, 반도체 산업에 필수적인 핵심광물의 비상 수급위기 시, 민-관이 함께 협력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

 

< 금속비축 종합계획(‘22.12월 발표) 주요내용 >

 

 


△비축확대, △수급위기 대응체계 강화, △비축기반 고도화 등
- 비축확대: (비축일수) 비철금속 56일 → 60일, 희소금속 57일 → 100일 (품목) ‘22년 25종 34품목 → ’31년 26종 41품목
- 대응체계 합리화: 방출 절차 간소화(現 60일 → 30일), 순환대여제도 도입 등
- 비축기반 고도화: 희소금속 전용기지 신설, 핵심광물 비축 운영위원회 신설 등

?

광해광업공단(희소금속 비축 담당기관)이 민간 기업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신규로 도입한 △희소금속 공동구매·비축, △순환 대여제도, △방출제도 개선 방안 등을 소개하였다.


? (공동구매·비축) 중소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희소금속을 광해광업공단이 우선 구매·비축한 후 방출*하여 중소기업들의 직접 조달 애로 및 원가부담 등 경영상 애로를 경감
* 공동구매를 원하는 기업이 일정기간 내 약정한 물량을 모두 인수하는 방식

? (순환대여제도) 민간 기업이 정부의 비축품목을 일정 주기로‘인도↔상환’하여 기업은 안정적으로 물량을 확보하면서 정부는 비축제고 품질을 유지
* (대상) 변질가능한 화합물, (수수료) 現 3% → 改 무상, (대여기간) 現 90일 → 改 6개월

?

? (방출제도 개선) 민간 수요기업이 수급상황별 적시 대응할 수 있도록 긴급방출 등 다양한 방출제도를 도입하고, 방출 소요기간을 절반이상(60일→30일) 단축하는 등 수급위기 발생 시 국가 비축물을 적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
* (현행) 일반방출 → (개선) 일반방출, 긴급방출, 순환방출 등으로 확대·운영
 
아울러 국가 미래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수요업계의 안정적인 사업운영을 위해 광해광업공단과 산업별 대표 수요기업* 간 민-관 금속비축 상호 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본 협약에 따라 광해광업공단은 국내 수요업계의 공급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산업수요가 높아지는 신규 비축품목 지속 발굴, 비축제도 개선, 수급 리스크 모니터링 등 민간 지원을 확대해 나가고, 수요업계는 국가 비축품목의 품질유지 등을 위한 순환대여, 시범방출, 공동비축 제도 운영에 적극 협력하기로 하였다.
* (이차전지)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코스모화학, (전기차) 현대차, (반도체) SK스페셜티 (철강) 포스코, 현대제철

천 실장은 러-우 전쟁 등 지정학적 위기, 주요 공급국의 핵심광물 수출통제*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의 불균형이 심화되어 핵심광물의 수급 불확실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면서, 핵심광물 수요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는 핵심광물의 안정적 확보가 지속가능한 산업경쟁력 확보에 필수 요소임을 강조하고, 핵심광물의 해외자원확보 → 비축확대 → 재자원화로 연결되는 선순환형 전주기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특히, 핵심광물 국가 비축제도를 강화하여 수급 위기 시 적기에 대응하고, 희소금속 공동구매·비축, 순환대여제도 등 신규 제도를 활성화하여 민간 수요기업의 직접적인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하였다.
* (칠레) 리튬은 자국 공기업 주도 개발 추진, (인니) 니켈원광 수출금지(‘19.9)


(산업통상자원부, 2023.01.3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0001&pageIndex=10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15,A00012,A00013,A00032&startDate=2023-01-01&endDate=2023-05-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49 빨라지는 바다의 불청객 ‘패류독소’, 안전관리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694
48 수입 이륜차, 과도한 배출가스 인증생략 혜택 축소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54
47 「철강산업 탄소규제 국내대응 작업반」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08
46 2023년 설 명절 생활폐기물 관리대책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70
45 인구절벽 위기 극복을 위한 여성고용 활성화 과제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45
44 이종호 장관,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53
43 환경부 장관, 기업들과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92
42 산업부, 미 국무부와 핵심광물 등 에너지 협력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93
41 해수부, 친환경선박 보급지원사업 공모 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26
40 2023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 지정신청 접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52
39 “대학교·아파트 휴게시설 설치 의무 이행 점검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58
38 2023년 장애인일자리사업을 확대 시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47
37 이정식 장관, "불합리한 노동관행 개선 전문가 자문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42
36 소공인 및 소공인 근로자 권익보호 법적근거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95
35 버려지던 굴·조개 껍데기 새로운 소득원 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53
34 삼성전자·포스코 인터내셔널·포스코·비지에프(BGF)리테일, 「이달의 상생볼」로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78
33 최상대 차관, 「공공기관 청년인턴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10
32 농업 분야 무상 공적개발원조(ODA) 추진 전략 수립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249
31 주민수용성 개선, 국내산업 육성을 통해 지속가능한 재생에너지 보급기반 조성 비회원 2023-05-19 1,013
30 2023년도 유해화학물질 시설개선 지원사업 공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