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인한 농촌 물부족, 농촌용수개발로 극복한다

담당부서 : 농림축산식품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74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3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저수지, 양수장, 용수로 등 수리시설이 열악하여 상습적으로 가뭄을 겪고 있는 농촌지역에 안정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23일 ?농촌용수개발사업? 신규착수 8개 지구와 기본조사 12개 지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농촌용수개발사업’이란 : 가뭄상습지역에 저수지, 양수장, 용수로 등 수리시설을 설치하여 농어촌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농업·생활·환경용수 등 다목적 용수를 확보·공급하는 사업

  * (다목적용수개발) 수리시설 신규·증설, (체계재편) 기존 수리시설 연계로 지역간 물수급 불균형 해소

 

  최근 기후변화로 가뭄이 빈번히 발생하고 가뭄의 강도도 점차 심화되고 있는 추세다. 최근 1년간의 전국 평균 강수량은 1,177㎜로 평년(1,332㎜)보다 적었으며 특히, 광주?전남지역은 915㎜로 평년(1,390㎜)의 66%에 불과하는 등 1973년 이후 최저 3위의 강수량을 기록하였다.

 

  이에 농식품부는 항구적인 가뭄 극복대책으로 전국 8개 지구에 총 5,15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신규로 수자원을 확보하고 수계간 연계를 통해 지역간 물 수급 불균형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수리시설이 미흡하거나 지하수 관정 등에 의존하던 가뭄상습 농경지 6,769ha가 물 걱정없이 안전하게 영농을 할 수 있게 되며 연간 20만톤의 하천유지용수를 꾸준히 공급하여 농어촌지역의 수생태 환경 개선 및 생활환경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올해 공사 중인 52개 지구에 농촌용수개발사업 예산 2,822억원을 투입하여 조기 완공을 지원하고 올해 말까지 7지구 2,053ha를 준공하여 내년부터 농업용수를 본격 공급하게 된다.

 

  농식품부 전한영 식량정책관은 “농촌 물 부족지역에 신규 수자원을 확보하고 안정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하여 기후변화에도 농업인들이 가뭄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농업생산기반시설을 지속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 2023.03.2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9131&pageIndex=9&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3-01&endDate=2023-03-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5 탄소중립 이행 위한 시설·연구개발 투자기업에 장기·저리 융자지원 지속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97
194 정부는 수소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추진 중이며,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수소생산과 무관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34
193 지속가능한 미래, 탄소중립 중점학교에서 배워요 비회원 2023-05-23 691
192 무공해차, 보급을 넘어 문화를 향해 달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657
191 탄소중립시대의 새로운 성장동력, 기후기술(테크) 본격 육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808
190 2023년 액화수소 시대 본격 개막 비회원 2023-05-23 756
189 2023년 액화수소 시대 본격 개막 비회원 2023-05-23 782
188 현장 중심의 수소 상용차 보급 지원단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63
187 ‘산재예방연구’보다 나은 미래를 제시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907
186 국제적 멸종위기종 인공증식 허가대상 등 사육규정 개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952
185 탄소중립시대의 새로운 성장동력, 기후테크 본격 육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36
184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 전면 개편 논의 착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37
183 수소 기업 해외 시장 개척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57
182 신(新)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수면, 2100년까지 최대 82cm 상승 전망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57
181 “스마트 안전장비로 중대재해를 감축한다!” 2023년 스마트 안전장비 보급·확산사업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1,038
180 탄소중립 무역장벽의 해소, 수상태양광에서 해답을 찾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94
179 문체부, 본부 여성과장 비율 54.4%, 여성 리더십으로 문화매력 이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4,490
178 권기섭 고용노동부 차관, 전문가와 비정규직 차별 해소 강화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985
177 고용노동부,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39
176 국가관할권 이원지역 해양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이용(BBNJ) 협정안 협상 타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