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수소시장 진출을 위한 민관 합동 투자설명회 개최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729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2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2.7.(화)~2.9.(목) 미국 캘리포니아 롱비치에서 개최된 수소&연료전지 세미나(HFCS*)에 참여하여 미국 수소 시장 진출을 위한 민관 합동 로드쇼(투자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HFCS : Hydrogen & Fuel Cell Seminar
HFCS는 40년 이상의 역사(1976~)를 가진 북미 최대 수소산업 관련 행사로, 미국 주도* 하에 전 세계 70개 이상의 기업, 기관이 참여하여 수소 분야 글로벌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세미나와 전시회를 통해 자사의 홍보 기회를 갖는 비즈니스 교류의 장이다.
* 미국 연료전지 및 수소에너지 협회(FCHEA) 주관, 미국 에너지부(DOE) 지원
동 행사에 한국은 주빈국(Host Country)으로 참가하여 한국 수소 산업에 대한 투자설명의 시간을 가졌으며, 수소산업 전시회를 통해 수소 트럭 등 수소제품을 전시·홍보하고, 한-미 수소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여 IRA 관련 정책 질의 및 기업 간 수소 비즈니스 협력 기회를 마련하였다.

?

<수소&연료전지 세미나(HFCS) 개요>

- 일시/장소 : ’23.2.7(화)~9(목)
- 장소 : 美 캘리포니아 롱비치 컨벤션센터
- 참석자 : (해외) 美 에너지부 정책자문관·수소국장, 美 상무부 차관보, 캘리포니아 주정부, FCHEA, 에어프로덕츠, 혼다, 월드뱅크, 플러그파워 등 (국내) 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 H2KOREA, 현대차, SK E&S, 고려아연, 미코파워, H2 비즈니스써밋, KOTRA 등
- 주요내용 : 글로벌 수소 현안 논의, 수소기업 홍보, 수소산업 전시회 개최 등

?

【 행사 참여 의의】
미국은 향후 10년 이내 청정수소 1kg을 1달러에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초당적 인프라 투자법안(BIL) 등을 통해 대규모 지원*을 추진하고 있어, 수소 시장이 본격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IRA) 청정수소 1kg 생산당 최대 3불 세액공제, 수소차·발전용 연료전지에 세액공제 (BIL) 청정수소허브 구축에 80억 달러, 수전해 기술개발에 10억 달러 지원 등
이에 수소차·연료전지 등 분야에서 우리 기업에 다양한 수출 기회가 생길 것으로 전망되며, 최근 현대차 수소트럭이 미국 친환경차 사업*에 선정되어 올해부터 미국에 진출하는 등 수출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 캘리포니아 항만 친환경차 트럭 도입사업(30대, ‘23~), 美 환경보호청 대기질 개선 사업(5대, ’23)
아울러, 기술력 있는 미국의 글로벌 수소 기업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우리 기업의 수출역량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한국 산업부와 수소협회(H2KOREA)는 수소 분야 수출 제고를 위해 미국 정부, 협회와 협의를 통해 HFCS 개최 역사 이래 최초의 주빈국 참여를 이루어냈고, 한국 전용 홍보관, 주빈국 대표세션, 한-미 수소 라운드테이블 등 기회를 마련하였다.

?

【 HFCS 내 韓 정부·기업 홍보활동】
금번 세미나에서 산업부는 기조연설을 통해 그간 한국 수소 정책 성과를 홍보하고, 글로벌 수소경제 확산을 위해 한국이 선두에 서서 모범사례를 만들어 나갈 것임을 발표하였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소차·연료전지 보급량을 기록하고, 가장빠른 속도로 충전소를 보급하고 있으며, 선도적인 기술력과 보급경험을 바탕으로 차량용·발전용 연료전지 등 제품도 수출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아울러, 올해 국내에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를 구축하고, 수소 상용차를 대량 보급할 것이며, 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을 통해 발전 분야 생태계도 구축하는 등, 우리 정부·기업이 합심하여 수소경제 역량을 지속적으로 키워나갈 것임을 밝혔다.

국내 기업들은 주빈국 대표세션(Host Country Delegation Session)에서 전세계 기업들과 미 정부를 대상으로 자사의 수소제품과 성과를 홍보하는 시간을 가졌다.
현대차는 유럽에서 우수한 상품성을 인정받은 엑시언트 수소트럭*이 미국 캘리포니아 항만 친환경 트럭 도입사업 등에 선정되었다고 소개하고, 북미 지역 수소상용차 사업 본격 전개에 대한 의지를 피력하였다.
* 스위스에 수소트럭 47대 수출(‘20~’22), 독일에 27대 공급 예정
미코파워는 자사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제품인 TUCY 모델을 소개하며, 향후 그린수소 기반의 모델로 확대해나갈 것임을 발표하였다.
SK E&S는 글로벌 기업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선진 기술역량을 확보해나가고 있으며, 美 플러그파워社와 합작(SK Plug Hyverse)을 통해 아시아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하였으며, 고려아연은 녹색전환 사업의 일환으로 현재 호주에서 추진하고 있는 그린수소 밸류체인 구축사업을 설명하며, 미국에서도 다양한 비즈니스 창출을 희망한다고 소개하였다.
아울러, 코트라는 해외 기업의 한국 진출을 위한 투자유치 지원 사업을 설명하였으며, H2 비즈니스 써밋에서는 한국의 수소경제 확산을 위한 국내 기업들의 노력을 설명하였다.

HFCS 수소산업전시회에서는 한국 정부와 기업은 한국 전용 홍보관을 운영하며 한국 기업의 기술력과 정책적 노력을 소개하였다. 특히, 금번 전시회에서 현대차는 수소엑시언트 트럭 전시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 모빌리티 기술력을 홍보하였다.

?

【 한-미 수소 라운드테이블 개최】
한편, 금번 세미나 계기 산업부는 미국 에너지부, 상무부와 공동으로 양국 기업·기관이 참여*하는 한-미 수소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였다.
* (美) FCHEA, 에어프로덕츠, 퓨얼셀에너지, 플러그파워, 케무어스, CF인더스트리스, 하이엑시엄 등 (韓) H2KOREA, 현대차, SK E&S, 고려아연, 두산퓨얼셀, 미코파워, 코트라, H2 비즈니스 써밋
동 행사에서 한국 정부·기업은 미국 IRA 정책의 세부내용 및 향후계획(청정수소 인증 등)에 대해 질의하고 수소트럭, 연료전지 보급 등에 美 정부의 지원을 강화할 수 있기를 요청하였다. 아울러, 미국 수소 전 밸류체인에 걸쳐있는 다양한 기업들과 교류하며, 양국 기업들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였다.

산업부 관계자는 “에너지안보 달성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수소경제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었다”고 밝히며, “글로벌 수소경제 확산 과정에서 한국이 수소산업 주도권을 확보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이 한 팀이 되어 수출 및 비즈니스 기회를 마련해 나갈 계획”임을 강조하였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02.0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1523&pageIndex=9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15,A00012,A00013,A00032&startDate=2023-01-01&endDate=2023-05-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82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시행 20주년 기념 전문가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21 561
381 상수도관 등 녹색산업 수출기업 경쟁력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21 547
380 ‘블루카본 추진전략’ 발표… 블루카본으로 해양의 기후재해 대응능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93
379 공정한 식재료 공급과 농업분야 사회가치경영(ESG)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65
378 정부청사 커피전문점 "일회용컵 안씁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3
377 공공부문 저공해차 구매·임차, 2022년 구매실적 및 2023년 구매계획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82
376 환경을 위해 녹색제품 쓰세요… 2023년 녹색소비주간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0
375 온실가스 관측 초소형 위성 개발 위해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5
374 여름철(6~8월) 해양사고 예방대책 수립·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6
373 아세안과 에너지 전환의 시대를 준비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0
372 노사발전재단, 라오스 노동사회복지부 초청 노동법·제도 개선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93
371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 위해 화학규제 혁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17
370 국민 목소리에 응답한 고용노동 규제혁신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88
369 국민과 미래세대를 위해 미룰 수도, 미뤄서도 안되는 노동개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92
368 고용노동부, 기업의 근로시간면제제도 운영현황 등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2
367 안전을 보는 눈, 위험성평가 현장을 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1
366 기업 환경정보, 환경정보공개시스템에서 미리 확인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5
365 환경위성 관측 이산화질소 평균 농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26
364 해양 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글로벌 리더들이 부산에 모였다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계기 리더스서밋 개최(5…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4
363 「2023 고용평등 공헌포상」 시상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