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해안가, 국민참여로 만들었어요

담당부서 : 해양수산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80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2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22년 안전신문고*에 해양쓰레기 메뉴를 개설한 이후 전년 대비 신고 건수가 4배 이상 증가해 해안가 쓰레기 감시에 효과가 높았던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 안전신문고 : 생활 속 안전 위험요인을 휴대폰으로 신고할 수 있는 앱(행정안전부)

 

  해안가 쓰레기는 한번 바다로 유입되면 수거가 어려워지고 해양생물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신속한 발견과 수거가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해안선은 15,258km에 달하고 해안가 쓰레기를 담당하는 지자체 역량만으로는 감시에 한계가 있어 해양을 이용하는 국민 모두의 적극적인 신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와 행정안전부는 ’22년 5월 안전신문고에 해양쓰레기 메뉴를 별도로 개설하고 신고 참여 활성화를 추진해왔다. 그 결과 ‘22년 신고 건수는 1,488건으로 ’21년(360건)에 비해 4배 이상 늘어났으며, 신고된 쓰레기는 담당 지자체에서 바다환경지킴이* 등을 활용하여 수거하였다특히 휴가철 피서지에서의 해양쓰레기 관리에 효과가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 해양쓰레기를 수거·처리하는 인력으로 지자체가 관리(‘23년 기준, 전국 1,200명)

 

  신고자료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22년에는 제주, 부산·경남 지역에서의 신고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많았다. 시기별로는 겨울철 제주지역과 여름철 강원지역에서의 신고량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제주지역의 경우 겨울철 바람에 의해 해안가로 많은 해양쓰레기가 유입되는 계절적 특성이, 강원지역은 휴가철 피서객이 몰리면서 해양쓰레기 발생량도 함께 증가한 것이 그 원인으로 분석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81021c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77pixel, 세로 204pixel

<기간별 신고량, 단위 : 건>            <지역별 신고량, 단위 : 건>

 

  종류별로는 스티로폼 부표와 폐어구, 투기 된 생활 쓰레기 등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고, ‘줍깅*’ 참여 후 쓰레기를 한곳에 모아놓고 수거를 요청한 사례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었다.

 

  * 줍깅 : ‘줍다’와 ‘달리기(조깅)’의 합성어로, 달리기를 하면서 쓰레기를 줍는 활동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해양쓰레기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이에 각 지자체에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바다환경지킴이 사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도록 지침을 개정하였다이와 더불어23년부터는 양쓰레기 신고의식을 높이고 작은 쓰레기는 직접 줍기를 활성화하는 대국민 캠페인(가칭 ’알줍*)도 추진할 예정이다.

 

  * 알줍(알려주세요+주워주세요) : 안전신문고 해양쓰레기 신고 및 자발적 해변정화활동 확대

 

  해양수산부 정도현 해양환경정책관은 “국민의 관심이 높아질수록 우리의 해안가도 더욱 깨끗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해양쓰레기의 신고와 자발적 해변정화활동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라며 앞으로도 안전신문고앱 해양쓰레기 메뉴를 많이 활용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해양수산부는 ’30년까지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 60% 저감과 해양오염퇴적물 현존량 50% 감축을 목표로 ‘제1차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 기본계획(’21~‘30)’을 수립하고 해양폐기물의 발생 예방, 수거·운반체계 개선처리·재활용 촉진관리기반 강화 및 인식개선 등 ‘해양오염물질의 전()주기 관리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2023.02.17)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3218&pageIndex=1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2-01&endDate=2023-02-28&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72 그린수소, 바다·호수에서 대량 생산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71
271 2022 환경백서 발간…환경정책 성과 종합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53
270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국내외 전문가 머리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808
269 중소기업에도 녹색투자 길 열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819
268 엘지유플러스(LGU+) 침해사고 관련 재발방지 대책 마련 및 시정조치 요구 비회원 2023-05-24 816
267 생물표본 관리 역량 강화…담당자 한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78
266 고용노동부, “노동개혁정책관” 신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06
265 국내 청정수소 생산 기반시설(인프라)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57
264 여성 특성화고·여대의 창·취업을 위해 선배 여성 최고경영자(CEO)가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16
263 ‘과기정통부, 제로 트러스트 신보안체계 도입 본격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78
262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법안 최종 승인, 전환기간을 거쳐 ‘26년부터 시행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97
261 한미 양국 첨단산업, 소형모듈원전(SMR)·청정수소 등 양해각서(MOU) 23건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07
260 규제심판부, “친환경 신(新)모빌리티인 화물용 전기자전거 도입” 권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46
259 재생에너지 풍부한 칠레와 ‘그린수소’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18
258 사회적경제기업 지속가능한 성장지원에 앞장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52
257 ’22년 한국남동발전(주), 인천항만공사,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27개 공공기관이 동반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6
256 청렴하고 적극적인 공직사회 조성을 위해 감사인 역량을 모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40
255 에너지혁신벤처 성장을 위한 협력의 장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18
254 인천시, 수소버스 130대(전국1위), 자체 수소생산도 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72
253 주민소통 체계화로 해상풍력 갈등 해소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