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액화수소 시대 본격 개막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비회원
  • 0
  • 77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박일준 2차관은 3.9.(목) 두산에너빌리티 창원공장을 방문하여 액화수소 기업간담회를 주재하고 창원지역 주요 수소인프라를 점검하였다. 이번 간담회는 정부가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22.11.9.)에서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방안?을 발표한 이후, 국내 액화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한 주요 프로젝트 추진현황 점검과 업계 애로사항 청취를 위해 마련되었다. 액화수소*는 기체수소와 비교해 저장·운송 측면에서 우수**하여 미래 수소경제의 게임체인저로써 수소상용차 보급촉진, 국가 간 대량수소 운송을 위한 핵심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 기체수소를 극저온상태(-253℃)로 냉각하여 액화한 수소
** 기체/액체 : (1회운송량) 200kg/2톤이상, (압력) 200기압이상/대기압, (부지) 200평/70평

?

 

< 액화수소 기업간담회 및 현장점검 개요 >

 

 

 

□ 일시/장소 : '23. 3. 9.(목) 13:00~16:30 / 두산에너빌리티 회의실, 액화플랜트 구축 현장 등
□ 참석자 : 정부·지자체, 유관기관, 액화수소 기업 관계자 등
- (공공) 산업부 박일준 2차관, 경남도, 창원시, 한국가스안전공사
- (민간) 액화수소 관련기업 9개사(두산에너빌리티, SK E&S, 효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범한퓨어셀, 현대로템, 피케이밸브앤엔지니어링, 광신기계공업, 코하이젠)
□ 주요내용 : (간담회) 정부 액화수소 정책 발표, 액화수소기업 애로 청취 (현장점검) 액화플랜트 구축현장, 수소버스용 충전소, 수소에너지 실증단지

?

【액화플랜트 구축】

금년 중, 두산에너빌리티, SK E&S, 효성중공업은 국내 액화플랜트 준공을 통해 국내시장에 처음으로 연간 최대 4만톤 가량의 액화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국내 액화수소 플랜트 구축현황 >

구분

SK E&S

효성-린데

창원산업진흥원-두산에너빌리티

생산규모

90톤/일(3만톤/년)

15톤/일(5,200톤/년)

5톤/일(1,700톤/년)

설치지역

인천(SK 인천석유화학 공장)

울산(효성화학 용연3공장)

창원(두산에너빌리티 공장)

생산시기

(예정)

‘23.10월

‘23.12월

‘23.上


이에 정부는, 생산된 액화수소의 유통 인프라 확보 및 수요 확대 등을 통해 정책적인 뒷받침을 해나갈 예정이다.

?

【액화수소 생태계 조성방안】

올해는 액화플랜트 준공과 함께 국내시장에 처음으로 연간 최대 4만톤 가량의 액화수소가 본격 생산됨에 따라 유통인프라 확보와 수요처 발굴 등의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①수요창출, ②기반조성, ③기술개발 등 액화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① (수요창출) 수소버스에 대한 정부보조금 신설* 등 제도적·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통근·셔틀버스 및 경찰버스의 단계적 수소버스 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다.

* 수소연료전지시스템 구매지원 시범사업('23년, 산업부) : 총 280억원(버스 400대 지원)

** 수소버스 취득세 및 통행료 감면, 광역버스 차고지 내 액화인프라 구축 등

② (기반조성) 수소 수요 증가에 부응하여 액화충전소를 확대 보급*하고, 규제개선을 통해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해소**하는 등 제반여건을 마련할 계획이다.

* 액화충전소 보급목표(제5차 수경위, '22.11) : (‘22)0개소 → (‘25)40개소 → (‘30)70개소

** 액화수소충전소 이격거리 합리화, 수소활용 산업군 액화시설 안전기준 마련 등

③ (기술개발) 액화기술의 내실화를 위한 단계별 기술개발*을 강화하고, 액화부품의 검사·인증기반 구축**을 통한 기업지원을 강화한다.

* 액화수소 핵심부품(저장탱크, 밸브, 압축기)에 대한 R&D진행(625억원)

** 액화수소 검사지원센터('22~'25, 충북 음성), 액화수소 신뢰성평가센터('23~'25, 강원 삼척) 등


【기업간담회】

이번 간담회는 액화플랜트 구축현황 공유, 참석 기업들의 정책질의 및 애로사항 건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기업들은 생산설비 및 충전소 관련 규제개선, 정책금융 지원, 액화수소 R&D 실증지원 등을 건의하였다.

박 차관은 “액화수소 기자재·부품 등이 현행법상 규제대상*이나, 아직 안전기준이 없어 규제샌드박스를 통한 실증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으며, 기업들과 긴밀히 협의하여 조속히 안전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상 검사 의무화 대상

아울러, 액화수소 수요처를 수송용뿐 아니라, 반도체, 자동차 등 산업용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규제개선 방안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박 차관은 액화수소 기업들에 대한 금융지원* 및 R&D 지원 등을 확대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 (정책금융) 신용보증기금(우대보증/운영 중), IBK기업은행(대출금리 우대/3월 중 적용) / (민간금융) KB국민은행(우수기업대출/운영 중), 엔지니어링공제회(수소용품 책임보험/24년 중)


【수소인프라 현장점검】

간담회 이후, 박일준 2차관은 액화플랜트, 수소에너지 순환에너지 실증단지, 수소버스용 충전소 등 창원지역 주요 수소인프라를 점검하였다. 하이창원 액화플랜트(창원시-두산E) 구축사업은 현재 공정율이 99.7%로, 준공 이후 5톤/일 규모의 액화수소를 국내 최초로 생산할 예정이다. 수소에너지 순환시스템 실증단지는 충전소, 생산기지, 블루수소 CO2 포집, 연료전지발전소 등 수소에너지 전주기를 집적화한 세계 최초의 전주기 실증단지이다. 올해 상반기 준공되는 코하이젠 수소버스용 충전소는 산업부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 승인을 통해 국내 최초로 수소버스 셀프충전이 가능하다.


박일준 2차관은 “올해 3개 액화플랜트 준공을 통해, 우리나라는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생산설비를 갖추게 될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이 액화 플랜트·기자재·충전소 등 기술역량 내재화를 통해 액화수소 분야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며, 정부도 기술개발 지원 및 법·제도 개선, 인프라 조성 등을 통해 이를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03.0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6557&pageIndex=68&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15,A00012,A00013,A00032&startDate=2023-01-01&endDate=2023-05-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1 태양광 설비 밀집지역 계통안정화 추진현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63
170 세계 1등 수소산업 이끌 수소전문기업 본격 육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36
169 전국 159개 새일센터,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훈련 실시 비회원 2023-05-22 849
168 우리 사업장 위험성평가, 이러닝으로 배웠어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16
167 재활용환경성평가, 자원순환사회로 앞장서는 지름길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56
166 현장의 실효성을 높인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제도 개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66
165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 위해 힘모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18
164 탄소중립 실천 이끌 환경교육사 양성 박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98
163 고용노동부, "근로시간 제도 개편" 대국민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71
162 임금체계 개편 추진, 이중구조 개선을 위한 「상생임금위원회」제2차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70
161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지원, 녹색금융 활성화 마중물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30
160 고용노동부, 지자체와 손잡고 중대재해 감축 나선다 !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1,065
159 해양수산부, 친환경선박 보급에 적극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93
158 고용노동부, 청년인턴 96명에 국정 일경험 기회 제공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63
157 70년 만의 노동개혁, 미래를 위한 변화의 시작 비회원 2023-05-22 818
156 환경부, 인천시와 함께 올해 수소버스 200대 보급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27
155 제1차 민관합동 ESG 정책 협의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76
154 모집.채용할 때 나이 대신 능력과 경험 물어보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62
153 환경부-수출기업,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위해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69
152 한우 출하기간 단축 등으로 온실가스 저감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