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화물차 수요, 민관 손잡고 적극적으로 찾는다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82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2

□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3월 3일 오전 대한상공회의소(서울 중구 소재)에서 주요 공공기관 및 지자체, 기업 및 협회 등*과 함께 ‘수소 화물차 수요 발굴 간담회’를 개최한다.


 * 국토교통부, 주요 지자체(경기, 인천, 대전, 경남 등), 11개 주요 물류사, 현대자동차, 수소 충전소 사업자, 공공기관, 한국천연가스수소차량협회

 

 ○ 이번 간담회에서는 정부의 수소 화물차 보급 정책을 소개하고, 수소 화물차 생산자와 수요자인 주요 지자체와 물류사 간의 공급-수요 맞춤형 지원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 환경부는 지난해 11월부터 판매를 시작한 수소 화물차와 연계하여 올해 수소 화물차 보급 목표를 100대로 확대했으며, 수소 화물차가 보급 초기 단계임을 고려하여 정부 주도로 적극적인 수요 발굴에 나설 계획이다.

 

 ○ 수소 화물차의 수요 발굴과 더불어 환경부는 대형 수소 상용차의 충전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올해 말까지 상용차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를 68곳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 그간 내연기관 화물차는 승용차에 비해 연간 미세먼지(PM 10) 배출량이 153배, 초미세먼지(PM 2.5) 배출량이 141배나 많아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무공해차(전기·수소차)로 신속하게 전환해야 한다.


    *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편람 (‘22.6월,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 : (PM10/PM2.5) 내연기관 승용 0.01/0.01kg/yr, 화물 1.53/1.41kg/yr 

 

 ○ 특히 이번에 출시된 수소 화물차는 적재량 11톤급의 대형 화물차로 하루 평균 운행 거리가 369.3km에 이르는 등 소?중형(1톤~3톤) 화물차 하루 평균 운행거리인 278.9km에 비해 32.4%가 높아* 무공해차 전환으로 인한 환경개선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 2021 화물운송시장동향 연간보고서(한국교통연구원)

 

□ 정부는 수송 분야의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11톤급 수소 화물차의 보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정부는 2021년에 ‘수소 화물차 시범사업*’을 통해 주요 물류사에 총 5대의 11톤급 수소 화물차를 1년간 운행하여 성능을 점검하고, 실제 운행 결과를 수요 확대에 활용하고 있다.


   * 수소 화물차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20.5월), 수소화물차 시범운영(’21)

 

 ○ 이를 계기로 환경부는 수소 화물차 국비 보조금 단가를 2021년 2억 원에서 2022년 2.5억 원으로 상향하여 수소 화물차를 동일 톤급의 경유 화물차(1.6~2.1억 원) 수준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국비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을 합칠 경우 1대 당 최대 4.5억 원 지원

 

 ○ 또한, 국토교통부는 수소 화물차에 대해 1kg당 4,100원의 연료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화물차 전용 충전소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지난해 말 지자체 기준으로 충남 아산시에 최초로 보급된 수소 화물차는 올해 상반기 중에 아산시 지역 농산물을 이동하며 실시간으로 판매하는 창구(라이브 커머스 플랫폼)로 활용될 예정이다.

 

□ 박연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수소차는 전기차에 비해 주행거리가 길고 충전시간이 짧아 대형 상용차에 특히 적합하다”라며, “보급 초기 단계인 수소 화물차의 보급을 위해 현장 중심의 수요 발굴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부, 2023.03.02)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5385&pageIndex=30&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3-01&endDate=2023-03-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69 전국 159개 새일센터,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훈련 실시 비회원 2023-05-22 847
168 우리 사업장 위험성평가, 이러닝으로 배웠어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16
167 재활용환경성평가, 자원순환사회로 앞장서는 지름길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55
166 현장의 실효성을 높인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제도 개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65
165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 위해 힘모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17
164 탄소중립 실천 이끌 환경교육사 양성 박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98
163 고용노동부, "근로시간 제도 개편" 대국민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71
162 임금체계 개편 추진, 이중구조 개선을 위한 「상생임금위원회」제2차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68
161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지원, 녹색금융 활성화 마중물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29
160 고용노동부, 지자체와 손잡고 중대재해 감축 나선다 !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1,046
159 해양수산부, 친환경선박 보급에 적극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93
158 고용노동부, 청년인턴 96명에 국정 일경험 기회 제공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63
157 70년 만의 노동개혁, 미래를 위한 변화의 시작 비회원 2023-05-22 818
156 환경부, 인천시와 함께 올해 수소버스 200대 보급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27
155 제1차 민관합동 ESG 정책 협의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75
154 모집.채용할 때 나이 대신 능력과 경험 물어보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60
153 환경부-수출기업,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위해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67
152 한우 출하기간 단축 등으로 온실가스 저감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40
151 ‘중대재해 사이렌’으로 안전을 공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683
150 깨끗한 해안가, 국민참여로 만들었어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