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한 근무시간 운영이 연차휴가 사용에 도움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76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3

  3.20.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직원들의 유연근무와 휴가사용 문화가 활성화되어 있는 이에이트(주)를 방문하여 다양한 제도 운영 사례, 직원들의 반응, 회사의 분위기 등 현장의 생생한 경험담을 청취했다.


  이에이트(주)(대표 김진현)는 시뮬레이션 기반 디지털트윈 플랫폼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직원의 90% 이상이 MZ세대이고, 노사 간의 협의?소통을 통해 근무혁신 성과를 이루어내고 있는 기업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대표이사 외에 다양한 방법의 휴가제도와 유연근무를 활용 중인 근로자 4명이 함께 참여했다.


   * (일시·장소) 3.20.(월) 15:00~16:00, 이에이트㈜ 롯데월드타워 28층 컨퍼런스 룸   

   * (참석) 장관, 고용지원정책관, 서울노동청장 / 대표이사, 경영혁신실장, 인사팀장, 근로자 4명


  이에이트(주)는 유연근무제로서 오전 8~10시 사이 완전 자율출퇴근이 가능한 시차출퇴근제*를 도입하여 전 직원이 자기 개인 일정과 조화롭게 하루 근무의 시작과 끝을 맺는다. 코로나 확진이나 개인 사정이 있을 때는 재택근무도 활용할 수 있다.


   * 오전 8시~10시 사이에 자유롭게 출근하고 8시간 근무 후 퇴근하는 방식으로 전 직원(100%)이 활용


  이러한 유연근무와 함께 근로자들이 눈치 보지 않고 연차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유인책을 통해 휴가를 장려하고 있다.

 

  연차사유 작성 폐지반차제도 운영샌드위치데이 운영 등 연차사용 활성화와 함께 연차휴가와 별도로 리프레시 휴가(3년 단위 3~5일), 장기근속 휴가(5년 단위 5일 등)를 부여하고 여행상품권을 제공하는 등 직원들이 재충전하면서 일할 수 있도록 휴가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022년 이 회사 근로자의 연차휴가 소진율은 100%이다(전 직원 모든 연차 소진).


    * 연차사유 작성 폐지, 반차, 샌드위치 데이 등: 연차소진율 100%(‘22.12월 기준)

   ** 리프레시 휴가: ?입사 3년, 6년, 9년 각 3일간 부여 ?12년, 15년 등 각 5일간 부여
  *** 장기근속 휴가: ?입사 5년?10년 각 5일 ?20년 7일 ?30년 10일 + 여행상품권 지급 


  김진현 대표이사는 “유연한 근무시간 운영으로 직원들이 필요할 때 자유롭게 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리프레쉬 휴가, 장기근속 휴가 등 다양한 사내 제도를 도입했더니, 직원들의 번아웃 방지와 업무 몰입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직원들의 장기근속 유인을 높이고 우수 인재 채용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한편 이 회사 근로자들은 “자유로운 휴가사용으로 개인에게 투자할 시간이 늘어나고 삶의 질도 좋아졌다.”, “갑자기 연차를 써야 하는 상황에서도 눈치 볼 필요가 없고, 자유로운 휴가 덕분에 일과 휴식을 적절히 잘 할 수 있다.”, “3년 근속 포상으로 3일 리프레시 휴가를 받아서 평소에 하던 운동도 하고, 잠도 많이 자고, 맛있는 음식도 챙겨 먹으면서 재충전했다.”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이 장관은 “현재 우리나라 근로자는 평균적으로 자기 연차휴가의 76%를 쓰고 있고, 전 직원이 모든 연차를 소진하는 기업은 40.9% 수준인데, 휴가를 가급적 갈 수 있어야 실근로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며,


  “이에이트의 선진적인 휴가제도는 근로시간 제도 개편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우리가 바라는 회사의 모습 중 하나”라고 강조하면서, “휴가 사용은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로 사업주가 이를 막아서는 안되며 적극 보장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 2023.03.2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8108&pageIndex=1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3-01&endDate=2023-03-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91 해양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종 23종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77
290 중소협력업체 안전보건 수준 향상을 위해 대기업이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62
289 해양쓰레기 유입보다 수거 늘려 획기적으로 줄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13
288 해양쓰레기 유입보다 수거 늘려 획기적으로 줄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77
287 "오늘도 지구를 구하는 일상"… 기후변화주간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88
286 전국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정보, 신뢰도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67
285 한국장애인고용공단-한화생명보험(주) ‘장애인 고용을 통한 ESG경영 실천’ 업무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5
284 국제사회의 녹색전환에 대한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93
283 프로야구 일회용품 줄이기 팔 걷어붙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07
282 대한민국 기후변화 적응보고서 발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9
281 누구나 할 수 있는 숲 조성 글로벌 캠페인을 시작한다 - 외교부·산림청·유엔아동기금 한국위원회, 가상세계(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82
280 산정 방법 개선에 맞춰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840
279 우리가 탄소중립 선도하는 대표 사업장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55
278 기후위기 대응 골든타임 10년, 기후변화과학과 기술에서 해법을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44
277 ‘2050 탄소중립 달성과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국가 전략 및 제1차 국가 기본계획 의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82
276 탄소중립에 따른 위기, 지역 주도 준비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95
275 환경데이터 공모전 개최…창업 기회 넓힌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69
274 미국 에너지부와 원전 협력, 청정에너지 공조 강화에 합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46
273 재택근무로 업무효율도, 직원만족도 동시에 잡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2
272 그린수소, 바다·호수에서 대량 생산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