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수산물 생산해역 등을 중심으로 해양 방사능 조사 확대

담당부서 : 해양수산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83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전국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해양 방사능 조사정점을 올해 2월부터 전년보다 7개소 더 추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 정점과 주기 확대는 신정부 국정과제인 ‘풍요로운 어촌활기찬 해양’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 중의 하나인 “방사능 검사 등 안전한 수산물의 공급체계 구축”과 작년 7월 정부 합동으로 발표한 “해양 방사능 감시체계를 확대하고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한다는 계획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다.

 

  해양수산부는 2015년부터 우리나라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해양 방사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그동안 지속적으로 조사정점과 조사주기를 확대해 왔다.

 

  올해 2월부터는 기존 45개 정점에서 7개 정점이 추가*되어 총 52개 정점으로 확대되며 이 중 주요 정점인 29개소는 격월 단위로 조사하고, 23개 정점은 2월과 8월, 연 2회 조사를 실시한다. 새롭게 추가되는 7개 정점은 전문가 자문과 지자체 의견 수렴 등을 거쳐 확정되었으며서남해역의 주요 수산물 생산해역과 해류의 유입경로 등이 고려되었다.

 

    * 진도, 완도노화, 완도소안, 여수거문, 울산정자, 진해만, 거제도남안

   ** 조사정점: (’19) 32개 → (‘20~’21) 39 → (’22) 45 → (‘23) 52
  격월 조사정점: (’20) 10개 → (’21) 13 → (’22) 22 → (‘23) 29

 

 

  정도현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앞으로도 정부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적인 원칙으로 하여 국내 방사능 감시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하고, “관련 조사·분석 결과를 신속하고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정보 서비스의 품질관리에도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해양수산부가 수행하는 연안해역에 대한 해양 방사능 조사 결과는 해양수산부 누리집*과 해양환경정보포털**(www.mei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해수부 누리집) 알림·뉴스 > 해양 방사능 정보

   ** (해양환경정보포털해양관측&정도관리 해양환경관측&조사 해양방사성물질조사정보




(해양수산부, 2023.02.02)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0506&pageIndex=2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2-01&endDate=2023-02-28&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15 핵심광물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 회의 참석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50
114 통상차관보, EU 통상총국 부총국장 면담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75
113 전기차 대중화와 탄소중립 앞당기는 2023년 보조금 개편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59
112 범정부, ?기후변화 대비 재난관리체계 개선 대책?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78
111 안전한 광산일터 조성을 위한 ?광산안전 종합대책? 발표 비회원 2023-05-19 835
110 미래세대를 위한 임금체계 개편 본격 추진, 이중구조 개선 첫걸음으로 상생임금위원회 발족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41
109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3자 업무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18
108 주요 수산물 생산해역 등을 중심으로 해양 방사능 조사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30
107 친환경 보일러로 환경도 지키고 난방비도 절감해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15
106 유럽연합(EU) 통상현안 지휘 본부 가동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62
105 2.1.부터 휴게시설 설치비용 지원사업 시행 안내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51
104 국립공원공단, 페트병 재활용 친환경 순찰복 착용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22
103 에너지 공공기관이 한데 뭉쳐 청정수소 발전 전주기 생태계 조성에 박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93
102 민·관이 함께 핵심광물 비상수급 안정화 방안을 논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43
101 전기설비 안전관리자 선임 규제완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677
100 장관, 서호주 총리와 핵심광물?수소 협력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20
99 에너지스토리지(ESS) 산업 육성방안 마련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00
98 정부 “새로운 위험을 예측하고 현장에서 작동하는 국가안전시스템으로 개편”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63
97 전력계통 안정성 강화로 재생에너지 지속 확대 기반 조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168
96 산업부, 2023년 에너지 기술개발에 1.2조원 투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