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수산물 생산해역 등을 중심으로 해양 방사능 조사 확대

담당부서 : 해양수산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83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전국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해양 방사능 조사정점을 올해 2월부터 전년보다 7개소 더 추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 정점과 주기 확대는 신정부 국정과제인 ‘풍요로운 어촌활기찬 해양’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 중의 하나인 “방사능 검사 등 안전한 수산물의 공급체계 구축”과 작년 7월 정부 합동으로 발표한 “해양 방사능 감시체계를 확대하고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한다는 계획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다.

 

  해양수산부는 2015년부터 우리나라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해양 방사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그동안 지속적으로 조사정점과 조사주기를 확대해 왔다.

 

  올해 2월부터는 기존 45개 정점에서 7개 정점이 추가*되어 총 52개 정점으로 확대되며 이 중 주요 정점인 29개소는 격월 단위로 조사하고, 23개 정점은 2월과 8월, 연 2회 조사를 실시한다. 새롭게 추가되는 7개 정점은 전문가 자문과 지자체 의견 수렴 등을 거쳐 확정되었으며서남해역의 주요 수산물 생산해역과 해류의 유입경로 등이 고려되었다.

 

    * 진도, 완도노화, 완도소안, 여수거문, 울산정자, 진해만, 거제도남안

   ** 조사정점: (’19) 32개 → (‘20~’21) 39 → (’22) 45 → (‘23) 52
  격월 조사정점: (’20) 10개 → (’21) 13 → (’22) 22 → (‘23) 29

 

 

  정도현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앞으로도 정부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적인 원칙으로 하여 국내 방사능 감시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하고, “관련 조사·분석 결과를 신속하고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정보 서비스의 품질관리에도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해양수산부가 수행하는 연안해역에 대한 해양 방사능 조사 결과는 해양수산부 누리집*과 해양환경정보포털**(www.mei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해수부 누리집) 알림·뉴스 > 해양 방사능 정보

   ** (해양환경정보포털해양관측&정도관리 해양환경관측&조사 해양방사성물질조사정보




(해양수산부, 2023.02.02)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0506&pageIndex=2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2-01&endDate=2023-02-28&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63 「신재생에너지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96
62 문체부, ‘양성평등 홍보물 제작 안내서 ’ 배포… 성차별적 요소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67
61 “중소사업장의 근원적 안전을 확보한다!” 2023년도 "안전투자 혁신사업"지원신청 접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09
60 에너지 위기대응을 위해 공공기관 실내온도 제한 조치를 시행 중이며, 국민의 불편 최소화 방안을 검토중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11
59 장기 분쟁 해결을 통한 노사 상생을 위해 전문가가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90
58 조선업종 외국인 근로자 고용 및 해양산업 규제 완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33
57 환경기술 실증의 장 개최, 녹색 신산업의 씨앗 심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697
56 환경과학원, 총유기탄소 환경오염 평가기법 국제적 인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45
55 환경부-산업계 국제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힘모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99
54 중소기업 기술개발(R&D) ‘도전은 쉽게, 연구는 자유롭게, 부정은 단호하게’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05
53 한-독 실장급 에너지 협력위원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22
52 2022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코로나 이전(2019년)보다 1.7%포인트 증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98
51 해양수산부, 안전시설물 정비로 항만안전 성능개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91
50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환경부, 탄녹위 등 관계부처와 충분히 협의하여 최종안이 마련되었으며, 재생에너지 …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782
49 빨라지는 바다의 불청객 ‘패류독소’, 안전관리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694
48 수입 이륜차, 과도한 배출가스 인증생략 혜택 축소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54
47 「철강산업 탄소규제 국내대응 작업반」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808
46 2023년 설 명절 생활폐기물 관리대책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1,070
45 인구절벽 위기 극복을 위한 여성고용 활성화 과제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42
44 이종호 장관,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19 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