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수소·암모니아 혼소발전 업계 간담회 개최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비회원
  • 0
  • 63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는 3월 21일,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한전 전력연구원에서 「청정수소·암모니아 혼소발전 업계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간담회에는 청정수소·암모니아 혼소발전 기술개발, 연료도입 및 수소발전 분야 13개 기업과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에너지기술평가원 등이 참여하였다.

?

<청정수소·암모니아 혼소발전 업계 간담회 개요>

□ 일시/장소 : ‘23. 3. 21(화) 13:30~15:10 / 한전 전력연구원 제1연구동 회의실
□ 참석자 : 정부, 유관기관, 업계 등 약 19명
? (정부) 산업부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주재), 수소경제정책과장, 전력산업정책과장
? (유관기관)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에너지기술평가원
? (업계) 기기제작사 : 두산에너빌리티, 한화임펙트,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 BHI
연료공급사 : 롯데케미칼, 포스코홀딩스, 삼성엔지니어링
발전사업자 : 발전5사, SK E&S
□ 주요내용 : 수소발전 입찰시장 고시 제정안 의견수렴
혼소발전 기술개발, 연료공급 등 청정수소발전 지원사항 발굴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운영규칙 의견수렴

?

산업부는 지난 3.13일 수소발전 입찰시장 고시 제정안을 행정예고하며, 연료에 따른 시장구분·개설시기와 향후 3년간(‘23~‘25) 입찰시장에 진입할 수소발전량을 발표하였다.

<입찰시장 개설연도별 입찰물량>

입찰시장 개설연도

2023년

2024년

2025년

상업운전 개시년도

개설물량

(GWh)

상업운전 개시년도

개설물량

(GWh)

상업운전 개시년도

개설물량

(GWh)

일반수소 발전시장

2025년

1,300주)

2026년

1,300주)

2027년

1,300주)

청정수소 발전시장

-

-

2027년

3,500

2028년

3,000

주) 설비용량 기준 200MW에 해당한다.

?

오늘 간담회는 내년 상반기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에 앞서, 청정수소발전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소발전 업계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입찰시장에 적극적인 참여 유도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금일 간담회에서는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운영방안에 대한 주제 발표가 있었으며, 산업부는 이와 관련한 업계 의견을 청취하였다. 산업부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달성을 위해 수소발전 도입은 필수적이며, 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을 통해 수소발전 사업자간 가격경쟁으로 수소발전 단가 하락을 유도하고, 낙찰된 사업자에 대해서는 10년 이상 장기계약을 통해 수소 생산-유통-활용 등 수소 생태계 전반에 민간 투자의 불확실성을 해소할 계획으로, 업계의 적극적 의견 개진과 참여를 요청하였다. 또한, 국가 R&D를 통해 ‘25년까지 가스터빈-수소 50% 혼소, 석탄-암모니아 20% 혼소 기술개발을 완료하고, 장기적으로 수소 100% 전소터빈과 암모니아 50% 혼소 기술개발을 지원할 계획임을 밝혔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인수기지, 배관 등 공공기관의 선제적 기반시설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예타면제 또는 간소화, 온실가스 감축사업의 부채비율 산정 제외, 예산지원 등 정부지원 필요사항을 건의하였다. 또한, 수소발전 입찰시장에서 낙찰된 수소발전량의 계약기간은 해외 수소개발 사업의 투자기간(15년 이상)을 고려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국내 수소산업의 육성을 위해 혼소설비의 국산화, 청정수소 국내생산 또는 국내기업이 참여한 해외 청정수소 도입시 입찰평가에서 가점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다.
오늘 간담회를 주재한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은 “2027년 청정수소발전 상용화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담대한 도전으로 정부, 유관기관, 민간이 원팀으로 모든 노력을 경주해야 달성가능한 목표” 라고 밝히며, “오늘 간담회를 비롯해 앞으로도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고, 청정수소발전을 통해 민간의 자발적인 투자와 고용이 촉진되고, 국내 수소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입찰시장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03.2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8245&pageIndex=59&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15,A00012,A00013,A00032&startDate=2023-01-01&endDate=2023-05-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85 탄소중립시대의 새로운 성장동력, 기후테크 본격 육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38
184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 전면 개편 논의 착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39
183 수소 기업 해외 시장 개척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60
182 신(新)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수면, 2100년까지 최대 82cm 상승 전망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72
181 “스마트 안전장비로 중대재해를 감축한다!” 2023년 스마트 안전장비 보급·확산사업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1,043
180 탄소중립 무역장벽의 해소, 수상태양광에서 해답을 찾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96
179 문체부, 본부 여성과장 비율 54.4%, 여성 리더십으로 문화매력 이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4,493
178 권기섭 고용노동부 차관, 전문가와 비정규직 차별 해소 강화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986
177 고용노동부,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40
176 국가관할권 이원지역 해양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이용(BBNJ) 협정안 협상 타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15
175 국내 재생에너지 공급량은 RE100 기업의 재생에너지 수요 대비 충분한 상황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53
174 장애인일자리 신규 직무개발 수행기관 모집(3.8.~3.27)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90
173 불합리한 노동관행 개선을 통해 “미래를 위한 노동개혁” 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93
172 수소 화물차 수요, 민관 손잡고 적극적으로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34
171 태양광 설비 밀집지역 계통안정화 추진현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77
170 세계 1등 수소산업 이끌 수소전문기업 본격 육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55
169 전국 159개 새일센터,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훈련 실시 비회원 2023-05-22 867
168 우리 사업장 위험성평가, 이러닝으로 배웠어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27
167 재활용환경성평가, 자원순환사회로 앞장서는 지름길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66
166 현장의 실효성을 높인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제도 개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898