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보일러로 환경도 지키고 난방비도 절감해요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80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올해 노후화된 가정용 일반 보일러를 친환경 보일러로 교체할 경우 일반 가구는 10만 원, 저소득층*은 60만 원까지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 가족 등

 

 ○ 특히, 저소득층에서 보일러 제조?판매사의 특정제품(경동나비엔, 귀뚜라미)을 교체할 경우 정부 보조금을 합해 무상으로 교체*할 수 있다.

 

   * 제조?판매사에서 사회공헌 측면에서 저소득층 자부담액을 지원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일부 설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 

 

 ○ 2017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친환경 보일러 교체 지원사업은 그간 109만 대의 교체를 지원했다. 올해에는 지방비 포함 총 57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최대 52만 대 교체를 지원한다.


   * 국비보조금(342억 원)+지방비지원금(228억 원)

 

 ○ 보조금 신청은 ‘가정용 보일러 인증 시스템(www.greenproduct.go.kr/boile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관할 시군구 환경부서에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다. 보일러 판매자의 대리 신청도 가능하다.

 


□ 친환경 보일러는 질소산화물(NOX), 이산화탄소(CO2) 등의 발생을 줄여, 대기오염물질 저감과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한다.

 

 ○ 또한 열효율이 92% 이상으로 노후 보일러 대비 약 12% 정도 높아 연료비 절감에도 도움을 준다.

 

 ○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노후 보일러를 친환경 보일러로 교체할 경우, 질소산화물은 연간 약 87%, 일산화탄소는 70.5%가 저감되며, 이산화탄소는 19%가 저감된다.


   * 친환경 보일러의 온실가스 저감효과 및 경제적 편익 분석(’21.11월)

 

 ○ 열효율 개선에 따른 도시가스 사용량 절감으로 1대당 연료비*는 연간 최대 44만 원이 절약(‘23.1월 도시가스 요금 기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간 연료비 = (연간 연료사용량 / LNG 발열량) × 가정용 LNG 소비자 요금

 


□ 환경부는 지난해에 친환경 보일러 37.3만 대 교체를 지원했으며, 이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연간 배출 감축량은 질소산화물 1,024톤, 일산화탄소 1,540톤에 달했고, 이산화탄소는 약 20만톤 감축, 연료비 절감액은 1,000억 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 친환경 보일러 1대 교체시 연간 감축(절감) 효과 : NOX(2.75kg), CO2(0.54ton), CO(4.13kg), 도시가스(LNG)사용량(최대 420만kcal)    

 


□ 특히, 2020년 4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대기관리권역*내에서는 환경부 장관의 인증을 받은 가정용 친환경(저녹스) 보일러만 제조?공급 또는 판매해야 한다.


   * [시행령 별표1] 서울시 전지역을 포함하여 총 77개 특광역시 및 시군

 

 ○ 환경부는 친환경 보일러의 전국 확산을 위해 대기관리권역내 뿐만 아니라 권역외 지역에도 친환경 보일러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 박연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친환경 보일러가 환경적?경제적으로 우수한 만큼, 각 가정에서 노후된 보일러를 교체할 경우 친환경 보일러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라며,

 

 ○ “앞으로도 친환경 보일러 보급 지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환경부, 2023.02.0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0293&pageIndex=2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2-01&endDate=2023-02-28&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05 계절적 요인에 따른 산재 예방.대응을 위한 체계적 매뉴얼 첫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718
304 탄소중립을 위해 수소·암모니아 발전은 필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727
303 환경부·인제군·현대건설, 가축분뇨 통합 바이오가스화 추진 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2
302 환경·사회·지배구조 개선을 뒷받침하기 위한 사업전환법령 개편·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61
301 순환경제를 통한 탄소중립, 기후테크가 이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11
300 수소 생산하며 나온 이산화탄소, 깨끗한 물 만들 때 쓴다…온실가스 감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598
299 2050년까지 최대 생산량의 80% 이상 바이오가스 의무 생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85
298 환경기업의 의견에서 녹색산업의 길을 묻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39
297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및 지속 가능한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상생.협력 일자리 컨설팅’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3
296 첨단장비로 대기오염물질 불법배출 집중관리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08
295 중대재해 예방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바다일터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13
294 고용노동부, 4월 26일 전국의 ‘끼임 사고’ 위험 업종 집중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95
293 유출 지하수 활용, 지속가능한 물순환으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47
292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 대응을 위한 순환경제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8
291 해양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종 23종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86
290 중소협력업체 안전보건 수준 향상을 위해 대기업이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73
289 해양쓰레기 유입보다 수거 늘려 획기적으로 줄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4
288 해양쓰레기 유입보다 수거 늘려 획기적으로 줄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87
287 "오늘도 지구를 구하는 일상"… 기후변화주간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99
286 전국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정보, 신뢰도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